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대

hanyang2
김현승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1월 20일 (일) 22:0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2 3D모델링-복식

Definition

조선시대의 과거제는 태조에 의해 기본 방향이 세워지고 세종대에 이르러서 제도가 정립된다. 성종대에 발간된 『경국대전』에서 과거 제도가 구체적으로 법제화 되었으며, 이후 보완 개정하여 영조대에 『속대전』에 명시된다.[1] 과거시험의 결과가 나오면 합격자를 발표하는데 이를 방방(放榜)이라 하였다.[2]
조선 초기 생원·진사의 방방 복식으로 연건(軟巾)ㆍ난삼(幱衫)ㆍ영대(鈴帶)를 착용하였다. 영대의 색상은 흑색 또는 푸른색을 사용하였다. 영대의 착용법은 매우 독특하다. 원형의 영대 중앙을 가슴 중심에 오게 하고 양쪽 겨드랑이를 지나 양 어깨 위로 돌아 두 줄을 앞으로 내린다. 띠에 있는 2개의 방울로 겨드랑이에서 어깨로 돌려 앞으로 내린 영대를 고정한다.[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영대-鈴帶 Clothing 복식 허리띠 영대(鈴帶) 영대 鈴帶 Yeongdae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영대 2022:김현승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영대-鈴帶 3D-영대 isShownBy
3D-영대 영대-鈴帶 hasReferenceNote
조선후기_생원진사_방방복식 연건 hasPart
조선후기_생원진사_방방복식 난삼 hasPart
조선후기_생원진사_방방복식 영대 hasPart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이은주·진덕순, 「조선시대 생원·진사의 방방 복식제도」, 『국학연구』 45, 한국국학진흥원, 2021. 3D-17세기_왕비의_노의대 references 크기(㎝): 설명부분 참고
재료: 실크실, 금전지
색상: 푸른색, 금색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김아람 일러스트: 영대 3D-17세기_왕비의_노의대 references 착용했을 때의 구조 도식화. 허리에서 늘어지는 끈의 길이는 90㎝ 정도 되게 한다.
국립민속박물관 > 소장품 ☞ 초상(소장품번호 민속039716) 3D-17세기_왕비의_노의대 references 난삼에 영대 착용한 모습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국립민속박물관 > 소장품 초상(肖像) (소장품번호 민속039716) https://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3971600000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대전시립박물관:2019:문행지문 단행본 대전시립박물관, 『문행지문』, 대전시립박물관, 2019. 대전시립박물관
RISS:T15055096 논문 진덕순, 「조선 유생의 문과 급제와 복식문화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RISS http://www.riss.kr/link?id=T15055096
KCI:ART002743861 논문 이은주·진덕순, 「조선시대 생원·진사의 방방 복식제도」, 『국학연구』 45, 한국국학진흥원, 202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43861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진덕순, 「조선 유생의 문과 급제와 복식문화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3쪽.
  2. 진덕순(2019), 앞의 논문, 32쪽.
  3. 진덕순(2019), 앞의 논문, 86-88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