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3-19B

hanyang2
임민혁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13일 (화) 23:1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종묘제도의 시행 》 제후오묘와 가묘

Story

조선의 종묘제도는 제후오묘가 적용되었다. 예치를 국가의 운영수단으로 채택한 조선에서 동아시아 전통의 사당제도를 수용한 것이다. 그것이 제후오묘와 천자칠묘이다. 제후는 시조인 태조의 사당을 북쪽의 중심에 남향으로 두고 좌우로 둘씩의 사당을 설치하였다. 좌우의 사묘는 곧 종자의 사대(四代)를 말한다. 이는 좌소우목(左昭右穆)의 원칙에 입각하여 봉안된 것인데, 이를 소목제라고 한다. 사당제도는 천자를 정점으로 신분별 세대수의 차등을 두었다. 그런데 종묘의 준공기사를 보면, 대묘(大廟)의 대실은 7칸이며 동당이실(同堂異室)이고 안에 석실(石室) 5칸을 만들고 좌우의 익랑이 각각 2칸씩이라 하였다. 이 기사만 놓고 보면 언뜻 이해가 가질 않는 측면이 있다. 제후오묘의 준칙에 따라 건설되었다면서 대실 7칸이라니, 언뜻 아리송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석실 5칸이다. 석실에 대한 언급은 이 기사 외에는 이후로 전혀 없다. 완공기사 전후의 기록을 보면, 제후오묘에 대한 인식은 확실했던 것 같다. 태조의 즉위교서에서 이미 이를 제도로 삼을 것을 천명하였으며, 공정왕의 부묘 논의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공정왕을 부묘하게 되면 6실이 되므로 이는 제후오묘의 예법에 어긋난다는 원칙론을 거론했다는 사실이다. 또 󰡔예기󰡕 「왕제」에서의 소목제에 의거한 제후오묘를 언급한 것이라든가, 추존된 사대조의 신주를 조천하여 능서(陵署)에서 제사지내고 그래야 제후오묘에 합치된다는 안을 제시한 것에서도 이를 알 수 있다. 이 오묘는 종묘에서는 석실이었다. 석실은 종석(宗祏)이라고도 한다. 종석은 종묘 안에 신주를 보관하는 석실이라 하였지만, 종묘의 석실이 신주 보관함이라는 의미는 아니었다. 석실은 신실의 용도로 건설된 것이며, 좌실은 조묘(祧廟)의 기능을 하는 신실이며, 우실은 제기고이다. 이 같은 형식은 사당의 조묘 제도를 모방한 것이다. 제후오묘가 사가에서는 사대봉사(四代奉祀)로 나타났다. 한 종족에서 시조묘는 대종(大宗)에서 불천위의 별묘를 두지만, 소종(小宗)에서는 고조까지의 신주를 봉안토록 한 것이다. 사대를 넘어가면 친함이 다했다고 해서 친진(親盡)이라 하고, 해당 신주를 묘소 근처에 매안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E2022-R3-19B Story Episode 제후오묘와 가묘 제후오묘와 가묘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3-19B 2022:임민혁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022-R3-19B 소목제 isRelatedTo
E2022-R3-19B 불천위 isRelatedTo
E2022-R3-19B 공정왕_부묘 isRelatedTo
E2022-R3-19B 추존왕_부묘 isRelatedTo
E2022-R3-19B 제후오묘 isRelatedTo
E2022-R3-19B 가묘 isRelatedTo
E2022-R3-19B 사당 isRelatedTo
E2022-R3-19B 종묘 isRelatedTo
E2022-R3-19B 석실 isRelatedTo
E2022-R3-19B 즉위교서 isRelatedTo
E2022-R3-19B 사대봉사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