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finition)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1884년 ~ 1933년】. 이도영(李道榮). 개화기, 일제강점기의 서화가. | + | 【1884년 ~ 1933년】. 이도영(李道榮). 개화기, 일제강점기의 서화가. 한국 최초의 만화가. 안중식에게서 서화를 배웠다. 1905년 국민교육회의 편찬업무를 맡은 것을 시작으로, 1906년 대한자강회 간사원과 보성관 편집사무원, 1907년 대한협회 교육부원과 공업전습소 기수에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1909년 6월 『대한민보(大韓民報)』가 창간되자 사장 오세창의 권유에 따라 1면의 시사만화를 그렸다. 1906년 민중계몽단체인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에 가입하여 교육부원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당대 문명을 비판하는 풍속화를 많이 그렸다. 1918년 조석진·안중식·김응원(金應元)·오세창(吳世昌) 등과 서화협회를 조직하였고, 1922년 일본총독부가 주최하는 조선미술전람회의 동양화부(東洋畵部)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2021년 9월 15일 (수) 22:27 판
목차
Definition
【1884년 ~ 1933년】. 이도영(李道榮). 개화기, 일제강점기의 서화가. 한국 최초의 만화가. 안중식에게서 서화를 배웠다. 1905년 국민교육회의 편찬업무를 맡은 것을 시작으로, 1906년 대한자강회 간사원과 보성관 편집사무원, 1907년 대한협회 교육부원과 공업전습소 기수에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1909년 6월 『대한민보(大韓民報)』가 창간되자 사장 오세창의 권유에 따라 1면의 시사만화를 그렸다. 1906년 민중계몽단체인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에 가입하여 교육부원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당대 문명을 비판하는 풍속화를 많이 그렸다. 1918년 조석진·안중식·김응원(金應元)·오세창(吳世昌) 등과 서화협회를 조직하였고, 1922년 일본총독부가 주최하는 조선미술전람회의 동양화부(東洋畵部)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이도영 | Actor | 인물 | 이도영(李道榮) | 이도영 | 李道榮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이도영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이도영 | 안중식 | knows | ||
이도영 | 조석진 | knows | ||
이도영 | 김응원 | knows | ||
이도영 | 전환국 | isRelatedTo | ||
이도영 | 안중식 | isRelatedTo | ||
이도영 | 대한민보 | isRelatedTo | ||
이도영 | 대한자강회 | isRelatedTo | ||
이도영 | 몽견제갈량 | isRelatedTo | ||
이도영 | 홍도화 | isRelatedTo | ||
이도영 | 오세창 | isRelatedTo | ||
이도영 | 노동야학독본 | isRelatedTo | ||
이도영 | 휘문의숙 | isRelatedTo | ||
이도영 | 보성중학교 | isRelatedTo | ||
이도영 | 서화협회보 | isRelatedTo | ||
이도영 | 조선명화전람회 | isRelatedTo | ||
이도영 | 고색찬연 | isRelatedTo | ||
이도영 | 나려기완 | isRelatedTo | ||
이도영 | 석굴수서 | isRelatedTo | ||
이도영 | 석굴암 관음상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이도영<1>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4026 | |
해설 | 위키백과 | 이도영 | https://ko.wikipedia.org/wiki/이도영_(화가) | |
해설 | 두산백과 | 이도영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86436 | |
참고 | KBS WORLD RADIO, 2012-11-08 | 한국최조의 만화가 이도영 | http://world.kbs.co.kr/service/contents_view.htm?lang=k&board_seq=60958#none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논문 | 김예진. 「이도영의 정물화 수용과 그 성격: 사생과 내셔널리즘을 통한 새로운 회화 모색」, 『미술사학연구』 296, 한국미술사학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09471 |
논문 | 박지훈. 「대한협회의 『대한민보』(1909~1910) 발간과 시사만화 연재의 성격」, 『역사민속학』 44,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65413 |
논문 | 유순영. 「근대 죽림칠현도의 시각화 양상: 전통의 계승과 변용을 중심으로」, 『미술사학보』 56, 미술사학연구회, 202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27358 |
논문 | 최석태. 「이도영 연보」, 『한국근현대미술사학』 1,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1994. | https://primoapac01.hosted.exlibrisgroup.com/permalink/f/enmgnl/TN_cdi_nurimedia_primary_NODE02055708 | |
논문 | 김예진. 「관재 이도영의 미술활동과 회화세계」, 한국학중앙연구원박사학위논문, 2013. | ||
논문 | 이구열. 「「신문에 항일·구국 시사만화를 그린 이도영」, 『미술세계』 231, 2004. | ||
논문 | 현영이. 「관재 이도영의 생애와 인쇄미술」, 이화여대석사학위논문, 2004.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