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천제아도-공조
목차
Definition
조선 후기 고위관료였던 한필교(1807~1878)가 재직관아와 고을 읍치도를 담은 기록화이다.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는총 15점으로 세밀한 묘사로 중앙관아의 공간구조와 조경기법을 기록함으로써 조선시대 중앙 및 지방의 관아 공간구조와 문화경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회화적 가치가 높은 보물이다. 한필교는 서문에서 '후세에 전하는 보물이 될만하다'라고 명시한바 있다.
===숙천제아도-호조《宿踐諸衙圖》-戶曹=== 호조는 조선시대 중앙 관서인 6조 중 하나로 전국의 재정을 담당하는 관청이었다. 한필교는 33세에 좌랑(정6품)으로 부임하여 낭청대청에서 근무했으며 70세에 참의(정3품)로 호조에서 37년만에 당상관으로 승진한바 있다.
===숙천제아도-공조《宿踐諸衙圖》-工曹=== 공조는 당상대청, 낭청대청, 그리고 사령방과 서리청, 창고 12간으로 단순하게 구성되었다. 한필교는 당상관 벼슬에서 다시 승진하여 공조참판이 되었지만 한달도 안되어 1878년 4월 18일 72세로 사망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숙천제아도-호조 | Object | 그림 | 화첩 | 숙천제아도-호조《宿踐諸衙圖-戶曹》 | 숙천제아도(호조) | 宿踐諸衙圖(戶曹)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숙천제아도-호조 | ||
숙천제아도-공조 | Object | 그림 | 화첩 | 숙천제아도-공조《宿踐諸衙圖-工曹》 | 숙천제아도(공조) | 宿踐諸衙圖(工曹)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숙천제아도-공조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숙천제아도 | 숙천제아도-호조 | hasPart | ||
숙천제아도 | 숙천제아도-공조 | hasPart | ||
숙천제아도-공조 | 육조거리 | isRelatedTo | ||
숙천제아도-호조 | 본아전도-호조 | isSameAs | ||
숙천제아도 | 조선_헌종 | isRelatedTo | ||
숙천제아도 | 한필교 | creator | ||
한용구 | 한필교 | hasDescendant | ||
홍석주 | 한필교 | hasDaughterInLaw | ||
한필교 | 한장석 | hasSon | ||
수사록 | 한필교 | writer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디지털 장서각> 자료분류 > 영수각송(靈壽閣頌) | 영수각송 | https://jsg.aks.ac.kr/viewer/viewIMok?dataId=K4-235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제목 | KCI | url |
논문 | 신상섭·김현욱·박영관,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를 통해 본 조선시대 중앙관아의 공간구조와 조경기법」, 문화재 제47권 제3호,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 ||
논문 | 신상섭·이승연,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를 통해 본 조선시대 읍치(邑治)의 공간구조와 관아(官衙) 조경 - 평안도 영유현과 황해도 신천군을 중심으로」, 문화재 제49권 제2호,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