E2022-R3-18C

hanyang2
Hanna Lee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0월 17일 (월) 22:04 판 (새 문서: <!-- #Links E2022-R3-18C 한확 hasContextualElement E2022-R3-18C 조선_세조 hasContextualElement E2022-R3-18C 종묘_배향공신 hasContextualElement E2022-R3-18C 계유정란 ha...)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 왕실부터 명 황실까지, 한확과 그의 가족들의 이야기 》 한확이 종묘 배향공신이 된 배경

Story

배향공신이란 고려, 조선 시대 국왕의 묘정에 배향된 공신을 말한다.[1] 조선시대 종묘배향공신은 보통 왕의 삼년상이 끝나고 왕의 신주를 종묘에 봉안하기 보름 내지 한 달 전쯤 결정되었다. 배향 대상자는 선왕이 살아 있었을 때 보좌하다가 이미 세상을 떠난 관료들이었다. 만약 꼭 배향해야 할 사람인데도 선왕보다 오래 살 경우에는 사후에 논의하여 배향하기도 하였다. [2] 한편 종묘배향공신은 자신이 보좌한 왕의 신주가 종묘에서 나갈 때 같이 나가야 한다. 왕의 신주는 정전에서 영녕전으로 옮겨졌지만, 배향공신의 신주는 후손에게 주어져 불태우도록 하였다. 다만 종묘에 모셔진 왕이 불후의 공덕이 있는 불천위(不遷位)가 되면 배향공신의 신주 역시 옮기지 않았다. 이에 한확의 신주 역시 정전에 남을 수 있었다. 그렇다면 한확은 어떤 이유로 배향공신으로 선정되었을까. 한확이 세조의 배향공신이 된 데에는 '계유정난'[3]이라는 사건이 핵심적인 영향을 끼쳤다. 1453년 어린 단종이 즉위하자, 단종의 숙부인 수양대군(조선 세조)은 왕위 찬탈을 목적으로 자신의 측근과 모의해 단종의 보좌세력인 황보인, 김종서 등 원로 대신과 종친인 안평대군을 살해, 제거 하였다. 그리고 도리어 그들이 반역을 도모했고, 자신이 이 역모를 미연에 탐지하여 국가의 위난을 평정했다고 주장하며 단종에게 이 거사에 가담, 협력한 사람에게 공신의 책록을 내릴 것을 요청하였다. 단종이 이 요청을 받아들여 그들에게 '정난공신'이라는 칭호를 내려 표창하였다. 그때 공신은 모두 43명으로 1등은 수양대군, 한확, 권람, 한명회, 최항, 정인지, 박종우, 김효성, 이사철, 이계전, 박중손, 홍달손, 이렇게 12명이다. 이 중 한확, 권람, 한명회가 세조대왕의 공신으로서 종묘에 배향되었다. 계유정난을 소재로 한 드라마로는 <파천무>(KBS2TV, 1990), <한명회>(1994, KBS2TV), <왕과 비>(KBS1TV, 1998), <공주의 남자>(KBS2TV, 2011)가 있고, 영화로는 <관상>(한재림 감독, 2013)이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E2022-R3-18C Story Episode 한확이 종묘 배향공신이 된 배경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3-18C 2022:이한나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022-R3-18C 한확 isRelatedTo
E2022-R3-18C 조선_세조 isRelatedTo
E2022-R3-18C 종묘_공신당_세조묘 isRelatedTo
E2022-R3-18C 계유정난 isRelatedTo
E2022-R3-18C 조선_단종 isRelatedTo
E2022-R3-18C 한명회 isRelatedTo
E2022-R3-18BC 권람 isRelatedTo
E2022-R3-18C 정난공신 isRelatedTo
E2022-R3-18C 영화-관상 isRelatedTo
E2022-R3-18C 드라마-파천무 isRelatedTo
E2022-R3-18C 드라마-한명회 isRelatedTo
E2022-R3-18C 드라마-왕과_비 isRelatedTo
E2022-R3-18C 드라마-공주의_남자 isRelatedTo
조선_세조 한확 hasSubject
조선_세조 권람 hasSubject
조선_세조 한명회 hasSubject
조선_세조 종묘_공신당_세조묘 isRelatedTo
종묘_공신당_세조묘 한확 enshrines
종묘_공신당_세조묘 권람 enshrines
종묘_공신당_세조묘 한명회 enshrines
정난공신 조선_단종 isDesignatedBy
정난공신 계유정난 contributor
계유정난 조선_단종 isRelatedTo
조선_세조 정난공신 leads 1등
한확 정난공신 isMemberOf 1등
권람 정난공신 isMemberOf 1등
한명회 정난공신 isMemberOf 1등
영화-관상 계유정난 hasHistoricalSetting
드라마-파천무 계유정난 hasHistoricalSetting
드라마-한명회 계유정난 hasHistoricalSetting
드라마-왕과_비 계유정난 hasHistoricalSetting
드라마-공주의_남자 계유정난 hasHistoricalSetting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계유정난(癸酉靖難)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220
참고 동아비즈니스리뷰 탁월한 실력의 신숙주가 '배신의 아이콘'이 된 이유는?(2014-09, 김준태)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1/article_no/6652/ac/magazine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KCI:ART002155160 논문 한춘순, 「단종 대 계유정난과 그 성격」, 『한국사연구』 174, 한국사연구회, 201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55160
KCI:ART002858583 논문 위기훈, 「계유정난 소재 역사극의 이데올로기 재생산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6, 한국엔터네인먼트산업학회, 2022.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58583
KCI:ART002852060 논문 정일태, 「15세기 전반 내금위의 처지 변화와 계유정난의 발발」, 『한국문화』 98,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2.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52060
KCI:ART002060449 논문 윤대식, 「권력의 빛과 폭력의 그림자:한명회, 공사의 야누스인가? 경계인인가?」, 『사회사상과문화』 18,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60449
KCI:ART002736519 논문 구슬아, 「서거정의 시선 속 15세기 공신의 삶 -묘도문자의 특징적 면모를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59, 한국고전문학회, 202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6519
KCI:ART002306721 논문 안장리, 「야사서에 나타난 구치관 기록의 왜곡양상 고찰」, 『포은학연구』 20, 포은학회, 2017.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06721
KCI:ART001415042 논문 박찬수,「금성대군의 단종복위 순흥의거」, 『민족문화』 34, 한국고전번역원, 201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15042
KCI:ART002247563 논문 김영수,「신숙주의 위국애민 사상과 한시연구」, 『동양학』 68,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47563
KCI:ART002024118 논문 지두환,「하녕군 이양의 가계와 정치활동」, 『한국학논총』 4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24118
KCI:ART001831284 논문 김영두,「난언과 은거, 세조 정권에 저항하는 대항 기억의 형성」, 『사학연구』 112, 한국사학회, 2013.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31284
KCI:ART001779463 논문 김영두,「실록 편찬에 나타난 세조 정권의 정당성 추구」, 『한국사학사학보』 27, 한국사학사학회, 201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79463
KCI:ART001951041 논문 김경수,「『세조실록』의 편찬과 세조 정권」, 『한국사학사학보』 30, 한국사학사학회, 201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51041
KCI:ART001906038 논문 김경수,「세조의 집권과 권력 변동」, 『백산학보』 99, 백산학회, 201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06038
KCI:ART002427810 논문 김순남,「조선 세조대 훈신의 불경」, 『남도문화연구』 35,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27810
KCI:ART002288323 논문 강제훈,「조선 세조대의 훈신 구치관의 관직 생활과 특징」, 『한국사학보』 69, 고려사학회, 2017.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88323
KCI:ART002411854 논문 김순남,「조선 세조대의 난언」, 『한국사학보』 73, 고려사학회, 201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11854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