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접음단치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재현물 제작 정보)
33번째 줄: 33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성주이씨 형보의 부인 해평윤씨 출토 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10. || 3D-16세기_접음단치마 || [[references]] || 치마 부분별 명칭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59_17세기왕비의자적색스란치마_01.jpg"/></html>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성주이씨 형보의 부인 해평윤씨 출토 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10. || 3D-16세기_접음단치마 || [[references]] || 치마 부분별 명칭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59_17세기왕비의자적색스란치마_01.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59_17세기왕비의자적색스란치마_01.jpg"/></a></html>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3D-16세기_접음단치마 || [[references]] || 접음단치마 유물 사진(앞모습, 뒷모습, 접음단 부분 확대), 도식화 <br/><br/>상세사이즈(㎝): 길이 92, 허리말기 107×5, 고름 106×5, 치마폭 415, 접음단 8 (밑에서 17.5㎝ 올라온 지점) <br/><br/>재료: 비단(Silk) <br/>색상: 겉감 남색, 안감·허리말기·고름 흰색 <br/>착장자 성별: 성인 여성 <br/><br/>※ 유물사진과 도식화에서는 고름 한쪽이 훼손되어 짧아져있다. 3D는 양쪽 고름을 동일한 길이로 제작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1.jpg"/></html> <br/><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2.jpg"/></html> <br/><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3.jpg"/></html> <br/><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4.jpg"/></html>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3D-16세기_접음단치마 || [[references]] || 접음단치마 유물 사진(앞모습, 뒷모습, 접음단 부분 확대), 도식화 <br/><br/>상세사이즈(㎝): 길이 92, 허리말기 107×5, 고름 106×5, 치마폭 415, 접음단 8 (밑에서 17.5㎝ 올라온 지점) <br/><br/>재료: 비단(Silk) <br/>색상: 겉감 남색, 안감·허리말기·고름 흰색 <br/>착장자 성별: 성인 여성 <br/><br/>※ 유물사진과 도식화에서는 고름 한쪽이 훼손되어 짧아져있다. 3D는 양쪽 고름을 동일한 길이로 제작한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1.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1.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2.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2.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3.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3.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4.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4.jpg"/></a></html>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영릉 참봉 한준민 일가 묘 출토 유물』, 민속원, 2013. || 3D-16세기_접음단치마 || [[references]] || 접음단치마 복원품 및 착용모습<br/><br/>복원품은 솜을 넣고 누벼서 만든 ‘솜누비 접음단치마’이다. 3D는 누빔 없는 치마로 제작한다. 누빔표현을 제외하고, 형태나 색상은 사진과 동일하게 제작한다. 접음단은 긴치마를 밑에서 접어올려 안쪽에서 고정한 것이다. 8㎝ 너비이며, 밑에서 17.5㎝ 올라온 지점에 고정되어 있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5.jpg"/></html> <br/><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6.jpg"/></html> <br/><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7.jpg"/></html>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영릉 참봉 한준민 일가 묘 출토 유물』, 민속원, 2013. || 3D-16세기_접음단치마 || [[references]] || 접음단치마 복원품 및 착용모습<br/><br/>복원품은 솜을 넣고 누벼서 만든 ‘솜누비 접음단치마’이다. 3D는 누빔 없는 치마로 제작한다. 누빔표현을 제외하고, 형태나 색상은 사진과 동일하게 제작한다. 접음단은 긴치마를 밑에서 접어올려 안쪽에서 고정한 것이다. 8㎝ 너비이며, 밑에서 17.5㎝ 올라온 지점에 고정되어 있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5.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5.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6.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6.jpg"/></a></html> <br/><br/><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7.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2_16세기접음단치마_07.jpg"/></a></html>  
 
|-
 
|-
 
| 우나영, 『흑요석이 그리는 한복 이야기』, 한스미디어, 2019. || 3D-16세기_접음단치마 || [[references]] || 치마 주름은 왼쪽을 향한 외주름이며, 너비는 2㎝ 내외이다. 치마 아래쪽은 큰 주름이 잡히면서 자연스럽게 펼쳐지도록 한다. 세일러 치마처럼 아래까지 각이 잡혀 내려오지 않는다. <br/>치맛자락은 왼쪽으로 여며 착용한다. 한복치마는 서양 드레스와 차이가 있어서, 서양 드레스처럼 원통형으로 모두 연결하면 안되고, 뒤쪽에서 치맛자락이 겹쳐지도록 해야 한다. 입었을 때 서양의 드레스처럼 이어져 있지 않고 겉자락과 안자락이 뒤쪽에서 만나 겹쳐진다. 왼쪽에서 보면 겹쳐진 모습을 볼 수 있다. ||  
 
| 우나영, 『흑요석이 그리는 한복 이야기』, 한스미디어, 2019. || 3D-16세기_접음단치마 || [[references]] || 치마 주름은 왼쪽을 향한 외주름이며, 너비는 2㎝ 내외이다. 치마 아래쪽은 큰 주름이 잡히면서 자연스럽게 펼쳐지도록 한다. 세일러 치마처럼 아래까지 각이 잡혀 내려오지 않는다. <br/>치맛자락은 왼쪽으로 여며 착용한다. 한복치마는 서양 드레스와 차이가 있어서, 서양 드레스처럼 원통형으로 모두 연결하면 안되고, 뒤쪽에서 치맛자락이 겹쳐지도록 해야 한다. 입었을 때 서양의 드레스처럼 이어져 있지 않고 겉자락과 안자락이 뒤쪽에서 만나 겹쳐진다. 왼쪽에서 보면 겹쳐진 모습을 볼 수 있다. ||  
 
|-
 
|-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치마-미상/MwEkZd5X3WDHkg?hl=ko Google Arts & Culture ☞ 치마] || 3D-16세기_접음단치마 || [[references]] || 이 사진은 치마를 가슴에서 여몄다. 3D 제작은 앞장의 사진처럼 허리에서 여미고, 이 사진에서는 색상과 형태표현을 참고한다. 고름형태도 참고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59_17세기왕비의자적색스란치마_07.jpg"/></html>  
+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치마-미상/MwEkZd5X3WDHkg?hl=ko Google Arts & Culture ☞ 치마] || 3D-16세기_접음단치마 || [[references]] || 이 사진은 치마를 가슴에서 여몄다. 3D 제작은 앞장의 사진처럼 허리에서 여미고, 이 사진에서는 색상과 형태표현을 참고한다. 고름형태도 참고한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59_17세기왕비의자적색스란치마_07.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59_17세기왕비의자적색스란치마_07.jpg"/></a></html>  
 
|-
 
|-
 
|}
 
|}

2022년 11월 23일 (수) 12:18 판

2022 3D모델링-복식

Definition

16세기 출토 치마 중에는 치마 밑단을 균일하게 접어 올린 접음단 장식의 치마도 있으며 장치마 중에는 뒤가 끌리는 예복용 치마로, 복부 부분을 접어 박거나 다트 주름을 이용하여 앞뒤 길이에 차이가 나도록 한 경우도 있다. 더욱이 직금단을 전체에 사용하거나 스란단을 장식한 대단히 화려한 치마도 출토되고 있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16세기_접음단치마 Clothing 복식 16세기 접음단치마(赤亇) 16세기 접음단치마 赤亇 16th Century folded-up type Chima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6세기_접음단치마 2022:김현승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16세기_접음단치마 3D-16세기_접음단치마 isShownBy
3D-16세기_접음단치마 16세기_접음단치마 hasReferenceNote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성주이씨 형보의 부인 해평윤씨 출토 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10. 3D-16세기_접음단치마 references 치마 부분별 명칭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3D-16세기_접음단치마 references 접음단치마 유물 사진(앞모습, 뒷모습, 접음단 부분 확대), 도식화

상세사이즈(㎝): 길이 92, 허리말기 107×5, 고름 106×5, 치마폭 415, 접음단 8 (밑에서 17.5㎝ 올라온 지점)

재료: 비단(Silk)
색상: 겉감 남색, 안감·허리말기·고름 흰색
착장자 성별: 성인 여성

※ 유물사진과 도식화에서는 고름 한쪽이 훼손되어 짧아져있다. 3D는 양쪽 고름을 동일한 길이로 제작한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영릉 참봉 한준민 일가 묘 출토 유물』, 민속원, 2013. 3D-16세기_접음단치마 references 접음단치마 복원품 및 착용모습

복원품은 솜을 넣고 누벼서 만든 ‘솜누비 접음단치마’이다. 3D는 누빔 없는 치마로 제작한다. 누빔표현을 제외하고, 형태나 색상은 사진과 동일하게 제작한다. 접음단은 긴치마를 밑에서 접어올려 안쪽에서 고정한 것이다. 8㎝ 너비이며, 밑에서 17.5㎝ 올라온 지점에 고정되어 있다.




우나영, 『흑요석이 그리는 한복 이야기』, 한스미디어, 2019. 3D-16세기_접음단치마 references 치마 주름은 왼쪽을 향한 외주름이며, 너비는 2㎝ 내외이다. 치마 아래쪽은 큰 주름이 잡히면서 자연스럽게 펼쳐지도록 한다. 세일러 치마처럼 아래까지 각이 잡혀 내려오지 않는다.
치맛자락은 왼쪽으로 여며 착용한다. 한복치마는 서양 드레스와 차이가 있어서, 서양 드레스처럼 원통형으로 모두 연결하면 안되고, 뒤쪽에서 치맛자락이 겹쳐지도록 해야 한다. 입었을 때 서양의 드레스처럼 이어져 있지 않고 겉자락과 안자락이 뒤쪽에서 만나 겹쳐진다. 왼쪽에서 보면 겹쳐진 모습을 볼 수 있다.
Google Arts & Culture ☞ 치마 3D-16세기_접음단치마 references 이 사진은 치마를 가슴에서 여몄다. 3D 제작은 앞장의 사진처럼 허리에서 여미고, 이 사진에서는 색상과 형태표현을 참고한다. 고름형태도 참고한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박성실·조효숙·이은주,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단국대학교출판부, 2005, 8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