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 선로포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 년】. 숭례문 선로포의(崇禮門 宣露布儀). 환구단이 설립된 뒤인 1899년(광무 3)에 환구단 북쪽에 황궁우(皇穹宇)를 건립하였...)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 년】. 숭례문 선로포의(崇禮門 宣露布儀). 환구단이 설립된 뒤인 1899년(광무 3)에 환구단 북쪽에 황궁우(皇穹宇)를 건립하였다. 황궁우에는 신위판(神位板)을 봉안하였고, 태조를 추존하여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로 삼았다. 1913년 일제에 의하여 환구단이 헐리고 터는 지금 조선호텔이 되었다. 화강암 기단 위에 세워진 3층 팔각정의 황궁우는 지금도 남아 있다. 기단 위에는 돌 난간이 둘러져 있고·2층은 통층(通層)인데, 중앙에 태조의 신위가 있다. 3층은 각 면에 3개의 창을 냈다.건물의 양식은 익공계(翼工系)인데, 청나라 영향을 받은 장식이 많다.  
+
【1728년(영조 4)】. 숭례문 선로포의(崇禮門 宣露布儀).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이 진압된 뒤 숭례문에서 선로포의가 행하여졌다. 반란군은 3월 24일 안성과 죽산에서 관군에 의해 격파되었고, 청주, 영남, 호남 등에 남아 있던 무리들도 모두 무너졌다. 난을 진압하는데 당시 병조판서 오명항의 공이 컸다. 오명항은 적에게 승리한 사실을 노포(베나 비단)에 적어 왕에게 바쳤다. 왕은 열람한 뒤 내용을 만방에  알렸다. 그 뒤 이것은 국조속오례의에  정식 군사의례로 수록되었다. 노포란 글을 봉함하지 않고 여러 사람이 보고 들어 알도록 하기 위해 만든다는 뜻이다. 선로포의를 행할 때에는 긴 명주 천에 승전 사실을 적어 4척 길이의 장대에 매어 그 내용을 게시하는 것이 전통이 되었다. 노포의 위아래에는 붉은 실로 판축(版軸)을 묶어 사용하였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0번째 줄: 10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환구단_황궁우_설립]] || Event || 사건 ||  || 환구단 황궁우 설립(阛丘壇 皇穹宇 設立) || 환구단 황궁우 설립 || 阛丘檀 皇穹宇 設立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환구단_황궁우_설립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html>
+
| [[숭례문 선로포의]] || Event || 사건 ||  || 숭례문 선로포의(崇禮門 宣露布儀) || 숭례문 선로포의 || 崇禮門 宣露布儀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환구단_황궁우_설립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html>
 
|-
 
|-
 
|}
 
|}
21번째 줄: 21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환구단_황궁우 설립]] || [[환구단]]  || [[isRelatedTo]]  ||  ||
+
| [[숭례문 선로포의]] || [[노포]]  || [[isRelatedTo]]  ||  ||
 
|-
 
|-
| [[환구단_황궁우 설립]] || [[신위판]] || [[isRelatedTo]] || ||
+
| [[숭례문 선로포의]] || [[이괄의 난]] || [[isRelatedTo]] || ||
 
|-
 
|-
| [[환구단_황궁우 설립]] || [[태조고황제]] || [[isRelatedTo]] || ||
+
| [[숭례문 선로포의]] || [[국조속오례의]] || [[isRelatedTo]] || ||
 +
|-
 +
| [[숭례문 선로포의]] || [[이인좌의 난]] || [[isRelatedTo]] || ||
 +
|-
 +
| [[숭례문 선로포의]] || [[오명항]] || [[isRelatedTo]] || ||
 
|-
 
|-
 
|}
 
|}
34번째 줄: 38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환구단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0617
 
|-
 
| 해설 || 위키백과 || 환구단 ||  || https://ko.wikipedia.org/wiki/환구단
 
 
|-
 
|-
| 해설 || 두산백과 || 환구단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4259
+
| 해설 || 한국문화사>의례와 상징>숭례문에서 행한 선로포의 || || ||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m/view.do?levelId=km_034_0030_0030_0050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시사상식사전 || 환구단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3667&docId=935050&categoryId=43667
 
 
|-
 
|-
 
|}
 
|}
51번째 줄: 49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심승구, 「제1차 세계대전과 식민공간의 재편 - 원구단과 조선철도호텔을 중심으로 -」, 『한국학논총』 42,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08024
 
|-
 
| 논문 || 박정해, 「宗廟와 社稷壇, 圜丘壇 立地의 風水環境」, 『영남학』 52,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3.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44688
 
|-
 
| 논문 || 목수현, 「대한제국의 원구단 : 전통적 상징과 근대적 상징의 교차점」, 『미술사와 시각문화』 4,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0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25996
 
|-
 
| 논문 || 정수인. 「대한제국시기 원구단의 원형복원과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학연구』 27,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62362
 
|-
 
| 논문 ||  박희용, 「대한제국의 상징적 공간표상, 원구단」, 『서울학연구』 40,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69328
 
|-
 
| 논문 ||  박희용, 「권력과 도시공간의 변화에 대한 연구– 대한제국기~일제강점기 정동을 중심으로」, 『도시인문학연구』 6-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50484
 
|-
 
| 논문 ||  목수현, 「관광 대상과 문화재 사이에서-숭례문, 황궁우, 경회루를 통해 본 근대 ‘한국’ 표상 건축물의 위상-」, 『동아시아문화연구』 59,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30467
 
 
|-
 
|-
| 단행본 || 이민원, 『한국의 황제』, 대원사, 2001. || ||
+
| 도록 || || ||
 
|-
 
|-
 
|}
 
|}

2021년 9월 8일 (수) 13:58 판

Definition

【1728년(영조 4)】. 숭례문 선로포의(崇禮門 宣露布儀).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이 진압된 뒤 숭례문에서 선로포의가 행하여졌다. 반란군은 3월 24일 안성과 죽산에서 관군에 의해 격파되었고, 청주, 영남, 호남 등에 남아 있던 무리들도 모두 무너졌다. 난을 진압하는데 당시 병조판서 오명항의 공이 컸다. 오명항은 적에게 승리한 사실을 노포(베나 비단)에 적어 왕에게 바쳤다. 왕은 열람한 뒤 그 내용을 만방에 알렸다. 그 뒤 이것은 국조속오례의에 정식 군사의례로 수록되었다. 노포란 글을 봉함하지 않고 여러 사람이 보고 들어 알도록 하기 위해 만든다는 뜻이다. 선로포의를 행할 때에는 긴 명주 천에 승전 사실을 적어 4척 길이의 장대에 매어 그 내용을 게시하는 것이 전통이 되었다. 노포의 위아래에는 붉은 실로 판축(版軸)을 묶어 사용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숭례문 선로포의 Event 사건 숭례문 선로포의(崇禮門 宣露布儀) 숭례문 선로포의 崇禮門 宣露布儀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환구단_황궁우_설립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숭례문 선로포의 노포 isRelatedTo
숭례문 선로포의 이괄의 난 isRelatedTo
숭례문 선로포의 국조속오례의 isRelatedTo
숭례문 선로포의 이인좌의 난 isRelatedTo
숭례문 선로포의 오명항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문화사>의례와 상징>숭례문에서 행한 선로포의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m/view.do?levelId=km_034_0030_0030_0050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도록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