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2-08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번째 줄: 20번째 줄:
 
='''[[S2022-R2-08 | 효명세자의 입학례와 복식]] 》 <출궁의> 공정책을 쓰고 문묘로 가는 효명세자 '''=
 
='''[[S2022-R2-08 | 효명세자의 입학례와 복식]] 》 <출궁의> 공정책을 쓰고 문묘로 가는 효명세자 '''=
 
==Story==
 
==Story==
1817년 4월 26일(음력 3월 11일). 효명세자는 입학례를 치르기 위해 관원들과 함께 창경궁 이극문을 나와 성균관 [[문묘_대성전 | 문묘 대성전]]으로 향한다.  문묘의 동문 밖에 이르러 연에서 내려 편차(便次)에 들어 작헌례가 시작되기를 기다린다. 이 과정은 『[[왕세자입학도]]』에 그려진 「출궁의」에 해당하고, 세자의 모습은 생략되었지만 의주에 기록된 내용과 전례서, 『순조실록』 등을 통해 효명세자의 「출궁의」 절차와 복식을 파악할 수 있다.
+
1817년 4월 26일(음력 3월 11일). 효명세자는 입학례를 치르기 위해 관원들과 함께 창경궁 이극문을 나와 성균관 [[문묘_대성전 | 문묘 대성전]]으로 향한다.  문묘의 동문 밖에 이르러 연에서 내려 편차(便次)에 들어서 작헌례의 시작을 기다린다. 이 과정은 『[[왕세자입학도]]』에 그려진 「출궁의」에 해당하고, 세자의 모습은 생략되었지만 의주에 기록된 내용과 전례서, 『순조실록』 등을 통해 효명세자의 「출궁의」 절차와 복식을 파악할 수 있다.
  
 
효명세자의 입학례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는 1817년 2월 16일(음력 1월 1일) 좌의정 한용구(韓用龜)<ref> 원문 번역에서는 한용귀라고 나와 있으나, '龜'를 땅의 이름 또는 나라의 이름을 뜻하는 '구'자로 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ref>와 우의정 김사목(金思穆)의 주청으로 시작된다.<ref>[https://sillok.history.go.kr/id/kwa_11701001_003 『조선왕조실록』, 순조 17년 1월 1일: 한용구와 김사목의 요청으로 왕세자의 입학 날짜를 가려 정하다]</ref> 주로 1761년(영조 37)에 거행된 정조의 왕세손 입학례를 참고하여 결정하는데, 효명세자의 경우는 관례를 치르지 않은 상태의 입학례라는 점에서 여러 문제가 제기되었다. 그 가운데 복식은 무엇으로 결정되는지 알아보자.
 
효명세자의 입학례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는 1817년 2월 16일(음력 1월 1일) 좌의정 한용구(韓用龜)<ref> 원문 번역에서는 한용귀라고 나와 있으나, '龜'를 땅의 이름 또는 나라의 이름을 뜻하는 '구'자로 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ref>와 우의정 김사목(金思穆)의 주청으로 시작된다.<ref>[https://sillok.history.go.kr/id/kwa_11701001_003 『조선왕조실록』, 순조 17년 1월 1일: 한용구와 김사목의 요청으로 왕세자의 입학 날짜를 가려 정하다]</ref> 주로 1761년(영조 37)에 거행된 정조의 왕세손 입학례를 참고하여 결정하는데, 효명세자의 경우는 관례를 치르지 않은 상태의 입학례라는 점에서 여러 문제가 제기되었다. 그 가운데 복식은 무엇으로 결정되는지 알아보자.
73번째 줄: 73번째 줄:
 
|-
 
|-
 
| [[ 관례전-왕세자_서연복 ]] || [[ 흑피화 ]] || [[ hasPart ]] ||  ||  
 
| [[ 관례전-왕세자_서연복 ]] || [[ 흑피화 ]] || [[ hasPart ]] ||  ||  
 +
|-
 +
| 관례전-왕세자_서연복 ]] || [[ 출궁의-왕세자입학도 | 출궁의 ]] || [[ isWornIn ]] ||  ||
 
|-
 
|-
 
| [[ 창경궁_이극문 ]] || [[ 출궁의-왕세자입학도 | 출궁의 ]] || [[ isHeldAt ]] ||  ||  
 
| [[ 창경궁_이극문 ]] || [[ 출궁의-왕세자입학도 | 출궁의 ]] || [[ isHeldAt ]] ||  ||  

2023년 1월 21일 (토) 03:30 판


효명세자의 입학례와 복식 》 <출궁의> 공정책을 쓰고 문묘로 가는 효명세자

Story

1817년 4월 26일(음력 3월 11일). 효명세자는 입학례를 치르기 위해 관원들과 함께 창경궁 이극문을 나와 성균관 문묘 대성전으로 향한다. 문묘의 동문 밖에 이르러 연에서 내려 편차(便次)에 들어서 작헌례의 시작을 기다린다. 이 과정은 『왕세자입학도』에 그려진 「출궁의」에 해당하고, 세자의 모습은 생략되었지만 의주에 기록된 내용과 전례서, 『순조실록』 등을 통해 효명세자의 「출궁의」 절차와 복식을 파악할 수 있다.

효명세자의 입학례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는 1817년 2월 16일(음력 1월 1일) 좌의정 한용구(韓用龜)[1]와 우의정 김사목(金思穆)의 주청으로 시작된다.[2] 주로 1761년(영조 37)에 거행된 정조의 왕세손 입학례를 참고하여 결정하는데, 효명세자의 경우는 관례를 치르지 않은 상태의 입학례라는 점에서 여러 문제가 제기되었다. 그 가운데 복식은 무엇으로 결정되는지 알아보자.

왕세자가 입학례 장소로 가기 위한 출궁의 복식은 서연복(書筵服)[3]으로 『국조오례의보서례』 권2 가례(嘉禮)에서 익선관, 곤룡포, 옥대(玉帶), 흑피화(靴)로 규정한다.[4] 그러나 이 규정은 관례를 치른 왕세자에게 적용되는 복식이었고, 효명세자는 관례 전의 책복제도[5] 가 적용되어 쌍동계(雙童髻) [6], 쌍옥도(雙玉導)[7], 공정책(空頂幘),[8] 곤룡포, 옥대, 화를 착용하게 된다.

효명세자는 머리 양쪽에 2개의 상투를 트는 쌍동계를 하고, 정수리가 비어 있는 형태의 책(幘) 즉 미성년자임을 형상화하는 공정책을 쓴다. 그 뒤 옥으로 만든 2개의 쌍옥도를 꽂아 공정책을 고정한다.[9] 곤룡포는 아청색으로 가슴과 등, 양 어깨에 금사조원룡보(金四爪圓龍補)를 달았으며, 허리에는 조각하여 꾸미지 않은 독옥대(禿玉帶), 신발은 흑궤자피(黑琯子皮) 또는 흑서피(黑黍皮)로 만든 흑화[10]를 신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E2022-R2-08A Story Episode <출궁의> 공정책을 쓰고 문묘로 가는 효명세자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2-08A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022-R2-08A 왕세자입학도 isRelatedTo
E2022-R2-08A 1817_왕세자입학례 isRelatedTo
E2022-R2-08A 효명세자 isRelatedTo
E2022-R2-08A 창경궁_이극문 isRelatedTo
E2022-R2-08A 문묘_대성전 isRelatedTo
E2022-R2-08A 출궁의 isRelatedTo
E2022-R2-08A 관례전-왕세자_서연복 isRelatedTo
관례전-왕세자_서연복 쌍동계 hasPart
관례전-왕세자_서연복 쌍옥도 hasPart
관례전-왕세자_서연복 공정책 hasPart
관례전-왕세자_서연복 독옥대 hasPart
관례전-왕세자_서연복 곤룡포-왕세자 hasPart
관례전-왕세자_서연복 흑피화 hasPart
관례전-왕세자_서연복 ]] 출궁의 isWornIn
창경궁_이극문 출궁의 isHeldAt
문묘_대성전 출궁의 isHeldAt
창경궁_이극문 문묘_대성전 isPreviousInSequenceTo
쌍동계 출궁의 isWornIn
쌍옥도 출궁의 isWornIn
공정책 출궁의 isWornIn
옥대-왕세자 출궁의 isWornIn
곤룡포-왕세자 출궁의 isWornIn
흑피화 출궁의 isWornIn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원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조선시대 법령자료 > 국조속오례의보서례 왕세자의 서연복제도(書筵服制度) https://db.history.go.kr/law/item/compareViewer.do?levelId=jlawb_250r_0020_0010_0040
해설, 원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조선시대 법령자료 > 국조속오례의보서례 왕세자 관례(冠禮) 전의 책복제도(幘服制度) https://db.history.go.kr/law/item/compareViewer.do?levelId=jlawb_250r_0020_0010_0050
해설, 원문 조선왕조실록 순조 17년 3월 11일: 왕세자가 문묘에 나아가 작헌례를 행하고, 이어 입학례를 행하다 https://sillok.history.go.kr/id/kwa_11703011_001
원문, 해설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조선시대 법령자료 > 국조오례의 권4 왕세자 입학 의주 https://db.history.go.kr/law/item/compareViewer.do?levelId=jlawb_220r_0040_0010_0180
해설 조선왕조실록사전 서연복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03468
해설 조선왕조실록사전 쌍동계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04238
해설 조선왕조실록사전 쌍옥도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14567
해설 조선왕조실록사전 공정책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00664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공정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4439
이미지, 해설 국립고궁박물관 > 소장품검색 왕세자입학도(王世子入學圖)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cultureSeq=00021351AU
이미지, 해설 문화재청국가문화유산포털 왕세자입학도첩 (王世子入學圖帖)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1103070000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9788954635967 단행본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RISS http://www.riss.kr/link?id=M13767440
ISBN:893491272303900 단행본 김문식,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영사, 2003. RISS http://www.riss.kr/link?id=M8890748
ISBN:9788971057100 단행본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가례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RISS http://www.riss.kr/link?id=M11634484
ISBN:9788971057759 단행본 강제훈 외, 『조선 왕실의 가례2』,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RISS http://www.riss.kr/link?id=M12323857
RISS:A107976121 논문 최연우, 「조선후기 공정책(空頂幘)의 제정 및 사용」, 『한복문화』 20(3), 한복문화학회, 2017. RISS http://www.riss.kr/link?id=A103528054
ISBN:A100956820 논문 손윤혜 외, 「1817년 효명세자 입학례의 왕세자 복식 고증 」, 『문화재』 46-1, 국립문화재연구원, 2013. RISS http://www.riss.kr/link?id=A100956820
RISS:T14177884 논문 정희정, 「조선시대 왕세자 입학례 절차와 복식 연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RISS http://www.riss.kr/link?id=T14177884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