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하추 納哈出"의 두 판 사이의 차이
(→Web Resource) |
(→Bibliography) |
||
54번째 줄: | 54번째 줄: |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ISBN: | + | | ISBN: || 단행본 || 김운회, 『몽골은 왜 고려를 멸망시키지 않았나』, 역사의아침, 2015. || || |
|- | |- | ||
− | | | + | | ISBN: || 단행본 || 이상훈·이완희·이정원·홍묘숙, 『조선주사』, 지식과감성, 2022. || || |
+ | |- | ||
+ | | || 논문 || 이왕무, 「원명교체기 한중 외교 관계의 전환 고찰」, 『圃隱學硏究』 21, 포은학회, 2018. || || | ||
|- | |- | ||
|} | |} |
2022년 12월 11일 (일) 17:12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쌍성총관부 탈환을 위해 고려를 쳐들어왔던 북원 장수.
나하추는 북원(北元)의 장수이며, 집안 대대로 요동지방의 군 지휘관을 역임했다. 공민왕 11년(1362) 2월, 나하추는 고려가 수복한 쌍성총관부를 탈환하기 위해, 쌍성총관부의 잔당 조소생과 함께 고려의 동북면(함경남도 홍원 지방)으로 쳐들어왔다. 이에 고려 조정은 이성계를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로 삼아 적을 막게 하였다. 여러 차례의 격전 끝에 마침내 함흥 평야에서 나하추의 군대는 대패하였다. 이 때문에, 쌍성총관부의 잔당 조소생, 탁도경 세력이 완벽히 몰락했다. 이 전투 후 나하추는 공민왕과 이성계에게 예물을 보내 화친을 맺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나하추_納哈出 | Actor | 인물 | 나하추(納哈出) | 나하추 | 納哈出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나하추 | 2022:임민혁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나하추_納哈出 | 쌍성총관부 | isRelatedTo | ||
나하추_納哈出 | 공민왕 | isRelatedTo | ||
나하추_納哈出 | 이성계 | isRelatedTo | ||
나하추_納哈出 | 동북면병마사 | isRelatedTo | ||
나하추_納哈出 | 조소생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위키백과 | 나하추 | https://ko.wikipedia.org/wiki/나하추 | |
해설 | 다음백과 | 나하추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03n2871a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SBN: | 단행본 | 김운회, 『몽골은 왜 고려를 멸망시키지 않았나』, 역사의아침, 2015. | ||
ISBN: | 단행본 | 이상훈·이완희·이정원·홍묘숙, 『조선주사』, 지식과감성, 2022. | ||
논문 | 이왕무, 「원명교체기 한중 외교 관계의 전환 고찰」, 『圃隱學硏究』 21, 포은학회, 2018.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