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중치막

hanyang2
김현승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1월 20일 (일) 20:01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2 3D모델링-복식

Definition

중치막은 곧은 깃에 소매가 넓고 양 옆에 트임이 있는 왕실의 연거복 및 사대부의 편복포이다. 16세기 중반부터 기록과 유물로 확인되나 17세기부터 널리 착용되기 시작하였다. 중치막 형태는 임진왜란 이후부터 목판당코깃이 달리고 진동 넓이와 유사한 소매 너비와 양옆으로는 겨드랑이 아래부터 긴 삼각형 무가 달려 있으며 옆선은 절반 이상이 트여 있다. 중치막의 소매 너비와 긴 삼각무는 시류를 따라 변화를 보인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신경유(申景裕, 1581-1633)의 묘 출토복식과 경기도박물관 소장의 김확(金矱, 1572-1633)의 묘 출토복식에서 다량 출토된 중치막의 기본 형태는 광해군 중치막과 유사하나 삼각무 밑자락이 좁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소매는 진동이 좁아지고 너비가 다양해지며 진동선 아래는 사선, 배래는 직선형이 많이 보인다. 옆트임도 길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후 여주 출토 동래 정씨 일가(1574~1669) 묘 출토 중치막에서 볼 수 있듯이, 17세기 후반부터 소매 너비가 수구 쪽으로 넓어져 붕어배래 형태를 보이며 삼각형 무는 점차 축소된다.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남오성(南五星, 1643-1712) 묘 중치막은 진동보다 소매 너비가 넓어져 직사각형 모양의 두리소매 형태로 나타난다. 점차 삼각형 무도 없어지면서 옆선이 약간의 곡선으로 변화된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1677-1746)의 중치막도 소매 너비가 넓어졌을 뿐 형태는 동일하다. 이러한 형태는 19세기 일부 전세 유물에서 확인되나 1884년(고종 21) 광수의 도포, 직령, 창의, 중의 등을 금지하는 사복(私服) 제도를 개정하면서 점차 사라졌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17세기_중치막 Clothing 복식 17세기 중치막(中赤莫) 17세기 중치막 中赤莫 17th Century Jungchimak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7세기_중치막 2022:김현승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17세기_중치막 3D-17세기_중치막 isShownBy
3D-17세기_중치막 17세기_중치막 hasReferenceNote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석주선기념박물관, SADI를 만나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8. 3D-17세기_중치막 references 신경유(1581-1633) 중치막 재현품 착용모습

크기(㎝): 길이 127, 화장 120, 품 55
재료: 비단(Silk)
색상: 연분홍색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 양쪽 옆이 70㎝ 정도 트여 있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소장품 ☞ 중치막2 3D-17세기_중치막 references 신경유(1581-1633) 중치막 유물 앞·뒷모습, 직물 무늬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중치막", 『한국민속대백과사전』online, 국립민속박물관.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