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찬 항목: Story

hanyang2
김연수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8월 3일 (화) 19:28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편찬 항목 목록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remark
E1-001 Story Episode 덕수궁의 탄생
E1-002 Story Episode 덕수궁을 거쳐간 임금들
E1-003 Story Episode 대한제국의 법궁 경운궁
E1-004 Story Episode 경운궁 대화재
E1-005 Story Episode 경운궁의 중건
E1-006 Story Episode 대안문이 대한문 된 사연
E1-007 Story Episode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E1-008 Story Episode 덕수궁 복원 사업
E1-009 Story Episode 김지영 덕수궁 정관헌, 고종의 커피사랑
E1-010 Story Episode 김지영 덕수궁 숙옹재에서 창덕궁 능허정으로 가는 길 조선왕실의 장태의례(藏胎儀禮)
E1-011 Story Episode 중명전, 고종황제와 제국사절단의 오찬
E1-012 Story Episode 고종황제 즉위 40주년 기념행사와 기념비각
E1-013 Story Episode 김지영 고종의 늦둥이 고명딸 덕혜옹주
E1-014 Story Episode 김지영 황실 최초의 유치원 준명당
E1-015 Story Episode 김지영 숙옹재 유청문의 현초(懸草)와 숙옹재 대청에서 행한 권초제(捲草祭)
E1-016 Story Episode 김지영 의왕과 영왕의 책봉의식 『의왕영왕책봉의궤』
E1-017 Story Episode 김지영 귀인 엄씨의 책봉의식 『순비책봉의궤』, 『(순비)진봉황귀비의궤』
E1-018 Story Episode 김지영 대한제국 황실의 근대식 연회 초청장
E1-019 Story Episode 영친왕 관례 때의 음식상과 찬품
E1-020 Story Episode 박수정 순종황제의 가짜 즉위식
E1-021 Story Episode 황태자의 가례
E1-022 Story Episode 황태자비의 관례
E1-023 Story Episode 고종 7대조의 황제 추봉과 어진 모사
E1-024 Story Episode 고종황제의 어진과 황태자의 예진 모사
E1-025 Story Episode 황제의 지위를 깎아내리려 했던 일제
E1-026 Story Episode 고종황제 즉위 40주년과 망육 축하 진연
E1-027 Story Episode 고종황제의 오순 축하 진연
E1-028 Story Episode 명헌태후 칠순 진찬
E1-029 Story Episode 효정왕후의 국휼
E1-030 Story Episode 악수하는 예법으로의 변화
E1-031 Story Episode 연회석에서 서양식 식탁문화의 활용
E1-032 Story Episode 서양식 연회 물품
E1-033 Story Episode 연회 때의 전통음식과 서양음식
E1-034 Story Episode 에밀 부르다레의 전통공연 관람기
E1-035 Story Episode 궁정 연회 공연 때의 창작춤 남무(男舞)
E1-036 Story Episode 황제국 복식
E1-037 Story Episode 서양 복식의 수용
E1-038 Story Episode 장충단의 건립과 제향
E1-039 Story Episode 대한제국의 근대식 상징건물 석조전
E1-040 Story Episode 을사늑약이 체결된 중명전
E1-041 Story Episode 석조전을 미술관으로 개조
E1-042 Story Episode 경운궁과 경희궁을 연결한 육교 무지개다리
E1-043 Story Episode 김혁 아관파천과 고종의 길
E1-044 Story Episode 박수정 김홍륙의 황제 독살 미수사건
E1-045 Story Episode 고종황제는 각종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다
E1-046 Story Episode 김혁 고종의 비밀정보기관 제국익문사
E1-047 Story Episode 대한제국의 태극기
E1-048 Story Episode 김혁 우정총국의 설치와 우표 발행
E1-049 Story Episode 김혁 우표 도안에 채택된 국가 상징 문양
E1-050 Story Episode 새 화폐제도의 도입
E1-051 Story Episode 훈장 제도의 제정
E1-052 Story Episode 대한제국 황실의 상징문양 오얏꽃
E1-053 Story Episode ‘마귀불’인 전등의 설치
E1-054 Story Episode 미국 워싱턴을 모델로 한 도시개조사업
E2-001 Story Episode 김혁 손탁호텔의 투숙객들
E2-002 Story Episode 궁중 무희를 사랑한 프랑스 공사 콜랭 드 플랑시
E2-003 Story Episode 김혁 대한제국 호위대장에 임명된 러시아 건축가 사바틴
E2-004 Story Episode 조선을 사랑한 언론인 베델
E2-005 Story Episode 김혁 손탁호텔을 장식한 서양 물건
E2-006 Story Episode 정동의 공사관 거리
E2-007 Story Episode 김혁 미국 공주 앨리스의 한국관광
E2-008 Story Episode 정동이 서양인의 거주지로 선호된 이유
E2-009 Story Episode 미국이 한옥을 공사관으로 사용한 이유
E2-010 Story Episode 러시아공사관과 영국공사관의 규모 경쟁
E2-011 Story Episode 김혁 한국 개신교의 역사가 시작된 정동
E2-012 Story Episode 국고은행인 대한천일은행의 발족
E2-013 Story Episode 모던뽀이의 산책
E2-014 Story Episode 김지영 고종의 교육입국과 관학 설립
E2-015 Story Episode 최초의 신문 광고
E2-016 Story Episode 미국공사관은 미국이 2000불에 해외에서 처음 사 들인 땅
E2-017 Story Episode 대한제국 워싱턴 공사관은 한국이 해외에서 처음 사들인 건물.
E2-018 Story Episode 120년간 원형 유지한 영국공사관 건물과 가든
E3-001 Story Episode 고종의 황제즉위식
E3-002 Story Episode 김혁 환구단을 다시 세운 뜻
E3-003 Story Episode 고종황제 즉위식 전날의 시가지 모습
E3-004 Story Episode 고종 황제즉위식 당시의 보물
E3-005 Story Episode 대례의궤에 수록된 반차도
E3-006 Story Episode 김혁 남대문과 함께 조선의 상징이 된 황궁우
E3-007 Story Episode 돌북의 쓰임새는 무엇이었나?
E3-008 Story Episode 환구단에 봉안된 대한제국의 신들
E3-009 Story Episode 김혁 환구단을 차지한 조선호텔
E3-010 Story Episode 환구단의 제사의례
E4-001 Story Episode 김혁 숭례문의 건립과 명칭에 얽힌 뜻
E4-002 Story Episode 김혁 숭례문 현판의 글자가 세로쓰기로 된 까닭
E4-003 Story Episode 김혁 1755년의 숭례문 - 역모의 공개처형장
E4-004 Story Episode 남대문이라는 호칭이 생긴 이유
E4-005 Story Episode 김혁 개항기 서양인의 눈에 비친 남대문
E4-006 Story Episode 김혁 남대문의 벽이 헐려 무인도가 되다.
E4-007 Story Episode 김혁 경성유람 1번지 남대문
E5-001 Story Episode 돈의문의 명칭이 갖는 뜻
E5-002 Story Episode 새문이라는 명칭의 유래
E5-003 Story Episode 서울의 관문, 서대문 정거장
E5-004 Story Episode 김혁 한양의 전차 개통: 아시아의 수도 중 가장 먼저 운행
E5-005 Story Episode 김혁 영은문과 무악재길: 청나라 가는길 - 조선에서 가장 넓은 길
E5-006 Story Episode 김혁 독립문 개막식, 배재학당 학생들의 합창 울려 퍼지다.
E6-001 Story Episode 김혁 서울역의 탄생
E6-002 Story Episode 김혁 경성역과 남대문시장
E6-003 Story Episode 우리나라 최초의 양식당 서울역 그릴
E6-004 Story Episode 최초의 기차
S1-001 Story Storyline 김혁 덕수궁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