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체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Web Resource)
36번째 줄: 36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네이버 지식백과 > e뮤지엄 || 입체경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286124&cid=51293&categoryId=51293
+
| 사진 || e뮤지엄 > 국립민속박물관 || 입체경, 입체사진 ||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200100108526200000
 
|-
 
|-
| 해설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소장품 || 입체경, 입체사진 ||  || https://www.much.go.kr/L/foyis47Oze.do
+
| 사진 || e뮤지엄 > 국립민속박물관 || 입체경, 입체사진 ||  ||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100101600991300000
 
|-
 
|-
| 사진 || e뮤지엄 > 국립민속박물관 || 입체경, 입체사진 ||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200100108526200000
+
| 사진 || 네이버 지식백과 > e뮤지엄 || 입체경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286124&cid=51293&categoryId=51293
 
|-
 
|-
| 사진 || e뮤지엄 > 국립민속박물관 || 입체경, 입체사진 ||  ||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100101600991300000
+
| 참고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소장품 || 입체경, 입체사진 ||  || https://www.much.go.kr/L/foyis47Oze.do
 
|-
 
|-
 +
 
|}
 
|}
  

2022년 12월 8일 (목) 22:38 판

Definition

동일한 두 장의 사진을 나란히 놓고 좌우 두 눈의 망막에 영상이 비치는 시차를 이용해 입체적인 영상을 보기 위해 만든 장치. 1850-1920년 사이에 수백만 장의 입체사진이 생산되었고, 다양한 입체경이 제작되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 입체경에 딸린 입체 사진의 내용은 부녀자들이 빨래터에서 빨래를 하는 모습, 옹기장수가 옹기를 파는 모습, 여러 사람들이 장승 앞에서 기도하는 모습, 소를 이용해 밭을 가는 모습 숯을 운반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이 사진들은 서구 사람들에게 타국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켜줌과 동시에 왜곡된 이해를 증폭시키기도 하는 이국주의적 시각 산업의 산물이었다. 이 사진들은 이방인의 시선으로 촬영된 이국주의적 완상물이었지만, 한편으로 19세기 말 20세기 초 한국 풍경을 담은 기록이라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입체경 Object 물품 입체경(立體鏡) 입체경 立體鏡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입체경 2022:김해인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입체경 도록-1904_입체사진으로_본_서울_풍경 isRelatedTo
입체경 디지털아카이브-1904_입체사진으로_본_서울_풍경 isRelatedTo
입체경 전시-1904_입체사진으로_본_서울_풍경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사진 e뮤지엄 > 국립민속박물관 입체경, 입체사진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200100108526200000
사진 e뮤지엄 > 국립민속박물관 입체경, 입체사진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100101600991300000
사진 네이버 지식백과 > e뮤지엄 입체경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286124&cid=51293&categoryId=51293
참고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소장품 입체경, 입체사진 https://www.much.go.kr/L/foyis47Oze.do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979118632466003660 도록 서울역사박물관, 『1904년 입체사진으로 본 서울 풍경』, 2018. 서울역사박물관 http://contents.history.go.kr/front/nh/view.do?levelId=nh_042_0010
KCI:ART001566402 논문 이준서, 「‘입체경 광풍’-입체경 기술의 매체문화사적 의미와 이를 둘러싼 담론」, 『카프카연구』 25, 한국카프카학회, 201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66402
KCI:ART001026507 논문 김석원, 「스테레오스코프와 키네토스코프의 영상 이미지에 대한 연구-19세기 영상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사진학회지』 13, 2005.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26507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