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1-06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Story)
(창덕궁 규장각(奎章閣)과 정조 》 규장각의 탄생과 정조의 의도)
19번째 줄: 19번째 줄:
 
정조는 1776년(정조 즉위) 3월 10일 등극하였다. 그로부터 얼마 안있어 정조는 정조는 건립 의도를 "우리 선대왕의 운장(雲章)ㆍ보묵(寶墨)은 모두 다 소자를 가르쳐 주신 책이니, 존신 경근(尊信敬謹)하는 바가 어찌 보통 간찰(簡札)에 비할 것이겠는가?  아! 너 유사(有司)는 그 창덕궁의 북원(北苑)에 터를 잡아 설계를 하라."고, 명하였다. 3월에 시공하여 4월에 기초를 닦을 때까지만 해도 어제각(於製閣)이라 불렸으나 5월 상량할 때에는 규장각이라고 불렸으며 건물은 7월에 준공되었다. 그로부터 거의 7개월이 다 되어가는 9월 25일에 제학(提學)·직제학(直提學)·직각(直閣)·대교(待敎) 등의 관원을 두어 규장각이 비로서 정부의 공식기구로서 탄생하였다.
 
정조는 1776년(정조 즉위) 3월 10일 등극하였다. 그로부터 얼마 안있어 정조는 정조는 건립 의도를 "우리 선대왕의 운장(雲章)ㆍ보묵(寶墨)은 모두 다 소자를 가르쳐 주신 책이니, 존신 경근(尊信敬謹)하는 바가 어찌 보통 간찰(簡札)에 비할 것이겠는가?  아! 너 유사(有司)는 그 창덕궁의 북원(北苑)에 터를 잡아 설계를 하라."고, 명하였다. 3월에 시공하여 4월에 기초를 닦을 때까지만 해도 어제각(於製閣)이라 불렸으나 5월 상량할 때에는 규장각이라고 불렸으며 건물은 7월에 준공되었다. 그로부터 거의 7개월이 다 되어가는 9월 25일에 제학(提學)·직제학(直提學)·직각(直閣)·대교(待敎) 등의 관원을 두어 규장각이 비로서 정부의 공식기구로서 탄생하였다.
 
규장각 제도는 어제(御製)를 존각(尊閣)에 본존하는 송대의 용도각(龍圖閣)이나 천장각(天章閣) 제도에서 연유하며 이는 이미 세조 조에 양성지에 의해 건의된 바 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숙종조에는 종정시(宗正寺)에 소각(小閣)을 세우고 어서한 ‘규장각’ 세 글자를 게시(揭示)하였지만 규제(規制)는 갖추어지지 않았다.  규장각은 위는 다락이고 아래는 툇마루였다. 그 뒤에 당저(當宁)의 어진(御眞)·어제(御製)·어필(御筆)·보책(寶冊)·인장(印章)을 봉안하였는데 그 편액(扁額)은 숙종의 어묵(御墨)이었으며, 또 주합루(宙合樓)의 편액을 남미(南楣)에 게시하였는데 곧 정조의 어묵이었다.  
 
규장각 제도는 어제(御製)를 존각(尊閣)에 본존하는 송대의 용도각(龍圖閣)이나 천장각(天章閣) 제도에서 연유하며 이는 이미 세조 조에 양성지에 의해 건의된 바 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숙종조에는 종정시(宗正寺)에 소각(小閣)을 세우고 어서한 ‘규장각’ 세 글자를 게시(揭示)하였지만 규제(規制)는 갖추어지지 않았다.  규장각은 위는 다락이고 아래는 툇마루였다. 그 뒤에 당저(當宁)의 어진(御眞)·어제(御製)·어필(御筆)·보책(寶冊)·인장(印章)을 봉안하였는데 그 편액(扁額)은 숙종의 어묵(御墨)이었으며, 또 주합루(宙合樓)의 편액을 남미(南楣)에 게시하였는데 곧 정조의 어묵이었다.  
서남쪽에는 봉모당(奉謨堂)이 있었는데, 【곧 옛날 열무정(閱武亭)인데, 《여지승람(輿地勝覽)》 궁궐지(宮闕志)에는 고제(古制)를 따라 고치지 않고 다만 감탑(龕榻)을 설치하여 분봉(分奉)한다고 되어 있다.】 열성조의 어제·어필·어화(御畫)·고명(顧命)·유고(遺誥)·밀교(密敎)와 선보(璿譜)·세보(世譜)·보감(寶鑑)·장지(狀誌)를 봉안하였다. 정남(正南)에는 열고관(閱古觀)인데 상하 2층이고, 또 북쪽으로 꺾여 개유와(皆有窩)를 만들었는데 중국본 도서와 문적을 간직하였고, 정서(正西)에는 이안각(移安閣)인데 어진·어제·어필을 이봉(移奉)하여 포쇄(曝曬)하는 곳으로 삼았으며, 서북쪽에는 서고(西庫)인데 우리 나라 본(本) 도서와 문적을 간직하였다. (정조실록 1776년(정조 즉위) 9월 25일조).  
+
서남쪽에는 봉모당(奉謨堂)이 있었는데, 열성조의 어제·어필·어화(御畫)·고명(顧命)·유고(遺誥)·밀교(密敎)와 선보(璿譜)·세보(世譜)·보감(寶鑑)·장지(狀誌)를 봉안하였다. 정남(正南)에는 열고관(閱古觀)인데 상하 2층이고, 또 북쪽으로 꺾여 개유와(皆有窩)를 만들었는데 중국본 도서와 문적을 간직하였고, 정서(正西)에는 이안각(移安閣)인데 어진·어제·어필을 이봉(移奉)하여 포쇄(曝曬)하는 곳으로 삼았으며, 서북쪽에는 서고(西庫)인데 우리 나라 본(本) 도서와 문적을 간직하였다. (정조실록 1776년(정조 즉위) 9월 25일조).  
이와 같이 규장각은 국왕의 어제를 보관하는 국왕의 박물관 내지는 기록관으로부터 시작되었다.
+
이와 같이 규장각은 국왕의 어제를 보관하는 국왕의 박물관 내지는 기록관에서 시작하였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022년 10월 3일 (월) 14:21 판

창덕궁 규장각(奎章閣)과 정조 》 규장각의 탄생과 정조의 의도

Story

정조는 1776년(정조 즉위) 3월 10일 등극하였다. 그로부터 얼마 안있어 정조는 정조는 건립 의도를 "우리 선대왕의 운장(雲章)ㆍ보묵(寶墨)은 모두 다 소자를 가르쳐 주신 책이니, 존신 경근(尊信敬謹)하는 바가 어찌 보통 간찰(簡札)에 비할 것이겠는가? 아! 너 유사(有司)는 그 창덕궁의 북원(北苑)에 터를 잡아 설계를 하라."고, 명하였다. 3월에 시공하여 4월에 기초를 닦을 때까지만 해도 어제각(於製閣)이라 불렸으나 5월 상량할 때에는 규장각이라고 불렸으며 건물은 7월에 준공되었다. 그로부터 거의 7개월이 다 되어가는 9월 25일에 제학(提學)·직제학(直提學)·직각(直閣)·대교(待敎) 등의 관원을 두어 규장각이 비로서 정부의 공식기구로서 탄생하였다. 규장각 제도는 어제(御製)를 존각(尊閣)에 본존하는 송대의 용도각(龍圖閣)이나 천장각(天章閣) 제도에서 연유하며 이는 이미 세조 조에 양성지에 의해 건의된 바 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숙종조에는 종정시(宗正寺)에 소각(小閣)을 세우고 어서한 ‘규장각’ 세 글자를 게시(揭示)하였지만 규제(規制)는 갖추어지지 않았다. 규장각은 위는 다락이고 아래는 툇마루였다. 그 뒤에 당저(當宁)의 어진(御眞)·어제(御製)·어필(御筆)·보책(寶冊)·인장(印章)을 봉안하였는데 그 편액(扁額)은 숙종의 어묵(御墨)이었으며, 또 주합루(宙合樓)의 편액을 남미(南楣)에 게시하였는데 곧 정조의 어묵이었다. 서남쪽에는 봉모당(奉謨堂)이 있었는데, 열성조의 어제·어필·어화(御畫)·고명(顧命)·유고(遺誥)·밀교(密敎)와 선보(璿譜)·세보(世譜)·보감(寶鑑)·장지(狀誌)를 봉안하였다. 정남(正南)에는 열고관(閱古觀)인데 상하 2층이고, 또 북쪽으로 꺾여 개유와(皆有窩)를 만들었는데 중국본 도서와 문적을 간직하였고, 정서(正西)에는 이안각(移安閣)인데 어진·어제·어필을 이봉(移奉)하여 포쇄(曝曬)하는 곳으로 삼았으며, 서북쪽에는 서고(西庫)인데 우리 나라 본(本) 도서와 문적을 간직하였다. (정조실록 1776년(정조 즉위) 9월 25일조). 이와 같이 규장각은 국왕의 어제를 보관하는 국왕의 박물관 내지는 기록관에서 시작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E2022-R1-06A Story Episode 규장각의 탄생과 정조의 의도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1-06A 2022:김혁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022-R1-06A 조선_영조 isRelatedTo
E2022-R1-06A 조선_정조 isRelatedTo
E2022-R1-06A 어제편차인 isRelatedTo
E2022-R1-06A 용도각 isRelatedTo
E2022-R1-06A 천장각 isRelatedTo
조선_영조 조선_정조 hasSon
창덕궁_규장각 조선_정조 constructor
어제편차인 조선_영조 isRelatedTo
어제편차인 영조문집 isRelatedTo
창덕궁_규장각 용도각 isRelatedTo
창덕궁_규장각 규장각지:1784 isMentionedIn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규장각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6622&docId=550469&categoryId=46622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규장각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8840&docId=3574534&categoryId=58852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9788942311156 단행본 한영우, 『규장각-문화정치의 산실』, 지식산업사, 2008.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