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액주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재현물 제작 정보)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 | ||
− | | [https://www.chinasilkmuseum.com/zz/info_96.aspx?itemid=27356 China National Silk Museum > Exhibition > Traditional Korean Costumes and Textiles ☞ 액주름] || 3D-16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누비 액주름 재형품 <br/><br/>크기(㎝): 길이 102, 화장 111, 품 80, 진동 36.5, 수구 28.5 <br/>재료: 명주(Silk) <br/>색상: 전체 연한 옥색, 동정 흰색 <br/>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br/>사진 속 옷은 제시하는 사이즈와 똑같은 크기의 옷은 아니지만, 누비의 느낌과 착장시 실루엣을 참고한다. 고름은 이 사진에서처럼 허리를 한바퀴 둘러 몸의 앞에서 묶는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35_16세기액주름_01.jpg"/></html> | + | | [https://www.chinasilkmuseum.com/zz/info_96.aspx?itemid=27356 China National Silk Museum > Exhibition > Traditional Korean Costumes and Textiles ☞ 액주름] || 3D-16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누비 액주름 재형품 <br/><br/>크기(㎝): 길이 102, 화장 111, 품 80, 진동 36.5, 수구 28.5 <br/>재료: 명주(Silk) <br/>색상: 전체 연한 옥색, 동정 흰색 <br/>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br/>사진 속 옷은 제시하는 사이즈와 똑같은 크기의 옷은 아니지만, 누비의 느낌과 착장시 실루엣을 참고한다. 고름은 이 사진에서처럼 허리를 한바퀴 둘러 몸의 앞에서 묶는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35_16세기액주름_01.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35_16세기액주름_01.jpg"/></a></html> |
|- | |- | ||
− | | 김현승 일러스트: 앞모습 도식화 || 3D-16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상세 사이즈(㎝): 길이 102, 화장 111, 품 80, 고대 21, 진동 36.5, 수구 28.5, 깃 너비 12, 동정 너비 5, 고름 너비 5 <br/><br/>솜을 넣어 누빈 '액주름'이다. 누비 간격은 7.5~8.5㎝ 로 크게 누볐다. 동정은 겉깃 끝에서 21㎝ 올라간 곳에 단다. 도식화 그림에서는 생략되었으나, 겉깃이 끝나는 곳에 고름이 달린다. 고름 너비는 5㎝로 하여 허리를 한바퀴 돌리고 묶어서 남을 정도의 길이로 제작한다. 액주름의 ‘무’는 세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진동아래에 붙은 작은 사다리꼴(윗변 4㎝, 높이 8.5㎝, 아랫변 7㎝), 그 옆으로 2×3㎝의 접은 삼각형, 길에 붙어 옆선을 이루는 것이 그것이다. 옆선을 이루는 무 윗부분에는 0.2㎝ 간격으로 주름을 잡는다. 주름의 방향은 한복 치마 주름처럼 한쪽으로 향하는 외주름이다. 주름을 고정하기 위해 주름 위에 홈질을 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35_16세기액주름_02.jpg"/></html> | + | | 김현승 일러스트: 앞모습 도식화 || 3D-16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상세 사이즈(㎝): 길이 102, 화장 111, 품 80, 고대 21, 진동 36.5, 수구 28.5, 깃 너비 12, 동정 너비 5, 고름 너비 5 <br/><br/>솜을 넣어 누빈 '액주름'이다. 누비 간격은 7.5~8.5㎝ 로 크게 누볐다. 동정은 겉깃 끝에서 21㎝ 올라간 곳에 단다. 도식화 그림에서는 생략되었으나, 겉깃이 끝나는 곳에 고름이 달린다. 고름 너비는 5㎝로 하여 허리를 한바퀴 돌리고 묶어서 남을 정도의 길이로 제작한다. 액주름의 ‘무’는 세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진동아래에 붙은 작은 사다리꼴(윗변 4㎝, 높이 8.5㎝, 아랫변 7㎝), 그 옆으로 2×3㎝의 접은 삼각형, 길에 붙어 옆선을 이루는 것이 그것이다. 옆선을 이루는 무 윗부분에는 0.2㎝ 간격으로 주름을 잡는다. 주름의 방향은 한복 치마 주름처럼 한쪽으로 향하는 외주름이다. 주름을 고정하기 위해 주름 위에 홈질을 한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35_16세기액주름_02.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35_16세기액주름_02.jpg"/></a></html> |
|- | |- | ||
− | | [https://twitter.com/Oreaeui/status/1336837479819689984 트위터 ☞ @Oreaeui(2020.12.10.)] || 3D-16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앞에서 설명한 ‘무’와 주름 모습이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35_16세기액주름_03.jpg"/></html> | + | | [https://twitter.com/Oreaeui/status/1336837479819689984 트위터 ☞ @Oreaeui(2020.12.10.)] || 3D-16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앞에서 설명한 ‘무’와 주름 모습이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35_16세기액주름_03.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35_16세기액주름_03.jpg"/></a></html> |
|- | |- | ||
− |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포-袍-선비-정신을-입다-한복-jang-jung-youn/2gGLFle0UOTXDA?hl=ko Google Arts & Culture ☞ 액주름 (2013년 장정윤 제작)] || 3D-16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고름 묶은 모양을 참고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35_16세기액주름_04.jpg"/></html> | + |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포-袍-선비-정신을-입다-한복-jang-jung-youn/2gGLFle0UOTXDA?hl=ko Google Arts & Culture ☞ 액주름 (2013년 장정윤 제작)] || 3D-16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고름 묶은 모양을 참고한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35_16세기액주름_04.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35_16세기액주름_04.jpg"/></a></html> |
|- | |- | ||
|} | |} |
2022년 11월 23일 (수) 11:02 판
목차
Definition
액주름(腋注音)은 겨드랑이 아래에 주름을 잡은 옷의 형태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액주름이라는 명칭 외에 액추의(腋皺衣), 방습아(榜褶兒), 습아(褶兒) 등으로도 기록되어 있다. 왕 이하 서민에 이르기까지 널리 착용하였다. 저고리보다는 길고 포(袍)보다는 짧은, 반코트 정도의 상의이다. 영조대의 『상방정례』나 『의궤』 등에서는 조선 말기까지 '腋注音'이라는 기록이 확인되지만 실제는 임진왜란 이후 17세기 초에 역사 속에서 사라진 옷으로 추정되고 있다. 액주름의 깃은 곧은 깃이며, 이중깃에서 점차 칼깃으로 변화한다. 또한 시대가 후기로 갈수록 겨드랑이의 주름 위치가 위쪽으로 올라가는 것이 특징이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16세기_액주름 | Clothing | 복식 | 옷 | 16세기 액주름(腋注音) | 16세기 액주름 | 腋注音 | 16th Century Aekjureum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6세기_액주름 | 2022:김현승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16세기_액주름 | 3D-16세기_액주름 | isShownBy | ||
3D-16세기_액주름 | 16세기_액주름 | hasReferenceNote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China National Silk Museum > Exhibition > Traditional Korean Costumes and Textiles ☞ 액주름 | 3D-16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누비 액주름 재형품 크기(㎝): 길이 102, 화장 111, 품 80, 진동 36.5, 수구 28.5 재료: 명주(Silk) 색상: 전체 연한 옥색, 동정 흰색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사진 속 옷은 제시하는 사이즈와 똑같은 크기의 옷은 아니지만, 누비의 느낌과 착장시 실루엣을 참고한다. 고름은 이 사진에서처럼 허리를 한바퀴 둘러 몸의 앞에서 묶는다. |
|
김현승 일러스트: 앞모습 도식화 | 3D-16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상세 사이즈(㎝): 길이 102, 화장 111, 품 80, 고대 21, 진동 36.5, 수구 28.5, 깃 너비 12, 동정 너비 5, 고름 너비 5 솜을 넣어 누빈 '액주름'이다. 누비 간격은 7.5~8.5㎝ 로 크게 누볐다. 동정은 겉깃 끝에서 21㎝ 올라간 곳에 단다. 도식화 그림에서는 생략되었으나, 겉깃이 끝나는 곳에 고름이 달린다. 고름 너비는 5㎝로 하여 허리를 한바퀴 돌리고 묶어서 남을 정도의 길이로 제작한다. 액주름의 ‘무’는 세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진동아래에 붙은 작은 사다리꼴(윗변 4㎝, 높이 8.5㎝, 아랫변 7㎝), 그 옆으로 2×3㎝의 접은 삼각형, 길에 붙어 옆선을 이루는 것이 그것이다. 옆선을 이루는 무 윗부분에는 0.2㎝ 간격으로 주름을 잡는다. 주름의 방향은 한복 치마 주름처럼 한쪽으로 향하는 외주름이다. 주름을 고정하기 위해 주름 위에 홈질을 한다. |
|
트위터 ☞ @Oreaeui(2020.12.10.) | 3D-16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앞에서 설명한 ‘무’와 주름 모습이다. | |
Google Arts & Culture ☞ 액주름 (2013년 장정윤 제작) | 3D-16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고름 묶은 모양을 참고한다.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507-508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