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요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clickable button|[[참고문헌(전체)]]}} | + | {{clickable button|[[참고문헌|참고문헌(전체)]]}} |
=='''덕수궁 권역'''== | =='''덕수궁 권역'''== | ||
덕수궁은 대한제국시기 고종의 거처로 이용된 궁궐로, 본래 조선전기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의 집터였던 것을 임진왜란 이후 선조의 임시거처로 사용하면서 정릉동 행궁으로 불리다가 광해군 때에 경운궁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1907년 황위를 양위 받은 순종이 고종의 장수를 빈다는 의미에서 덕수궁(德壽宮)이라 개칭하였다. 아관에서 환궁한 1897년 이후 나라와 황실의 엄청난 변화와 사건들이 일어났던 역사적 장소로 주목된다. | 덕수궁은 대한제국시기 고종의 거처로 이용된 궁궐로, 본래 조선전기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의 집터였던 것을 임진왜란 이후 선조의 임시거처로 사용하면서 정릉동 행궁으로 불리다가 광해군 때에 경운궁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1907년 황위를 양위 받은 순종이 고종의 장수를 빈다는 의미에서 덕수궁(德壽宮)이라 개칭하였다. 아관에서 환궁한 1897년 이후 나라와 황실의 엄청난 변화와 사건들이 일어났던 역사적 장소로 주목된다. |
2021년 8월 18일 (수) 13:58 기준 최신판
목차
덕수궁 권역
덕수궁은 대한제국시기 고종의 거처로 이용된 궁궐로, 본래 조선전기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의 집터였던 것을 임진왜란 이후 선조의 임시거처로 사용하면서 정릉동 행궁으로 불리다가 광해군 때에 경운궁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1907년 황위를 양위 받은 순종이 고종의 장수를 빈다는 의미에서 덕수궁(德壽宮)이라 개칭하였다. 아관에서 환궁한 1897년 이후 나라와 황실의 엄청난 변화와 사건들이 일어났던 역사적 장소로 주목된다.
고문헌 자료
No. | 자료명 | 간행시기 | 내용 | 비고 | 소장처 |
---|---|---|---|---|---|
1 | 중화전영건도감의궤(中和殿營建都監儀軌) | 1901-1904 | 경운궁 중화전의 신축 공사 과정을 기록한 의궤 | 불타기 이전의 중화전 신축 과정 수록 / 총 9부 제작 | 규장각(奎14914) |
2 | 덕수궁중건도감상하기(德壽宮重建都監上下記) | 1906 | 덕수궁 중건을 기록한 의궤 | 덕수궁 중건과 관련한 도감 상·하 수록 | 규장각(奎26089) |
3 | 경운궁중건도감의궤(慶運宮重建都監儀軌) | 1904-1906 | 경운궁 중건 사실을 기록한 의궤 | 건물과 내외부 장식 등의 그림을 수록 / 각 척량과 소요자재 기록 | 규장각(奎14328) |
4 | 근대건축도면집 | 1906-1936 | 덕수궁평면도 등과 국장 당시의 여러 도면 수록 | 장서각 | |
5 | 영정모사도감의궤, 어진도사도감의궤 | 1900, 1901, 1902 | 고종 7대조와 태조·세조·원종 등의 어진 모사와 덕수궁 선원전, 반차 등에 관한 상세 내용 수록 | 장서각, 규장각 |
단행본
- 이태진·이민원 외, 『대한제국의 역사적 위상 회복과 덕수궁 중명전 복원의 의미』,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2010.
- 문화재청 편, 『수난의 문화재 - 이를 지켜낸 인물이야기』, 눌와, 2008
- 신영훈, 『한국의 고궁 : 경복궁·창덕궁·창경궁·후원·종묘·덕수궁·경희궁』, 한옥문화, 2005.
- 마쓰우라쇼오지, 『천년을 이어온 궁궐 목수의 삶과 지혜』, J&C, 2003.
- 김동현, 『서울의 궁궐 건축』, 시공사, 2002.
- 김정동, 『남아있는 역사 사라지는 건축물』, 대원사, 2000.
- 김정동, 『김정동 교수의 근대 건축기행』, 푸른역사, 1999.
- 申榮勳, 『조선의 궁궐』, 조선일보사, 1999.
- 안휘준, 『옛궁궐그림』, 대원사, 1997.
- 김대벽, 『서울의 궁궐 창덕궁·창경궁·경복궁·덕수궁·종묘』, 朝鮮日報社, 1997.
- 조선일보사, 『서울의 궁궐』, 조선일보사, 1997.
- 우경서, 『궁궐건축』, 발언, 1996
- 열화당편집부, 『韓國의古宮 建築 : 景福宮 昌德宮 昌慶宮 德壽宮 宗廟』, 열화당, 1993.
- 이강근, 『한국의 궁궐』, 대원사, 1991
- 신영훈 등, 『韓國의 古宮 建築: 景福宮 昌德宮 昌慶宮 德壽宮 宗廟』, 悅話堂, 1988.
- 尹一柱, 『韓國洋式建築80年史』, 冶庭文化社, 1966.
- 『德壽宮國葬畵帖』, 京城日報社, 1919.
문화재청 및 박물관 간행물
- 『조선왕실의 현판Ⅰ』, 국립고궁박물관, 2020.
- 『덕수궁 돈덕전지(Ⅱ) -덕수궁 돈덕전 지하실 건립부지 문화재 발굴조사 보고서-』, (재)고려문화재연구소, 2020.
- 『대한제국 황제의 궁궐(2020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특별전)』,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2020.
- 『서울 덕수궁 돈덕전 권역 내 추가부지 문화재 시·발굴조사 보고서』, (재)서라벌문화재연구원, 2019.
- 『덕수궁 선원전 권역 근대건축물 철거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궁능문화재과, 2019.
- 『덕수궁 광명문 해체실측 및 이건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8.
- 『덕수궁 돈덕전지 발굴조사 보고서』, (재)고려문화재연구소, 2018.
- 『덕수궁 중화전 일월오악도 보존처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2018.
- 『덕수궁 광명문지 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청, 혜안문화재연구원, 2018.
- 『덕수궁원안(德壽宮原案)』,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2017.
- 『덕수궁 조경정비 기본계획』, 문화재청, 2016.
- 『덕수궁 돈덕전 복원 조사연구』, 문화재청, 2016.
- 『영건, 조선 궁궐을 짓다』, 국립고궁박물관, 2016.
-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2015.
- 『덕수궁 석어당 해체실측 및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5.
- 『덕수궁 석조전 실측 및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4.
- 『덕수궁 선원전 복원정비 기본 계획』, 문화재청, 2014.
- 『덕수궁 선원전지 발굴조사 약보고서』, (재)동양문물연구원, 2013.
- 『덕수궁 광명문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2.
- 『덕수궁 즉조당 수리 보고서』, 문화재청, 2012.
- 『덕수궁 덕홍전 행각지(중배설청.이안청) 발굴조사 보고서』, (재)고려문화재연구소, 2012.
- 『덕수궁 덕홍전 융안문 및 행각 복원공사 보고서』, 문화재청, 2011.
- 『덕수궁 석조전 본관 복원공사 자료집』, 문화재청, 2011.
- 『덕수궁 준명당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0.
- 『덕수궁 함녕전 행각 복원공사보고서』, 문화재청, 2009.
- 『궁궐의 장식그림』, 국립고궁박물관, 2009.
- 『덕수궁 석조전(본관) 원형복원 계획 및 활용방안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9.
- 『덕수궁 중명전 보수·복원 보고서』, 문화재청, 2009.
- 『덕수궁 석조전 동관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7.
- 『대한문(大漢門)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5.
- 『덕수궁 복원정비 기본계획』, 문화재청, 2005.
- 『2005 궁·능 수리보고서(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종묘, 각 능)』, 문화재청, 2005.
- 『덕수궁 정관헌 기록화 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2004.
- 『궁능관련유리원판도록』, 문화재청, 2004.
- 『덕수궁 석조전 정밀구조안전진단 보고서』, (주)도화구조기술사사무소, 2003.
- 『중화전실측수리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2.
- 『함녕전실측수리조사보고서』, 조선건축사사무소 문화재청, 2002.
- 『고궁 건물막새 등 문양조사(덕수궁 현황조사 야장)』, 문화재청, 2000.
- 『昌德宮奎章閣, 舊璿源殿圈域發掘調査報告書』, 문화재청, 2000.
- 『덕수궁중화전 및 종묘재궁 보수설계공사』, 문화재관리국, 1995.
- 文化財管理局 편, 『韓國의 古宮』, 文化財管理局, 1980.
- 『덕수궁 미술관 소장품목록2』,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8.
- 『덕수궁 미술관 소장품목록1』,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7.
정동 권역
‘정동’이라는 이름은 조선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능인 정릉이 있던 곳이라 정릉동이라 하였던 것을 줄여 정동이라 한 데서 유래되었다. 한성부 서부 황화방과 호현방 일부 지역이었는데, 조선 후기 이래로 황화방 소속이었다가, 1914년 4월 1일 경성부 구역 획정에 따라 경기도고시 제7호에 의해 서부 대정동과 소정동을 합쳐 ‘정동’이 되었다. 이곳은 덕수궁이 소재하고 있어, 그 주변에 많은 외국 공사관과 근대 학교, 종교시설 등이 들어서서 근대의 정치·외교·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고문헌 자료
No. | 자료명 | 간행시기 | 내용 | 비고 | 소장처 |
---|---|---|---|---|---|
1 | 고종·순종실록 | 조선말, 대한제국기에 정동에 주재한 각국 외교관과의 관련 정보 기술 | |||
2 | 봉호일기 | 1795 | 조진택은 정동(貞洞)에 본제(本第)가 있었고, 쌍동(雙洞)에서 살면서 일기 기술 | 조진택의 관직 생활 및 일상사를 적은 일기 | 장서각(K2-0896) |
3 | 공사청일기(公事廳日記) | 1901 | 1896년 12월 29일 아관파천 이후의 기사에는 고종의 소재처가 ‘駐御于俄館’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러시아 공사관에서 정무를 본 기록이 3책에 기록 | 내시들이 소속되어 있던 공사청에서 편찬한 관청일기 | 장서각(K2-0165) |
4 | 윤치호일기(尹致昊日記) | 1880-1940 | 1918년 9월 4일 오후 4시 정동교회에서 헨리 아펜젤러와 루드 노블 양이 결혼하는 등 정동교회와 관련된 18건 수록 | 윤치호가 60년간 쓴 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개인소장 |
5 | 황성신문 등 각종 신문류 | 정동의 각종 사실, 사건 등을 사진과 함께 수록 |
단행본
- 안창모 , 『정동+덕수궁 : 근대 한국의 원 공간』, 서울특별시 중구문화원, 2013.
- 이순우, 『정동과 각국공사관』, 하늘재, 2012.
- 서울시립대학교, 『(대한제국기 정동을 중심으로 한) 국제교류와 도시건축에 대한 학술연구』, 서울학연구소 서울역사박물관, 2011.
- 임석재, 『서울, 건축의 도시를 걷다』 1-사대문 안과 구도심, 인물과사상사, 2010.
- 『대한제국 -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0.
- 박은숙, 「개항 후 서울 도시 공간의 재편과 성곽 철거」, 『내일을 여는 역사』33, 서해문집, 2008.
- 심승희, 『서울 시간을 기억하는 공간』, 나노미디어, 2004.
- 장규식, 『서울 공간으로 본 역사』, 혜안, 2004.
- 『서울시 중구 정동 1-39번지 일대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 학술문화사, 2003.
문화재청 및 박물관 간행물
- 『대한제국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추다』, 국립고궁박물관, 2018.
-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 정밀실측 보고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 2013.
- 『서울역사박물관 개관 10주년 기념 – 정동1900』, 서울역사박물관, 2012.
- 『대한제국기 정동을 중심으로 한 국제교류와 도시건축에 대한 학술연구』, 서울역사박물관, 2011.
- 『100년 전의 기억, 대한제국』, 국립고궁박물관, 2010.
- 『대한제국 1907 헤이그 특사』, 문화재청, 2006.
환구단 권역
환구단은 천자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신단으로, 고려 이래 조선 초기까지 존재하였다가, 세조 때 제후국의 왕이 하늘제사를 지냄이 합당하지 않다는 논의로 인해 폐지되었다. 이후 고종이 1897년(광무1) 황제국인 대한제국의 개국을 선포하는 것을 기화로 천단을 다시 건립하였다. 남별궁이 있던 장소(지금의 소공동)에 천단과 황궁우 등을 짓고, 이곳에서 황제즉위식을 거행하여 황제국의 시작점이 되었다. 1967년 7월 15일에 사적 제157호로 지정되었다.
고문헌 자료
No. | 자료명 | 간행시기 | 내용 | 비고 | 소장처 |
---|---|---|---|---|---|
1 | 환구단수개축문(圜丘壇修改祝文) | 미상 | 환구단 개수(改修) 때의 축문 | 환구단을 수리하고 올린 축문, 고문서 | 장서각(MF 35-004667) |
2 | 환구단의궤(圜丘壇儀軌) | 융희연간 | 융희연간에 환구단에서 기곡제(祈穀祭)와 동지대제(冬至大祭), 예고제(預告祭)를 지낼 때 사용한 축식 | 통례원 주관, 환구제 3일 전에 지내는 「종묘제일실예고축(宗廟第一室預告祝)」포함 | 장서각(K2-2523) |
3 | 환구단사제서의궤(圜丘壇祠祭署儀軌) | 대한제국(1897-1899) | 고종 황제가 환구단(丘壇)에 친림(親臨)하여 제사 지낸 제반 절차와 과정을 기록한 의궤 | 환구단사제서(圜丘壇祠祭署) 편찬 | 규장각(한은 143) |
4 | 대한예전 | 환구단 고유제와 고종의 황제 즉위식, 도면 등에 관한 기록 | 장서각 | ||
5 | 대례의궤 | 환구단에서의 고종 황제즉위식 등 관련 제반 사실을 정리 | 규장각 |
문화재청 및 박물관 간행물
- 『환구단(황궁우) 종합정비계획』, 서울특별시 중구청, 2016.
- 『환구단 : 정밀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2.
- 『환구단 정문 정밀실측조사보고서』, 서울특별시 중구청, 2009.
- 『환구단 정비 기본계획 보고서 : 연구보고서』, 서울특별시 중구청, 2007.
숭례문 권역
숭례문(남대문)은 조선시대 한양조성의 정문으로 1398년(태조7) 2월에 준공되었다. 일명 남대문이라고도 한다. 기단 양측에는 원래 성벽이 연결되어 있었으나, 1908년 길을 내기 위하여 헐어내어 현재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1962년 12월 20일에 국보 제1호로 지정되었다. 2008년 2월 10일 방화로 인해 2층 누각의 90%가 소실되었으나, 약 5년 만인 2013년 4월 29일에 복원을 완료하여 지금의 모습을 하고 있다.
고문헌 자료
자료명 | 간행시기 | 내용 | 비고 | 소장처 | |
---|---|---|---|---|---|
1 | 조선왕조실록 | 숭례문 건립과 그 이후의 관련 기사 | |||
2 | 사전별의궤(祀典別儀軌) | 1643 | 오십신위제(五十神位祭)에 쓰이는 축문이 수록, 숭례문의 오십 신위에 드리는 제사의 축문 기록 | 장서각(K2-2537) | |
3 | 조선고적도보 | 1915-1935 | 숭례문의 사진 등 수록 | ||
4 | 고종·순종실록과 | 숭례문에 관한 기사 | |||
5 | 승정원일기 | 숭례문에 관한 기사 | |||
6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 일제시기 | 일제강점기 조선문서철에 있던 숭례문 관련 문서와 도면, 보물 지정 대장, 고적 숭례문 사용 방안 승인 신청서 등 8건의 문서 | 국립중앙박물관 |
단행본
- 최종덕, 『숭례문 세우기 - 숭례문 복구단장 5년의 현장 기록』, 돌베개, 2014.
문화재청 및 박물관 간행물
- 『숭례문 지반 복구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5.
- 『숭례문 정밀 구조안전진단 연구 보고서』, 문화재청, 2014.
- 『숭례문 복구 및 성곽 복원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3.
- 『숭례문 복구 및 성곽 복원공사 해체실측보고서』, 문화재청, 2013.
- 『숭례문의 혼을 다시 깨우다(2012-2013 숭례문 복구 현황)』, 문화재청, 2013.
- 『숭례문 복구공정 3D정보구축 산출도면』, (주)미래디지털아카이브, 2012.
- 『숭례문 복구공정 3D정보구축 산출 DATA』, (주)미래디지털아카이브, 2012.
- 『숭례문의 혼을 다시 깨우다(2011 숭례문 복구 현황)』, 문화재청, 2011.
- 『숭례문 발굴조사 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1.
- 『숭례문 발굴조사 자문회의(3차)자료』,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0.
- 『숭례문 목부재 연륜연대 분석 및 기증목재 기초조사 연구보고서』, 문화재청 수리기술과, 2011.
- 『숭례문 육축하부구간 구조안정성검토 연구보고서』, 문화재청, 2010.
- 『숭례문 발굴조사 자문회의(3차)자료』,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2010.
- 『전통의 기법으로 다시 태어나는 숭례문 (전통기법을 사용한 숭례문 복구를 위한 특별세미나)』, 문화재청, 2010.
- 『숭례문 복구공정 3D정보구축 결과보고서』, (주)미래디지털아카이브, 2010.
- 『숭례문 복구용 전통기와가마 복원 연구 보고서』, 문화재청, 2010.
- 『숭례문의 혼을 다시 깨우다(2010 숭례문 복구 현황)』, 문화재청, 2010.
- 『숭례문(崇禮門) : 숭례문 현판 보존처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 『숭례문 복구 공사 방재 용역 결과보고서』, 문화재청, 2009.
- 『숭례문 부재 보존처리 결과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 『숭례문 단청조사 연구보고서』, 문화재청 수리기술과, 2009.
- 『숭례문 화재부산물 분류 및 보존처리 결과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 『숭례문 전통철물의 제작방안 연구』, 문화재청, 2009.
- 『숭례문의 혼을 다시 깨우다(2008~2009숭례문 복구 현황)』, 문화재청, 2009.
- 『숭례문 화재수습부재 조사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 『숭례문복구용 전통기와 제작 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 『숭례문 기억, 아쉬움 그리고 내일』, 문화재청, 2009.
- 『언론에 비친 숭례문 화재 지난 1년』, 문화재청, 2009.
- 『숭례문 화재 피해현황 및 수습 보고서』, 서울특별시 중구청, 2008.
- 『숭례문 복원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 『서울 숭례문 정밀 실측조사보고서』, 서울특별시 중구, 2006.
돈의문 권역
서대문은 서울성곽의 4대문 중의 하나이다. 1396년(태조5) 건립 당시의 정식 명칭은 돈의문(敦義門)이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숙종 때인 1711년 다시 건립되었으나, 1915년 일제의 도시계획에 따른 도로 확장을 핑계로 철거되어 지금은 현존하지 않는다. 원래 자리가 경희궁 터에서 독립문 쪽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쯤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대문 중 유일하게 미복원 상태로 있어 복원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고문헌 자료
No. | 자료명 | 간행시기 | 내용 | 비고 | 소장처 |
---|---|---|---|---|---|
1 | 조선왕조실록 | 서대문 건립과 그 이후의 제반 사실 수록 | 규장각 | ||
2 | 서울의 옛지도 | 서대문과 그 주변의 변화 등을 나타냄 | 규장각, 장서각 |
문화재청 및 박물관 간행물
- 서울역사박물관, 『서울특별시 문화유적 지표조사 종합보고서(Ⅳ)』, 서울역사박물관, 2005.
- 서울역사박물관, 『서울특별시 문화유적 지표조사 종합보고서(Ⅲ)』, 서울역사박물관, 2005.
- 서울역사박물관 편, 『돈의문 밖, 성벽 아랫마을』, 서울역사박물관, 2009.
- 『서울의 전차』, 서울역사박물관. 2019.
서울역 권역
서울역의 전신인 남대문역은 1900년에 경인선이 확장되면서 설치되었다. 그 후 1923년에 남대문역을 확장하고 새 역사를 지으면서 경성역으로 불리우게 되었다. 원래 경성역은 경인선·경부선의 종착역이었던 서대문역의 이름이었는데, 1904년에 경성역이 서대문역으로 이름이 바뀌면서 한동안 쓰이지 않다가 남대문역의 새이름이 된 것이다. 1947년에 경성부가 서울특별시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역 이름도 서울역으로 바뀌었다. 현재 남아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물 중 가장 뛰어난 외관을 갖고 있어 사적 제284호로 지정되었다.
고문헌 자료
No. | 자료명 | 간행시기 | 내용 | 비고 | 소장처 |
---|---|---|---|---|---|
1 | 윤치호일기(尹致昊日記) | 1880-1940 | 서울 집에서 여행을 떠나는 브로크만 씨 부부를 배웅하러 서울역으로 나가는 등 15건 기록 | 서울역 식당, 기차탑승 등의 내용 수록 | 국사편찬위원회, 개인소장 |
2 | 화행일기(華行日記) | 1917 | 1917년 2월 14일 모포와 이불, 벼루 하나와 붓 한 자루와 먹 1개를 준비해 서울역에서 기차에 오르는 장면 등 기록 | 안효진(安孝鎭)작성 | 장서각(B15IC-6) |
3 | 순종실록 | 남대문역(경성역) 관련 기사 | |||
4 | 황성신문 등 각종 신문류 | 남대문역, 경성역, 서울역 관련 기사 | |||
5 | 서울역사 | 2005 | 서울역의 역사 기록화 조사보고서 | 문화재청 |
단행본
- 서울역사편찬원, 『식민도시 경성, 차별에서 파괴까지』, 서울역사편찬원, 2019.
- 서울역사편찬원, 『근대문화유산과 서울 사람들』, 서울역사편찬원, 2017.
- 서울역사편찬원, 『국역 경성도시계획조사서』, 서울역사편찬원, 2016.
- 서울역사편찬원, 『국역 경성발달사』, 서울역사편찬원, 2016.
- 김기찬, 『역전 풍경 – 서울역 부근 1968-1983』, 눈빛, 2014.
문화재청 및 박물관 간행물
- 『서울역사(근대문화유산 기록화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4.
제권역 공통 자료
- 『도성대지도』, 서울역사박물관, 2020.
- 공준원, 『5궁과 도성: 서울의 다섯 궁궐과 도성 – 고궁의 역사와 배치도 사료 기록 발췌』, 생각나눔, 2020.
- 최열, 『옛 그림으로 본 서울』, 혜화1117, 2020.
- 『서울 한양도성』, 서울역사박물관 한양도성연구소, 2019.
- 『1904 입체사진으로 본 서울풍경』, 서울역사박물관, 2018.
- 전국역사지도사모임, 『표석을 따라 한성을 거닐다』, 유씨북스, 2018.
- 『1920~1930년대 그림으로 보는 경성과 부산』, 서울역사박물관, 2017.
- 『서울 2천년사』 1권~40권. 서울역사편찬원, 2016.
- 전국역사지도사모임, 『표석을 따라 경성을 거닐다』, 유씨북스, 2016.
- 『도성일관』, 서울역사박물관 한양도성연구소, 2015.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아카이브 자료집 1 – 현대사 현장 기록』,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5.
- 『대경성부대관』, 서울역사박물관, 2015.
- 『1908 한성부지적도』, 서울역사박물관, 2015.
- 『都城一觀(도성일관)』, 한양도성박물관, 2015.
- 『서울역사박물관600년 서울을 담다 상설전시도록』, 서울역사박물관, 2013.
- 『조선의 궁궐과 종묘』, 눌와, 2010.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 사적』(전2권), 문화재청, 2010.
- 홍순민, 『서양인이 만든 근대 전기 한국 이미지 1: 서울 풍광』, 청년사, 2009.
- 우동선, 박성진, 『궁궐의 눈물 백 년의 침묵: 제국의 소멸 100년 우리 궁궐은 어디로 갔을까』, 효형출판, 2009.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韓國學資料叢書 40 : 近代建築圖面集 - 해설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韓國學資料叢書 40 : 近代建築圖面集 - 도면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 『서울지도』, 서울역사박물관, 2006.
- 『우리 옛지도』, 서울역사박물관, 2006.
- 현대건축사, 『전통건축』, 현대건축사, 2003.
- 韓國傳統建築硏究會, 『韓國傳統建築』, 향토, 2001.
- 韓國傳統建築硏究會, 『韓國傳統建築』1(宮闕建築), 黃土出版社, 1997.
- 대한건축학회, 『한국건축사』, 기문당, 1996.
- 허영환, 『정도600년서울지도』, 범우사, 1994.
- 리화선, 『조선건축사』2, 발언, 1993.
- 李鎭昊, 『大韓帝國地籍 및 測量史』, 토지, 1988.
- 정인국, 『한국건축양식론』, 일지사, 1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