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묘호도감의궤
hanyang2020>김지선님의 2021년 1월 11일 (월) 01:51 판
Definition
영조묘호도감의궤(英祖廟號都監儀軌)는 1890년(고종 27) 영종의 묘호를 영조로 고쳐 올리면서 영조와 그의 비에게 존호를 올린 사실을 기록하였다. 봉조하 김상현이 발란반정(撥亂反正) 등의 공이 있는 영종의 묘호를 영조로 추숭할 것을 상소하자, 이를 허락하고 동시에 그의 왕비에게 존호를 가상하도록 하였다. 영종의 묘호와 시호·존호는 각각 영조, 정문선무희경현효(正文宣武熙敬顯孝), 중화융도숙장창훈(中和隆道肅莊彰勳), 정성왕후 존호는 원열(元烈), 정순왕후 존호는 정현(正顯)이었다. 고종은 근정전에서 존호 단자를 받고 신하들의 하례를 받았다. 옥책과 금보의 제작이 완료되자, 정월 4일에 종묘에서 책보를 올리는 의식을 거행하였다. 7일에는 원릉(元陵)에 행행하여 봉심하고 새로 만든 ‘조선국영조대왕릉’이라는 표석을 세웠다. 이 의궤는 1책으로 구성되었으며, 채색 반차도를 수록하고 있다. [1]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영조묘호도감의궤 | Record | 문헌 | 의궤 | 영조묘호도감의궤(英祖廟號都監儀軌) | 영조묘호도감의궤 | 英祖廟號都監儀軌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영조묘호도감의궤 |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조선_영조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정성왕후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김상현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조선_고종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근정전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묘호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시호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전호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시일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좌목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승전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재용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감결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이문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내관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예관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의주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상전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의궤사목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일방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이방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삼방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별공작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개제주소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표석소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도제조 조병세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묘호도감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옥책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요채여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반차도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금보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세의장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
김재현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제주서사관 |
한장석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표석음기제술관 |
이순익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표석음기서사관 |
김성근 | 영조묘호도감의궤 | isPartOf | 표석대자전문서사관 |
Semantic Network Graph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