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사포 하상

hanyang2
김현승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11월 13일 (토) 16:24 판 (새 문서: ==Definition== 조선시대 왕과 왕세자,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가 정월 초하루ㆍ동짓날ㆍ경축일이나 가례에 부분적으로 입던 옷으로, 통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조선시대 왕과 왕세자,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가 정월 초하루ㆍ동짓날ㆍ경축일이나 가례에 부분적으로 입던 옷으로, 통천관과 원유관을 쓸 때 하체에 입는 붉은색 치마[下裳]이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강사포_하상 Clothing 복식 쓰개 강사포 하상(絳紗袍 下裳) 강사포 하상 絳紗袍 下裳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강사포_하상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3D-강사포_하상 강사포_하상 hasReferenceNote
강사포_하상 3D-강사포_하상 isShownBy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경운박물관 3D-강사포_하상 references 재현품 고화질 이미지(전체)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197쪽. 3D-강사포_하상 references 사이즈(㎝): 총길이 90, 허리둘레 95.5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197쪽. 3D-강사포_하상 references 상세사이즈(해당 부분별 색상 표기)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197쪽. 3D-강사포_하상 references ‘전상’ 은 너비 22.5㎝의 원단 3폭으로 이루어짐.
‘후상’ 은 너비 22.5cm의 원단 4폭으로 이루어짐.
입었을 때 ‘전상’이 앞에 오고, ‘후상’이 뒤에 위치함.
자수 문장은 ‘전상’ 앞면에만 있음. ‘후상’에는 없음.
경운박물관 3D-강사포_하상 references 문장은 자수로 제작.
좌우에 배열된 문장은 서로 대칭을 이룸.
가장 윗줄에 있는 ‘종이’(녹색 술잔에 동물 무늬가 있는 것)는 잔 속의 동물이 호랑이와 원숭이로 서로 다르다.
경운박물관 3D-강사포_하상 references 자수 부분 확대 ​
경운박물관 3D-강사포_하상 references 재현품 착장모습(앞)
원단은 실크 소재. 원단의 재질느낌과 비침 정도는 착장사진을 참고해서 제작해주세요. 착장시 옷의 길이는 착장사진 참고. ​
경운박물관 3D-강사포_하상 references 재현품 착장모습(뒤) ​
경운박물관 3D-강사포_하상 references 재현품 착장모습(공수자세) ​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면복(冕服)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8146
해설 두산백과 면복(冕服)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0782
해설 위키백과 면복 https://ko.wikipedia.org/wiki/면복
해설 위키실록사전 면복(冕服)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면복(冕服)
해설 한국민속대백과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면복(冕服)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984
해설 한국민속대백과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상(裳)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055
해설 한국복식사전 면복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30
해설 한국복식사전 십이류면십이장복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52
해설 한국복식사전 십이장복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53
해설 AKS Encyves 면복 하상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면복_하상
원문 국사편찬위원회 > 조선시대 법령자료 > 대한예전 황제면복(皇帝冕服) http://db.history.go.kr/id/jlawb_280_0040_0010_0060_0010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 문화원형백과 > 문화원형 용어사전 면복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0826&docId=2017031&categoryId=50826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대한제국, 복식에 깃든 위엄』,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7.
단행본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단행본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국립고궁박물관 > 조사연구서 > 왕실문화도감 https://www.gogung.go.kr/publicationView.do?bbsSeq=4466
단행본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국립고궁박물관 > 조사연구서 > 왕실문화기획총서 https://www.gogung.go.kr/publicationView.do?bbsSeq=4259
단행본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단행본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대한제국 황제복식』,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2018. 문화재청 > 행정정보 > 문화재도서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73209&bbsId=BBSMSTR_1021
단행본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단행본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단행본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단행본 홍나영·신혜성·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단행본 李覺鍾, 『純宗實記』, 新民社, 1927.
논문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RISS http://www.riss.kr/link?id=T834144
논문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服飾』 18권, 한국복식학회, 1992. RISS http://www.riss.kr/link?id=A102253253
논문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服飾』 7권, 한국복식학회, 1983. RISS http://www.riss.kr/link?id=A102252969
논문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RISS http://www.riss.kr/link?id=T3068080
논문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RISS http://www.riss.kr/link?id=T801686
논문 이은주·황진영, 「종묘대제용 면복의 십이장문 재현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제17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1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49231
논문 이은진, 조효진, 「조선말기 왕실복식 소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1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04706
논문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4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01 RISS http://www.riss.kr/link?id=A76042049
논문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RISS http://www.riss.kr/link?id=T9132022
논문 인윤실, 「조선왕조시대 금박에 관한 연구」, 『服飾』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RISS http://www.riss.kr/link?id=A102253010
논문 전혜숙,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RISS http://www.riss.kr/link?id=T9132022
논문 최규순·고부자, 「冕服 文章 연구」, 『역사민속학』 제23호, 한국역사민속학회, 200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40904
논문 최연우, 「석(舃)에 적용된 회차(繢次)와 수차(繡次)의 배색원칙」, 『복식』 제64권 6호, 한국복식학회, 201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17878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