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ontextual Relations) |
(→Node Description)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 | + | | [[미두]] || Actor || 단체 || || 미두(米豆) || 미두 || 米豆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미두 || <html><img width="60" src="http://dh.aks.ac.kr/hanyang2/icon/listing.png"/></html> |
|} | |} | ||
2021년 9월 1일 (수) 20:49 판
목차
Definition
【1911년 ~ 1912년】. 경학사(耕學社). 1910년대 초 만주에서 조직된 독립운동단체. 신민회 간부들이 국내 항일운동의 한계를 절실히 느끼고 제2의 독립운동 기지를 선정할 것과 독립군양성기관으로 무관학교를 설립할 것을 결의하였다. 각 도의 책임자를 선정하여 군자금을 조달하도록 하였고, 그해 여름 이회영(李會榮)·등은 만주로 가서 독립운동의 기지로 적합한 곳을 물색하였다. 1910년 말부터 1911년 초에 걸쳐 이회영 6형제와 이상룡(李相龍)·김창환(金昌煥)·등 각 도의 대표적 인사 100여 명이 가족과 함께 이주하였다. 병농일치의 원칙에 따라 농업개발과 군사교육, 민족의식 고취하여 구국인재를 양성하여 무장항일투쟁을 전개하는 데 교육의 주된 활동목표로 삼았다. 1912~13년에 걸친 흉작으로 인한 운영난으로 1914년 해산하였다. 이후 부민단(扶民團)으로 계승되었고, 부민단은 1919년 3·1운동 직후 한족회(韓族會)로 개편되었다. 이 한족회는 군사기관인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를 설립하고, 신흥강습소의 후신인 신흥학교를 신흥무관학교로 개편하여 독립군 사관을 양성할 수 있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미두 | Actor | 단체 | 미두(米豆) | 미두 | 米豆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미두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미두 | 탁류 | isRelatedTo | ||
미두 | 지주회시 | isRelatedTo | ||
미두 | 인천미두거래소 | isRelatedTo | ||
미두 | 반복창 | isRelatedTo | ||
미두 | 인천미두취인소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미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9906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인천미두거래소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8075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논문 | 허병식. 「조탕과 미두장, 유원지 혹은 악마굴 -근대도시 인천의 장소정체성-」, 『한국학연구』 45,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30120 |
논문 | 김기성. 「개항기 정기미시장(定期米市場)의 도입과 미곡 거래 방식의 다변화」, 『한국사연구』 191, 한국사연구회, 202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70499 |
논문 | 임명진. 「채만식 『濁流』의 ‘장소(場所)’에 관한 일 고찰」, 『현대문학이론연구』 59,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38346 |
논문 | 김대웅. 「이상 소설 「지주회시(鼅鼄會豕)」에 나타난 자본주의의 문제」, 『어문론총』 85, 한국문학언어학회, 202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28549 |
논문 | 김민화. "「930년대 부산미곡취인소의 설립과 활동」, 『지역과 역사』 42, 부경역사연구소, 201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46299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