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0-03C

hanyang2
Hanna Lee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25일 (일) 16:57 판 (Story)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록으로 보는 다양한 오브제와 공연 예술 풍경 》 사신 영접을 위한 거리공연과 오토매타 무대 '예산대'

Story

예산대는 산대, 채붕 등과 함께 전통 공연예술을 위한 장치, 도구, 무대이다.
예산대의 모습은 의궤 등에는 전하지 않지만, 청나라 사신으로서 조선에 네 차례나 방문했던 아극돈(阿克敦, 1685~1756)이 1725년(영조 1)에 조선에 관한 풍물과 자신에 대한 영접 행사를 묘사한 스무폭짜리 화첩 <봉사도>를 통해 그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이 중 제7폭에 그려진 그림을 통해 모화관 마당에서 버나돌리기, 땅재주(물구나무서기), 탈춤, 줄타기 등의 연희 공연이 있었음을 알 수 있고, 11폭에 그려진 그림을 통해 솟대타기도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예산대'의 모습이 등장해 기계식 무대장치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예산대는 기암 괴석은 나무로 만든 것으로 기암 괴석 안에 노송(老松) 등으로 장식해 산의 모습을 강조하고 있으며 바위 동굴 같은 구멍이 뚫려 있다. 바위 동굴 안쪽으로는 너럭바위처럼 표현된 평평한 단이 있다. 이 단은 무대의 역할도 하는데, 대략 4층 정도이다.
아래부터 1층에는 두 개의 동굴이 뚫려 있는데 외쪽에는 얹은 머리에 분홍저고리와 다홍치마를 입은 여인이 춤을 추고 있다. 오른 쪽 연보랏빛이 감도는 회색 도포를 입은 남자가 낚싯대를 들어 던지고 있다. 남자의 옆에는 동구 밖에 있음직한 홍살문 모양의 건축물이 있다. 2층에도 2개의 동굴이 보이는데, 왼쪽에는 나무에 매달린 원숭이가 있으며 오른쪽에는 산에 있음직한 누정이 한 채 놓여져 있다. 제3층의 동굴에는 목조로 된 듯한 구조물이 있다. 제 4층의 구멍에는 빨간색 저고리를 입은 여인이 있다. 산대의 꼭대기에는 붉은 색의 삼각 깃발이 나부낀다.
각각 층마다 묘사된 것은 실제 ‘잡상’(오브제)으로 2층의 남자는 고사에 등장하는 ‘강태공’을 묘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대 뒤편에 기관이 설치되어 노끈을 잡아 당기면, 인물이 기암괴석 사이로 나타나거나 춤을 추고 낚싯대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반복하게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륜 바퀴이고, 앞바퀴, 뒤바퀴 각 2명씩 네 명의 사람이 조작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E2022-R0-03C Story Episode 사신 영접을 위한 거리공연과 오토매타 무대 '예산대'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0-03C 2022:이한나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022-R0-03C 예산대 isRelatedTo
E2022-R0-03C 아극돈 isRelatedTo
E2022-R0-03C 아극돈-3차_사행 isRelatedTo
E2022-R0-03C 봉사도 isRelatedTo
E2022-R0-03C 정여 isRelatedTo
E2022-R0-03C 모화관 isRelatedTo
E2022-R0-03C 줄타기 isRelatedTo
E2022-R0-03C 대접돌리기 isRelatedTo
E2022-R0-03C 땅재주 isRelatedTo
E2022-R0-03C 가면극 isRelatedTo
E2022-R0-03C 솟대타기 isRelatedTo

Time Line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더사이언스타임즈 〉 기획·칼럼 전통 민속극에 등장하는 '오토마타'(2019-06-18, 전승일) https://www.sciencetimes.co.kr/news/%전통-민속극에-등장하는-오토마타/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전통연희사전 봉사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25969&cid=56785&categoryId=56785
참고 지역N문화 〉시장과 놀이 물구나무룰 서거나 재주를 넘는 땅재주 https://ncms.nculture.org/market/story/3470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살판(땅재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6420
참고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민속예술사전 가면극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1229
참고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민속예술사전 줄타기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4897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장대타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8369
참고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민속예술사전 솟대타기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1556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9788959668786 단행본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 樂·戱·劇』, 태학사, 2017. https://librarian.nl.go.kr/LI/contents/L10501000000.do?rawid=8030037&seojiyear=2017
ISBN:9788959668823 단행본 사진실, 『봉래산 솟았으니 해와 달이 한가롭네 -왕실의 연희축제-』, 태학사, 2017. https://librarian.nl.go.kr/LI/contents/L10501000000.do?rawid=8030037&seojiyear=2017
RISS:T9222520 논문 신선희, 「한국 궁중의례의 극장공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http://www.riss.kr/link?id=T9222520
KISS:2795253 논문 김상혁, 「예산대(曳山臺) 작동메커니즘에 대한 과학기술적 고찰 -『봉사도(奉使圖)에 나오는 예산대 장치와 조선시대 천문의기 작동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충북사학』22, 충북사학회, 2009.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795253
RISS:T13545613 논문 박세연, 「조선시대 산대 기관인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http://www.riss.kr/link?id=T13545613
RISS:T15953589 논문 안태경, 「산대(山臺)의 현대적 활용 방안 연구 : 2018 궁중문화축전 속 산대 활용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http://www.riss.kr/link?id=T15953589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 樂·戱·劇』, 태학사, 2017, 197쪽.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