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국장 채여 사진

hanyang2
박수정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9월 30일 (목) 09:06 판 (Bibliography)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919년(순종 14)】.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사진, <고종황제 국장의 채여 행렬>은 아카이브번호 78553, 유물번호 서23640, 시기 1919, 고종황제 국장의 채여 행렬 모습이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고종_국장_채여_사진 Record 사진 고종 국장 채여 사진 고종 국장 채여 사진 高宗 國葬 彩輿 寫眞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고종_국장_채여_사진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어장의사진첩 고종_국장_채여_사진 isRelatedTo
덕수궁국장화첩 고종_국장_채여_사진 isPostedIn
고종_국장_행렬_사진 앨버트_테일러 creator
고종_국장_행렬_사진 고종_국장_채여_사진 hasPart
고종_국장_채여_사진 채여 depicts
고종_국장_채여_사진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isRelatedTo
고종_국장_채여_사진 고종_국장_죽안마_사진 isRelatedTo
고종_국장_채여_사진 고종_국장_방상씨거_사진 isRelatedTo
고종_국장_채여_사진 고종황제의_마지막_길 isRelatedTo
고종_국장_채여_사진 고종_국장_대여_사진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10년대 > 고종황제장례식사진 고종황제 국장의 채여 행렬 명칭 고종황제 국장의 채여 행렬 / 아카이브번호 78553 / 유물번호 서23640 / 시기 1919 / 내용 고종황제 국장의 채여 행렬 모습이다.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3130&arcvMetaSeq=28070&arcvNo=78553
참고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컬렉션 > 정치외교 > 황실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명칭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 아카이브번호 <103507> / 자료출처 고종장례 / 내용 1919년 3월 3일에 거행된 고종 국장 당시 장의 행렬의 광경을 담은 시리즈엽서(16매)의 하나이다. 사진은 장제장(葬祭場, 영결식장)인 훈련원(訓鍊院, 황금정 6정목 18번지 일대)에서 출발하여 장지인 금곡 홍릉(金谷 洪陵) 이동하는 행로 중 죽산마(竹散馬, 안장이 없는 것)와 죽안마(竹鞍馬, 안장이 있는 것)가 지나고 있는 장면이다. 앞쪽에는 수레에 얹은 방상씨(方相氏)가 보이고, 채여(彩轝)가 뒤를 따르고 있다. 조선식 인산행렬은 덕수궁 영성문(永成門)에서 따로 출발하여 종로(鐘路)를 경유하여 동대문에 대기하였다가 훈련원 쪽에서 나오는 대여행렬과 합류하였다.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4334&arcvMetaSeq=39356&arcvNo=103507
참고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20년대 > 純宗國葬錄 순종국장록 채여와 죽산마 명칭 채여와 죽산마 / 아카이브번호 75018 / 유물번호 서3368 / 시기 1926 / 자료출처 『純宗國葬錄』(朝鮮博文社, 1926) / 내용장의행렬을 위해 준비중인 채여(彩轝)와 죽산마(竹散馬)의 모습이다.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2873&arcvMetaSeq=25477&arcvNo=75018
참고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20년대 > 純宗國葬錄 순종국장록 채여 명칭 채여 / 아카이브번호 75065 / 유물번호 서3368 / 시기 1926 / 자료출처『純宗國葬錄』(朝鮮博文社, 1926) / 내용 천봉(遷奉)되는 대여(大輿) 행렬에 포함된 채여(彩轝)의 모습이다.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2873&arcvMetaSeq=25524&arcvNo=75065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채여(彩輿)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5622
참고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 알림 뉴스 > 코리아넷뉴스 (2019-03-20) 독립선언을 세계에 알린 앨버트 W. 테일러 앨버트 테일러가 촬영한 고종의 국장 모습 사진 수록 https://www.kocis.go.kr/koreanet/view.do?seq=1012341
참고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채여 4건 https://museum.seoul.go.kr/www/search/NR_searchList.do?q_collection=archive&query=채여&org_query=채여&sort=&sfield=&museum=&dateterm=&alias_archive=Y&sdate=&edate=&exc_query=
참고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컬렉션 > 정치외교 > 황실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명칭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 아카이브번호 <103507> / 자료출처 고종장례 / 내용 1919년 3월 3일에 거행된 고종 국장 당시 장의 행렬의 광경을 담은 시리즈엽서(16매)의 하나이다. 사진은 장제장(葬祭場, 영결식장)인 훈련원(訓鍊院, 황금정 6정목 18번지 일대)에서 출발하여 장지인 금곡 홍릉(金谷 洪陵) 이동하는 행로 중 죽산마(竹散馬, 안장이 없는 것)와 죽안마(竹鞍馬, 안장이 있는 것)가 지나고 있는 장면이다. 앞쪽에는 수레에 얹은 방상씨(方相氏)가 보이고, 채여(彩轝)가 뒤를 따르고 있다. 조선식 인산행렬은 덕수궁 영성문(永成門)에서 따로 출발하여 종로(鐘路)를 경유하여 동대문에 대기하였다가 훈련원 쪽에서 나오는 대여행렬과 합류하였다.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4334&arcvMetaSeq=39356&arcvNo=103507
참고 국립중앙박물관 내 한국박물관협회 > MUSEUMNEWS 서울역사박물관, 3월 3일 고종 인산일 맞아 <고종황제의 마지막 길>展 개최 (2017-03-13) https://museumnews.kr/17533seoulgj/
참고 중앙선데이 고종황제 마지막 가는 날 종로거리는 … (2009-10-08, 김경진 기자) UPA 한국 특파원이던 앨버트 테일러가 1919년 3월 3일 촬영한 고종 황제의 국장 장례 행렬. 대나무를 엮어 종이를 붙여 만든 죽안마(竹鞍馬)는 장례행렬을 이끄는 의장품으로 왕과 왕비의 국장 행렬에만 사용된다.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https://www.joongang.co.kr/article/3812300
참고 K스피릿 3월 3일 고종 인산일을 맞아 '고종황제의 마지막 길' 展 개최 (2017-02-27, 정유철 기자) 대한문을 나서는 견여肩轝 행렬. <사진=서울역사박물관> http://www.ikoreanspirit.com/news/articleView.html?idxno=47778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강춘애, 「나례(儺禮)와 방상씨(方相氏)의 고찰 : 특히 그 직능(職能)과 조형의 유풍(遺風)을 중심으로」, 『연극학보』 26, 동국대학교연극영화학과, 1998. 국회전자도서관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KINX1998047954
논문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제27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논문 자오성웨이·리샤오위(엮은이), 이성현(옮긴이), 「주르날 제국주의 : 프랑스 화보가 본 중국 그리고 아시아」, 『현실문화』, 현실문화연구, 2019. RISS http://www.riss.kr/link?id=M15094903
논문 나애리, 「1907년 프랑스 신문에 나타난 한국과 한국인들의 이미지」, 『프랑스문화연구』 11,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5. KISS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78058
논문 나애리, 「1907년 프랑스 신문에 나타난 한국과 한국인들의 이미지」, 『프랑스문화연구』 11,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5. 네이버 학술정보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442305152
단행본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단행본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단행본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태학사, 2013. RISS http://www.riss.kr/link?id=M13326174
단행본 정민·김동준 외,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6. RISS http://www.riss.kr/link?id=M12316603
단행본 국립중앙박물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역사자료총서 17), 2017. 국립중앙박물관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ticle_13768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