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참고문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창경궁 》 단행본) |
(→창경궁 》 단행본) |
||
326번째 줄: | 326번째 줄: | ||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8936901028 || 문영빈, 『창경궁』, 대원사, 1993. || 2022:이주희 |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8936901028 || 문영빈, 『창경궁』, 대원사, 1993. || 2022:이주희 | ||
|- | |- | ||
− |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중복 || 문화재관리국, 『창경궁: 문화재관리국 편』, 열화당, 1986. || 2022:이주희 | + |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중복(김대벽:1986:창경궁) || 문화재관리국, 『창경궁: 문화재관리국 편』, 열화당, 1986. || 2022:이주희 |
|- | |- | ||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91555167 || 김영봉 외, 『궁궐의 현판과 주련 2: 창덕궁 창경궁』, 수류산방, 2008. || 2022:이주희 |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91555167 || 김영봉 외, 『궁궐의 현판과 주련 2: 창덕궁 창경궁』, 수류산방, 2008. || 2022:이주희 | ||
350번째 줄: | 350번째 줄: | ||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71996911 || 역사건축기술연구소, 『우리 궁궐을 아는 사전 1: 창덕궁 후원 창경궁』, 돌베개, 2015. || 2022:이주희 |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71996911 || 역사건축기술연구소, 『우리 궁궐을 아는 사전 1: 창덕궁 후원 창경궁』, 돌베개, 2015. || 2022:이주희 | ||
|- | |- | ||
− |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중복 || 윤한택 외, 『창경궁 경희궁 도성지(서울학번역총서 2)』, 1996. || 2022:이주희 | + |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중복(ISBN:8985831151) || 윤한택 외, 『창경궁 경희궁 도성지(서울학번역총서 2)』, 1996. || 2022:이주희 |
|- | |- | ||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자료없음 || 의궤청, 『창경궁영건도감의궤』, 청우사, 1987. || 2022:이주희 |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자료없음 || 의궤청, 『창경궁영건도감의궤』, 청우사, 1987. || 2022:이주희 |
2022년 8월 17일 (수) 02:15 판
목차
창덕궁
창덕궁 》 단행본
region | type | id | biblliography | note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조선고적도보 제10-경복궁·창경궁·창덕궁·경희궁-』, 조선총독부, 1920.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김동하, 『(창덕궁 수강재 구들의 해체와 복원을 통해서 본) 궁궐구들』, 통나무흙구들, 2018.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김문식 외, 『규장각-그 역사와 문화의 재발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김문식 외, 『왕실 서고 봉모당의 건립과 운영』,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9.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김연희, 『창덕궁에서 만나는 우리 과학』, 창비, 2010.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김용옥, 『창덕궁의 특별한 왕 55 전통-궁궐』, 한국슈타이너, 2012.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김은의, 『창덕궁: 자연을 담은 조선의 참 궁궐』, 국민서관, 2018.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김제방, 『(불타는) 창덕궁』, 한솜, 2007.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김진성, 『동궐도와 창덕궁원: 창덕궁원의 구성과 복원계획』, 광인문화사, 2011.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문지혜, 『유네스코 세계유산 특집 . 3부 , 창덕궁-태종, 새 궁을 짓다 [비디오녹화자료]』, KBS Media, 2014.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배병우, 『(문화재 해설사와 함께하는) 창덕궁』, 컬처북스, 2012.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배병우, 『창덕궁: 배병우 사진집』, 컬처북스, 2010.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삼성미술관 Leeum, 『창덕궁: 자연의 질서에 따른 의례와 규범』, Leeum, 2015.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궁궐지 1- 경복궁·창덕궁』, 서울학연구소, 1996.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 편, 『궁궐지 (서울사료총서 3)』, 2000.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송연한, 『창덕궁 비원』,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4.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신영훈, 『한국의 고궁: 경복궁·창덕궁·창경궁·후원·종묘·덕수궁·경희궁』, 한옥문화, 2005.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신희권, 『창덕궁, 왕의 마음을 훔치다』, 북촌, 2019.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우제욱, 『창덕궁·비원의 이야기: 학생과 글쓴이의 대화로 쉽게 풀이한』, 지원사, 1994.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유홍준 외, 『창덕궁 깊이 읽기』, 글항아리, 2012.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이기웅, 『한국의 고궁건축: 경복궁,창덕궁,창경궁,덕수궁,종묘』, 열화당, 1988.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이선경, 『창덕궁(창덕궁) 과학 탐방: 600년간 보존된 아름다운 한국 정원을 찾아서』, 과학문화교육연구회, 1998.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이세열, 『규장각지』 하, 한국학술정보, 2011.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1.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주남철, 『연경당』, 일지사, 2003.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주남철, 『한국주택건축』, 일지사, 1980.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최동군, 『창덕궁 실록으로 읽다』, 담디, 2017.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최동군, 『창덕궁·창경궁 현판으로 읽다』, 담디, 2020.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최재숙, 『(임금님의 집) 창덕궁: 빅북』, 웅진주니어, 2016.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최종덕, 『어린이 창덕궁』,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2006.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최종덕, 『창덕궁: 조선의 참 궁궐』, 눌와, 2006.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국학자료총서 40: 근대건축도면집-도면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국학자료총서 40: 근대건축도면집-해설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헌종·철종문집-원헌고·중재고』, (한국학자료총서 21), 1999.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3, 민속원, 2005.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한영우, 『동궐도』, 효형출판, 2007.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한영우, 『의궤, 조선왕실문화사』, 민속원, 2020.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한영우, 『창덕궁과 창경궁: 조선왕조의 흥망, 그 빛과 그늘의 현장』, 열화당, 2003. | ||
2022-R1 | 창덕궁 》 단행본 | 허균, 『창덕궁: 자연을 담은 궁궐 속으로』, 김영사, 2012.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region | type | id | biblliography | note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동궐(창덕궁)의 전통 경관 고증 및 조경 복원 정비 종합계획 연구』, 문화재청, 2020.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동궐도 읽기』,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사무소, 2005.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동궐도』, 문화재관리국, 1991.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북촌-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_경복궁과 창덕궁 사이의 터전』, 서울역사박물관, 2019.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세계의 궁궐과 창덕궁』, 문화재청 창독궁관리소, 2005.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일본 궁내청 소장 창덕궁 사진첩』, 문화재청, 2006.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조선왕실의 건축, 창덕궁 학술연구』, 국립고궁박물관, 2011.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경훈각 실측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4.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구선원전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92.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규장각 구선원전 권역 복원공사 보고서』, 문화재청, 2005.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금천교 발굴조사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대조전 벽화』, 국립고궁박물관, 2015.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대조전 부벽화 보존처리 및 모사도 제작 보고서』,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2014.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대조전 침대 복원보고서』, 문화재청, 2009.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돈화문 정밀구조안전진단 보고서』, 문화재청 창덕궁, 2015.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동궁지역 중건공사보고서』, 문화재청, 2000.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매표소 주변 종합정비사업부지 내(와룡동 4-1번지) 문화재 발굴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2018.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반도지 시굴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1.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85.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부용정 부용지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89.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부용정 해체실측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2.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상방지 유구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2002.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승화루 및 일곽 실측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5.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애련정 해체보수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6.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어차 수리 복원 보고서』, [발행자불명], 2004.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옥류천 권역 외곽담장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2019.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외곽담장 안전화 공사 준공보고서』,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2013.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우물지.빈청지 발굴조사 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원유 생태조사 보고서(수목및 식생중심)』, 문화재관리국, 1990.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의두합 권역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8.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의로전 실측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4.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인정문 정밀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0.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인정전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98.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인정전 일곽복원공사 기초조사에 의한 설계설명서』, 문화재관리국, 1992.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인정전 일월오봉도 보존처리』, 국립문화재연구소, 2021.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인정전 행각 중건공사보고서』, 문화재청, 1999.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정자(상량정, 태극정, 능허정) 실측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3.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존덕정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0.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주련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84.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주합루 권역 보수 및 주변정비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2015.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주합루 정밀실측보고서』, 문화재청, 2016.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취운정 해체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4.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침전지역중건공사보고서』, 문화재청, 2000.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함원전 보수공사』, 문화재청, 2005.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희정당 벽화 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 국립고궁박물관, 2017.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희정당 부벽화 모사도 제작 보고서』,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2017.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희정당 부벽화 보존처리 용역시행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2016.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희정당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2.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희정당 신관 실측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3.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아름다운 덕을 펼치다』, 국립고궁박물관, 2011.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 조선의 시간을 거닐다』,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2010. | ||
2022-R1 | 창덕궁 》 문화재청/박물관 | 『최후의 진전-창덕궁 신선원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
창덕궁 》 학술논문
region | type | id | biblliography | note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금동욱, 「인조조의 창경궁·창덕궁 조영」, 『문화재』 제19호, 문화재관리국, 1985.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금영화, 「한성창덕궁장방상씨면구발」, 『중한관계사국제연토회논문집』, 중화민국한국연구학회, 1983.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김규순, 「조선 궁궐 입지 선정의 기준과 지형에 대한 연구-경복궁과 창덕궁을 중심으로-」, 『문화재』 8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김버들·이종서, 「조선시대 측량가 건축의 구조와 특징」, 『건축역사연구』 28-6, 한국건축역사학회, 2019.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김선정, 「1920년 창덕궁 희정당 벽화-식민지배와 근대성의 표상으로서의 금강산도」, 『도시역사문화』 제8호, 서울역사박물관, 2009.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김수진, 「19세기 궁중 병풍의 제작과 진상 - 장서각 소장 발기의 검토를 중심으로」, 『장서각』 40,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김준혁, 「정조의 창덕궁 내원(內苑) 군신동행과 연회 정치」,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16-2,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7.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김지현, 「창덕궁 내전 일곽 공사로 보는 일제강점기 궁궐 별전」, 『건축역사연구』 29-2, 한국건축역사학회, 2020.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김호, 「《창덕궁영건도감의궤》」, 『규장각』 17,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4.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박윤희, 「20세기 창덕궁 인정전 당가(唐家)의 변형 과정 고찰-일월오봉병, 봉황도, 사령도를 중심으로-」, 『고궁문화』 14, 국립고궁박물관, 2021.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박재희, 김기덕, 「창덕궁의 풍수지리적 입지분석 연구」, 『中央史論』 43, 中央史學硏究所, 2016.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박정해, 「창덕궁의 역사적 전개와 전통입지과정」, 『국학연구』 24, 한국국학진흥원, 2014.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박현규, 「서울 궁궐 풍수입지의 스토리텔링 연구 :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19.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손명희, 「창덕궁 후원의 꽃구경 모임에서 정조와 규장각 관원이 지은 시 모음-내원상화임자갱재축(內苑賞花壬子賡載軸)과 내원상화계축갱재축(內苑賞花癸丑賡載軸)-」, 『고궁문화』 3, 국립고궁박물관, 2010.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손명희, 「회화를 통해 본 효명세자의 삶」, 『문예군주를 꿈꾼 왕세자 효명』, 국립고궁박물관, 2019.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송석호·김충식, 「창덕궁 후원 존덕정(尊德亭)의 조영사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87,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송석호·심우경, 「창덕궁 후원 부용정(芙蓉亭)의 조영사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95, 한국전통저경학회, 2016.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신명호, 「대한제국기의 어진 제작」, 『조선시대사학보』 33, 조선시대사학회, 2005.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안장리, 「Eojegunggueolji (어제궁궐지) by King Sukjong」, 『장서각』 29, 한국학중앙연구원장서각, 2013.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양혜원, 「조선 초기 궁궐 사찰 '내원당(內願堂)'의 설치와 변동」, 『한국사상사학』 69, 한국사상사학회, 2021.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오준영, 「조선시대 궁궐 외원(外苑)의 조영과 변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박사학위논문, 2019.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유재빈, 「정조의 중희당 친림도정의 의미와 <을사친정계병>(1785)」, 『한국문화』 77,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윤정, 「인조대 후반 창덕궁 중건과 후계구도 변경-세손(현종) 책봉과 법궁의 위상 정립-」, 『사림』 78, 수선사학회, 2021.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윤정, 「숙종대 『어제궁궐지』 편찬과 그 배경-갑술환국기 숙종의 궁궐경영과 지향-」, 『서울과 역사』 106, 서울역사편찬원, 2020.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윤종선, 「『순종국장록(純宗國葬錄)』 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 51,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0.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이강근, 「근대기(近代期) 창덕궁(昌德宮) 건축의 변천에 대한 연구」, 『강좌미술사(The Art History Journal)』 42,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이강근, 「조선 전기 궁궐의 ‘대나(大內)’에 대한 연구」, 『서울학연구』 78,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0.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이규철, 「대한제국 황궁의 조성과 한성부 도시구조의 재편」, 『건축역사연구』 29-6, 한국건축역사학회, 2020.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이왕무, 「1910년대 순종의 창덕궁 생활과 행행 연구」, 『조선시대사학보』 69, 조선시대사학회, 2014.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이종묵, 「효명세자의 삶과 문학」, 『문예군주를 꿈꾼 왕세자 효명』, 국립고궁박물관, 2019.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이종서, 「1777년(정조 1) 이후 창덕궁 성정각의 편전(便殿) 구조」, 『건축역사연구』 29-6, 한국건축역사학회, 2020.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이종서, 「창덕궁 선정전의 의례 공간적 건축 구조」, 『건축역사연구』 29-2, 한국건축역사학회, 2020.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이종서, 「창덕궁 성정각의 건축 시기와 건축 구조」, 『건축역사연구』 28-2, 한국건축역사학회, 2019.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이현진, 손신영, 「조선후기 궁궐의 전각 월대와 의례 — <동궐도>와 <서궐도안>을 대상으로 —」, 『동양고전연구』 67, 동양고전학회, 2017.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이호선, 「조선시대 궁궐의 전각(殿閣)배치에 대한 풍수적 해석과 서수(瑞獸)배치에 대한 상징적 의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2021.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장필구, 「20세기 전반기 조선왕실의 변화와 창덕궁 건축 활동의 성격」,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전태일,이단,전영신, 「창덕궁 측우대에 새긴 ‘측우기명’ 연구-『철재진적(澈齋眞蹟)』을 중심으로-, 대기 21-4, 한국기상학회, 2011.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정우진 심우경, 「취병(翠屛)의 조성방법과 창덕궁 주합루(宙合樓) 취병의 원형규명」, 『문화재』 6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정우진, 「전 김희성, <옥류천도>로 살펴본 창덕궁 후원 옥류천원의 원형 경관」, 『서울과 역사』 105, 서울역사편찬원, 2020.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정우진·심우경, 「동궐도상의 존덕정 영역에 나타난 무편액 건물의 조영사적 고찰」, 『문화재』 55, 국립문화재연구원, 2012.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정재종, 「창덕궁 후원에 대하여」, 『고고미술』 136·137-진홍섭박사 화갑기념 논문집-, 한국미술사학회, 1978.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정정남, 「효명세자 대리청정 시기 동궐의 건축적 변화」, 『문예군주를 꿈꾼 왕세자 효명』, 국립고궁박물관, 2019.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조경아, 「효명세자의 창작정재」, 『문예군주를 꿈꾼 왕세자 효명』, 국립고궁박물관, 2019.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주남철, 「효명세자 영건 기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5.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진상철, 「사상체계로 본 조선시대 궁궐의 조경양식」, 『서울학연구』 제5호,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1995.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최영성, 「창덕궁 문헌자료」, 『동양고전연구』 18, 동양고전연구회, 2003.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최지혜, 「근대 전환기 궁궐에 유입된 프랑스식 실내장식과 가구 : 덕수궁 돈덕전, 창덕궁 대조전 일곽을 중심으로」, 『고궁문화』 12, 국립고궁박물관, 2019.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하태일·김충식, 「근현대기 창덕궁 후원의 동선 변화에 관한 연구」, 『문화재』 92, 국립문화재연구소, 2021.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홍석주·박언곤, 「광해군대의 궁궐 영건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21권, 한국건축역사학회, 1999.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홍순민, 「조선후기 동궐 궐내각사 배치 체제의 변동 -『어제궁궐지』 및 『궁궐지』의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1.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홍순민, 「창덕궁과 후원」, 『한국사시민강좌』 제23집-한국의 문화유산, 일조각, 1998. | ||
2022-R1 | 창덕궁 》 학술논문 |
창경궁
창경궁 》 단행본
region | type | id | biblliography | note |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김대벽:1986:창경궁 | 김대벽, 『창경궁』, 열화당, 1986.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91158822262 | 김보은, 『경복궁과 창경궁에서 보물찾기』, 서울문학, 2015.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29917289 | 윤선영 역, 『(국역) 창경궁영건도감의궤』, 국립고궁박물관, 2019.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81249175 | 김연신, 『창경궁의 건축과 인물』,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 2008.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8972021067 | 김영상, 『서울 육백년 3: 창덕궁, 창경궁, 응봉기슭』, 대학당, 1994.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91188413065 | 김현숙 외, 『동궐도, 세자의 꿈을 담다』, 크래들, 2018.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8936901028 | 문영빈, 『창경궁』, 대원사, 1993.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중복(김대벽:1986:창경궁) | 문화재관리국, 『창경궁: 문화재관리국 편』, 열화당, 1986.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91555167 | 김영봉 외, 『궁궐의 현판과 주련 2: 창덕궁 창경궁』, 수류산방, 2008.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박지영:2004:내가만든추억의창경궁 | 박지영, 『내가 만든 추억의 창경궁』,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 2004.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94722689 | 서영일 외, 『서울 창경궁 상수도 인입관로 이설구간 내 유적』, 한백문화재연구원, 2018.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서울대학교규장각:2005:규장각소장분류별의궤해설집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 소장 분류별 의궤 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8985831151 | 윤한택 외, 『궁궐지 2: 창경궁·경희궁·도성지』, 서울학연구소, 1996.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34957225 | 손용해, 『창경궁: 조선의 역사가 깃든 궁궐』, 주니어김영사, 2012.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34925477 | 손용해, 『창경궁』, 김영사, 2007.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8971991399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84116405 | 신명호, 『조선왕실의 책봉의례』, 세창출판사, 2016.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신석호:1964:한국사료해설집 | 신석호, 『한국사료해설집』, 한국사학회, 1964.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71996911 | 역사건축기술연구소, 『우리 궁궐을 아는 사전 1: 창덕궁 후원 창경궁』, 돌베개, 2015.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중복(ISBN:8985831151) | 윤한택 외, 『창경궁 경희궁 도성지(서울학번역총서 2)』, 1996.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자료없음 | 의궤청, 『창경궁영건도감의궤』, 청우사, 1987.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8936909819 | 이덕수, 『신 궁궐기행: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경운궁 경희궁 종묘의 건축과 역사읽기』, 대원사, 2004.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42390847 | 이미선, 『조선왕실의 후궁: 조선조 후궁제도의 변천과 의미』, 지식산업사, 2021.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91167700162 | 이시우, 『궁궐 걷는 법: 왕궁을 내 집 뜰처럼 누리게 하는 산책자의 가이드』, 유유, 2021.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8984334901 | 이의강 외 역, 『(국역) 순조무자진작의궤』, 보고사, 2006.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98259112 | 이향우, 『(궁궐로 떠나는 힐링여행) 창경궁』, 인문산책, 2014.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90620262 | 장석신, 『동궐의 우리 새』, 눌와, 2009.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종로문화원:2005:창경궁과문묘 | 종로문화원, 『창경궁과 문묘: 화보로 보는 창경궁과 문묘』, 종로문화원, 2005.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8983940808 | 차준용, 『차차차 부자의 고궁답사기 2: 창경궁 덕수궁 종묘 편』, 미래M&B, 1998.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68010682 | 최동군, 『창경궁 실록으로 읽다』, 담디, 2017.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8958720336 | 한영우, 『(조선의 집) 동궐에 들다: 창덕궁과 창경궁으로 떠나는 우리 역사 기행』, 열화당: 효형출판, 2006.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54423519 | 허균, 『왜 창경궁에 동물원이 생겼을까?: 순종활제 VS 이토 히로부미』, 자음과모음, 2012. | 2022:이주희 |
2022-R2 | 창경궁 》 단행본 | ISBN:9788955882377 | 황은주, 『(한 권으로 보는) 조선의 다섯 궁궐 이야기』, 그린북, 2012. | 2022:이주희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region | type | id | biblliography | note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고궁 관리개선에 관한 연구 창경궁을 중심으로』, 문화재관리국, 1993.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도심속의 자연 그리고 창경궁』,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 2008.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동궐(창덕궁, 창경궁)의 주요 식생 분석 및 가림시설 원형고증 연구』, 문화재청, 2016.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26길 8-8 (명륜4가 206-20번지) 유적』, 국방문화재연구원, 2014.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서울 중구 충무로4가 101-5번지 유적 서울 중구 창경궁로1길 31 일원 근린생활시설 신축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한울문화재연구원, 2017.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내 석조문화재 정밀실측조사 설계용역 보고서』, 문화재청, 2013.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대온실 기록화 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2007.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대온실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8.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명정문 및 행각 정밀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0.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명정문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20.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명정전 월대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7.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85.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복원정비 기본계획』, 문화재청, 2010.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복원정비 기본계획-고증 및 관련문헌 자료집』, 문화재청, 2010.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숭문당 내부 도배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21.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숭문당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6.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식생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조사 연구』,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 2005.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양화당 해체보수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5.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영춘헌 및 집복헌 수리공사 보고서』, 문화재청, 2000.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옥천교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5.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옥천교 정밀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4.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주요 식생 조사 및 전통조경 관리방안 연구 용역보고서』,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 2016.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중건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89.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중건보고서-도판』, 문화재관리국, 1987.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집복헌 온돌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창경궁관리소, 2019.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통명전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1.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통명전 연지 실측조사 및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7.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팔각칠층석탑 보존처리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9.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함인정 보수공사』, 문화재청, 2019.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홍화문 정밀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0.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 환경전 보수공사』, 문화재청, 2010.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영건도감의궤』, 국립고궁박물관, 2019.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창경궁의 건축과 인물』, 문화재청, 2007. | ||
2022-R2 | 창경궁 》 문화재청/박물관 | 『효의 궁궐 창경궁』,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 2009. |
창경궁 》 학술논문
region | type | id | biblliography | note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RISS:T11023450 | 김경희, 「조선후기 궁중진연을 통해 본 다문화 고찰: 19세기 진연의궤를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06.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1360141 | 김기덕, 한욱, 김덕문, 「19세기 창경궁 내전 전각의 지붕가구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문화재』 42-2,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1511466 | 김남윤, 「정조의 왕세손 책례 연구」, 『규장각』 37,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1570831 | 김문식, 「소현세자의 왕세자 교육」, 『국학연구』 18, 한국국학진흥원, 2011.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RISS:A104223175 | 김문식, 「조선시대 궁궐의 동궁 건물」, 『사학지』 54, 단국사학회, 2017.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2028124 | 김봉좌, 「순조대 진작 의례와 한글 기록물의 제작-1827년 자경전진작의례(慈慶殿進爵儀禮)를 중심으로-」, 『한국학』 38-3,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2817056 | 김석환, 송인호, 「동궐도의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학연구』 86,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2.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RISS:T13270763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RISS:A75720748 | 김연주, 「≪창경궁수리도감의궤(昌慶宮修理都監儀軌)≫의 차자표기 해독」, 『인문과학연구』 5,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4.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2531710 | 김찬송, 「창경궁박물관의 설립과 변천과정 연구」, 『고궁문화』 11, 국립고궁박물관, 2018.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RISS:A105855919 | 김호, 「효종대 조귀인 저주 사건과 동궐 개수-『창덕창경궁수리도감의궤』를 중심으로-」, 『인하사학』 10, 인하사학회, 2003.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남문현:2016:창경궁보루각연혁금루일성정시의제도를중심으로 | 남문현, 「창경궁 보루각 연혁: 금루-일성정시의 제도를 중심으로」, 『고궁문화』 9, 국립고궁박물관, 2016.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2752920 | 박나연, 「1812년 왕세자 책봉의례의 진행과 그 의미」, 『인문학연구』 62, 인문학연구원, 2021.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2723244 | 박미선, 「조선 숙종 대 장희빈의 왕비 책례 거행과 그 함의」, 『한국학』 44-2,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1946421 | 박희용, 이현진, 「영조대 의소세손의 예장을 통해 본 창경궁 내외의 동선과 궁가의 공간구조」, 『규장각』 45,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4.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2623412 | 석진영, 「효명세자 대리청정시기 창경궁 연향공간의 건축변화 연구」, 『건축역사연구』 29-4, 한국건축역사학회, 2020.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2455675 | 손성욱, 「왕세자 책봉으로 본 청·조관계(강희 35년∼건륭 2년)」, 『동양사연구』 146, 동양사학연구, 2019.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1076297 | 송희은, 「창경궁의 장소성과 상징적 의미의 사회적 재구성」, 『문화역사지리』 19-2,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7.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1510265 | 신명호, 「『승정원일기』를 통해본 소현세자의 병증과 사인」, 『사학연구』 100, 한국사학회, 2010.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RISS:A76173517 | 신영훈, 「창경궁 명정전의 묵서명」, 『미술사학연구』 36, 한국미술사학회, 1963.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2451595 | 오준영, 「동궐(東闕) 추경원(秋景苑)의 조영과 변천에 관한 고찰」, 『문화재』 52-1, 국립문화재연구원, 2019.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RISS:A104077246 | 윤정, 「인조 전반기의 구궐(창경궁)의 중건과 궁궐 경영-『승정원일기』 인조 임어 기사의 분석-」, 『한국문화』 55,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2609364 | 이미선, 「숙종대 왕실여성들의 정치적 행보와 역할」, 『조선시대사학보』 93, 조선시대사학회, 2020.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RISS:T15014786 | 이재용, 「조선 후기 동궐(창덕궁·창경궁)의 원형 추정에 관한 연구-<동궐도>의 기하학적 재구성을 통하여-」, 국내박사학위논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19.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RISS:T15320042 | 이정일, 「헌종대 무신진찬의 정재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9.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2456089 | 이현진, 이혜원, 「조선후기 왕실 상장에서 혼궁의 형성과 공간구성-창경궁 통화전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 88, 조선시대사학회, 2019.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RISS:A45024903 | 장태현, 「시대 변천에 따른 궁원의 공간분석: 창경궁을 중심으로」, 『논문집』 18, 청주대학교, 1985.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RISS:A104853077 | 정연식, 「조선시대 관천대와 일영대의 연혁-창경궁 일영대와 관련하여-」, 『한국문화』 5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RISS:A75410205 | 정용재, 「『동궐도』의 창경궁분석을 통한 평행사선도법과 그 표현에 관한 연구」, 『문명연지』 4-2, 한국문명학회, 2003.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RISS:A82620699 | 정재훈, 「창경궁 궁원의 역사적 경관의 수경에 대한 연구」, 『전통문화논총』 1,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03.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KCI:ART002224580 | 조재모, 「동궐의 궁궐운영 경험과 서궐의 계획-편전 영역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67,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7. | |
2022-R2 | 창경궁 》 학술논문 | 한성국:1962:창경궁고전각들의건축연대문제를중심으로 | 한성국, 「창경궁고-전각들의 건축연대문제를 중심으로-」, 『향토서울』 13,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62. |
종묘
종묘 》 단행본
region | type | id | biblliography | note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강제훈,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으로 본 종묘제례』,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국립국악원, 『국악전집 18 -종묘제례악-』, 국립국악원, 2006.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국립국악원, 『국악전집 8-종묘제례악(全)-』, 국립국악원, 2003.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국립국악원, 『종묘의궤』, 국립국악원, 1990.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편, 『조선 국왕의 일생』, 글항아리, 2009.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금옥진, 『한국무용춤사위』, 리공도서출판부공무국, 1981.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기록문학회, 『부끄러운 문화 답사기』, 실천문학사, 1997.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김기수 외 편, 『대금정악』, 은하출판사, 2011.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김동욱, 『종묘, 한국사시민강좌 제23집 -한국의 문화유산』, 일조각, 1998.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김동욱, 『종묘와 사직』, 대원사, 1990.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김명준, 『악장가사 주해』, 다운샘, 2004.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김문식 외,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김연경, 『한국문화유산』, 솔과학, 2005.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김을한,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페이퍼로드, 2010.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김재경, 『과학성과 민족혼이 함께 하는 한국문화사강론』, 녹문당, 1999.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김향금, 『종묘에서 만난 조선 왕 이야기』, 아이세움, 2013.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김혁, 『장서각소장등록해제-한국학자료해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남상숙, 『조선조 궁중음악의 단절과 <<속악원보>>』, 민속원, 2009.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문숙희, 『종묘제례악의 원형과 복원』, 학고방, 2011.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문화재청, 『조선의 궁궐과 종묘』, 눌와, 2010.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문화재청, 『한국의 세계 유산』, 눌와, 2010.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민족문화추진회, 『국역 악학궤범』, 1980.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박성연, 『종묘 제례악-그 역사와 사상』, 문사철, 2013.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박성호, 『이십공신회맹축, 공신과의 옛 맹약을 지키다』,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박초롱, 『종묘대제 제수진설』, 문화재청 종묘관리소, 2010.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배병우, 『종묘 = Chongmyo royal ancestral shrine of the Choson dynasty』, 삼성문화재단, 1998.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법제처 역, 『춘관지 상 ·하권』, 법제자료 제85집·제86집, 법제처, 1976.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한국의 문화유산-민족문화교양총서2-』, 부산대학교출판부, 1998.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 소장 국보․보물 및 세계기록유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 『국역 경성부사 1』, 휴먼컬처아리랑, 2015.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서정화, 『주나라의 궁, 종묘와 명당』, 한국학술정보, 2017.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송명석, 『우리나라의 유교문화유산 베스트 27』, 탑메이트북, 2015.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송지원 외, 『종묘제례악』, 민속원, 2008.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신동흔, 『도시전승 설화자료 집성 . 1 , 서울 지역(서울 종묘공원)』, 민속원, 2009.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신병주, 『조선을 움직인 사건들』, 새문사, 2009.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신성곤 외, 『동아시아의 문화표상 1』, 민속원, 2015.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안영배, 『(안영배의 한국건축읽기)흐름과 더함의 공간』, 다른세상, 2009.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안휘준, 『청출어람의 한국미술』, 사회평론, 2010.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오연, 『옛 건축 속 옛 이야기 2』, 펀펀황조, 2015.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유홍준, 『유홍준의 국보순례』, 눌와, 2011.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윤방언, 『조선왕조 종묘와 제례』, 문화재청, 2002.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윤여림, 『(신과 인간이 만나는 곳) 종묘: 빅북』, 웅진주니어, 2017.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윤정란, 『왕비로 보는 조선왕조 왕비, 조선왕조 역사의 중심에 서다』, 이가출판사, 2015.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규원, 『조선왕릉실록』, 글로세움, 2012.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기전, 『종묘·종묘제례』, 종묘제례보존회, 2005.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상주, 『왕의 영혼, 조선의 비밀을 말하다-세계문화유산 종묘에 숨겨진 역사의 재발견』, 다음생각, 2012.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성주, 『모든 권력은 간신을 원한다』, 추수밭, 2019.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영경, 『그림으로 본 조선』, 글항아리, 2014.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우상 외, 『조선왕릉, 잠들지 못하는 역사 (개정판)』, 다할미디어, 2014.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욱, 『「종묘등록」해제 (장서각소장등록해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욱, 『조선 왕실의 제향 공간-정제와 속제의 변용』,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재숙, 『조선조 궁중의례와 음악』,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종근, 『한국의 옛집과 꽃담』, 생각의나무, 2010.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종숙, 『종묘제례악 일무의 왜곡과 실제』, 민속원, 2012.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종호, 『과학이 있는 우리 문화유산』, 컬처라인, 2001.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향우, 『종묘로 떠나는 힐링여행』, 인문산책, 2016.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현진 외, 『종묘와 사직-조선을 떠받친 두 기둥-』, 책과함께, 2011.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현진,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일지사, 2008.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형권, 『풍속기행』, 고래실, 2003.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화형, 『한국문화를 꿈꾸다』, 푸른사상, 2011.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이희득, 『하마비를 찾아서-조선시대 종묘 및 궐문 앞에 세워놓은 석비 -』, 좋은땅, 2014.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임승범 외, 『종묘제례』, 민속원, 2008-11-00.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장경희, 『조선 왕실의 궁릉 의물』, 민속원, 2013.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장사훈, 『한국악기대관』, 한국국악학회, 1969.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편집부, 『종묘 종묘제례』,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2005.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전통예술원 편, 『한국중세사회의 음악문화-조선전기 편-』, 민속원, 2003.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정은임 외, 『궁궐 사람들의 삶과 문화』, 태학사, 2007.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조규의, 『조선조 악장의 문예미학』, 민속원, 2005.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조성린, 『종묘에 배향된 공신들』, 종로문화원, 2019.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종묘제례보존회, 『종묘제례악 및 일무 관련 학술발표회』, 종묘제례보존회, 2003.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지두환, 『세계문화유산 종묘 이야기』, 집문당, 2005.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최순권, 『종묘제례: 중요무형문화재 제56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최용범 외, 『한국사 간신열전』, 페이퍼로이드, 2021.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최준식 외, 『유네스코가 보호하는 우리문화유산 열두가지』, 시공사, 2002.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최준식, 『서울 문화 순례』, 소나무, 2009.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최준식, 『세계인과 함께 보는 한국 문화 교과서』, 소나무, 2011.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최준식, 『종묘대제: 한국 사람이라면 알아야 할 나라 제사』, 주류성, 2016.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편집부, 『조선시대의 중앙과 지방』, 서경, 2004.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고전번역원 편, 『종묘의궤 1』, 김영사, 2009.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고전번역원 편, 『종묘의궤 2』, 김영사, 2009.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화나눔추진단 전통나눔사무국, 『(알기 쉬운) 종묘제례악-사람과 자연의 평화를 기원하는 음악[비디오 녹화자료]』, 프로덕션 레이 제작, 2009.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서울-답사여행의 길잡이-』, 돌베개, 2004.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장서각소장 의궤목록』, 2006.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종묘의궤속록(Ⅰ)』, 2011.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국학자료총서 47: 제례등록 1·2: 계제사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국학자료총서 47: 제례등록 3·4·5: 전향사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2013.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총서 13: 장서각소장척본자료집 Ⅵ-조선시대 사가(첩장본)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총서 44: 종묘등록 상』,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총서 44: 종묘등록 하』,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총서 45: 1741년 종묘의궤속록』,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총서 45: 종묘의궤속록 1』,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총서 45: 종묘의궤속록 2』,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총서 45: 종묘의궤속록 3』,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총서 45: 종묘의궤속록 4』,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총서 45: 종묘의궤속록 5』,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총서 45: 종묘의궤속록 6』,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장서각한국본해제』 史部 9, 2014.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형주 외, 『조선의 국가 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형주, 『조선초기 국가제례 연구』, 일조각, 2002. | ||
2022-R3 | 종묘 》 단행본 | 한형주, 『종묘와 궁묘: 조선왕실의 조상제사』, 민속원, 2016.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region | type | id | biblliography | note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 국립중앙박물관, 2011.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2018년 종묘 동측 외곽 담장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종묘관리소, 2019.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국조보감』, 국립고궁박물관, 2016.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세계유산 종묘』, 문화재청 종묘관리소, 2009.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시간이 멈춘 종묘』, 문화재청, 2006.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영조대왕 글·글씨』, 궁중유물전시관, 2001.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왕실문화도감-궁중악무』,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조선 왕실의 상징 종묘와 사직』, 국립고궁박물관, 2012.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조선시대 종묘와 제례』, 문화재청, 2002.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조선왕조 종묘와 제례』, 문화재청, 2002.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조선왕조의궤 현황과 전망』, 국립중앙박물관, 2012.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종묘 영녕전 정밀실측조사 설계용역 보고서』, 문화재청, 2013.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종묘 외곽담장 기초현황 자료조사』, 문화재청, 2019.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종묘 정전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89.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종묘 제상 및 준상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17.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종묘 특별전』,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종묘 향대청 보수공사 수리공사보고서』, 문화재청, 2004.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종묘광장 발굴조사보고서』, 서울역사박물관, 2012.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종묘대제 제수진설』, 문화재청, 2010.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종묘제기』, 문화재관리국, 1976.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종묘제례 종묘제례악』, 문화재청, 2001.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종묘제례악: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종묘친제규제도설번역집』, 문화재청, 2010.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창덕궁·종묘 원유 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2002. | ||
2022-R3 | 종묘 》 문화재청/박물관 | 『천년의 이야기 종묘』, 문화재청, 2008. |
종묘 》 학술논문
region | type | id | biblliography | note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강제훈, 「조선 초기 종묘 친향의의 예악 구성」, 『한국사학보』 86, 고려사학회, 2022.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구혜인, 「조선시대 왕실 제기(祭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9.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구혜인, 「조선후기 종묘 신실(神室)공간의 구성방식과 성격」, 『한국학』 163,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김대호, 「일제하 종묘를 둘러싼 세력 갈등과 공간 변형-1920년대 식민 권력과 귀족 세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43, 2011.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김동욱, 「조선시대 종묘 정전 및 영녕전의 건물규모의 변천, 『문화재』 21, 문화재관리국, 1988.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김선, 「숙종대 『종묘의궤』 편찬과 의의」, 『사학지』 59, 단국사학회, 2019.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김용, 「고악(古樂)ㆍ무보(舞譜)의 육대강(六大綱)에 나타난 일무술어(佾舞術語)의 특시성(等時性)에 관한 연구-『시용무보(時用舞譜)』의 무절구조(舞節構造)와 『세종실록악보』의 「종묘악」을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50,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김용, 「종묘일무의 술어 어법에 대한 리론적 고찰」, 『한국사상과 문화』 17, 한국사상문화학회, 2002.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김용환·김수영·조정식, 「종묘의 제례에 따른 공간사용에 관한 고찰」, 『박물관지』 제8호, 충청대학박물관, 1999.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김재영, 「『속악원보』 신편의 격도법 연구」, 『한국음악사학보』 제23집, 한국음악사학회, 1999.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김종수, 「조선시대 대전·중전 존호의례의 변천과 용악 고찰」, 『한국음악사학보』 49, 2012.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김지영, 「전향사 『제례등록』을 통해 본 조선후기 국가제례와 일상」, 『사학연구』 116, 한국사학회, 2014.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김지영, 「조선후기 국가제례의 설행과 전향사 『제례등록』」, 『제례등록』 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12.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김해영, 「조선초기 사전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역사학과 박사학위, 1993.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김해인, 「명대(明代) 의례와의 비교를 통해 본 조선시대 속제의 성격」, 『동아시아고대학』 64,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김현호, 「종묘제례악 사상과 선율의 미의식 연구」, 『동양고전연구』 43, 동양고전학회, 2011.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남상숙, 「종묘제례악보 고찰」, 『한국음악사학보』 31, 한국음악사학회, 2003.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문숙희, 「보태평과 정대업의 종합적인 고찰, 『온지논총』 26, 온지학회, 2010.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문숙희, 「종묘제례악 귀인류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연구』 46, 한국국악학회, 2009.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박미라, 「종묘에서 시조신의 위상과 신격-협(祫)·체제사(褅祭祀)의 수위(首位)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과 문화』 77,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박성연, 「종묘제례악의 제도적·사상적 기반과 역사적 전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유학과 박사학위논문, 2012.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박정해, 「종묘와 사직壇, 환구단 립지의 풍수환경」, 『퇴계학과 유교문화』 52,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3.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소순규, 「조선 세종조 배향공신 신개의 정치적 역할과 종묘 배향의 배경」, 『민족문화연구』 8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송지원, 「정조대의 국가제례와 악가무 연구」, 『국사관론총』 102, 국사편찬위원회, 2003.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신명호, 「『종묘책보등록』의 내용과 의미」, 『종묘등록(상)』,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신명호, 「장서각 소장 자료와 종묘의 역사」, 『장서각』 제4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신명호, 「조선시대 불천위(불천위), 『조선시대의 사회와 사상』, 조선사회연구회, 1998.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신진혜, 「숙종대 국왕 종묘 전알(展謁)의 정식화와 의미」, 『한국사상사학』 64, 한국사상사학회, 2020.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신진혜, 「영조대 제향에 대한 국왕 친림 절차의 추가적 정비와 의미 : 종묘 친향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총』 102,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1.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신진혜, 「임진전쟁기 종묘의 소실과 재건 과정 연구」, 『역사학보』 240, 역사학회, 2018.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신진혜, 「정약용의 종묘 사시(四時) · 납향(臘享) 고증과 그 의미」, 『역사와 현실』 97, 한국역사연구회, 2015.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신진혜, 「조선시대 종묘의 천신 진상과 의절-‘임토작공(任土作貢)’⋅‘효’의 의미 -」, 『민족문화연구』 8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신진혜, 「조선후기 종묘의례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9.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안 천, 「대한황실 종묘대제 및 릉제향 부활사 연구」, 『중앙사론』 21, 한국중앙사학회, 2005.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안소정, 「영조대 종묘 외대문 내외 공간의 행례」, 『서울과 역사』 104, 서울역사편찬원, 2020.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염명경, 「종묘제례악의 교화적 의의」, 『교육사상연구』 34-4, 한국교육사상학회, 2020-11-00.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오준영, 「종묘 지당의 변천에 관한 연구」, 『문화재』 49, 국립문화재연구원, 2016.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강근, 「조선왕조의 신전 종묘」, 『미술사학연구』 216, 한국미술사학회, 1997.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숙희, 「조선조 종묘제례무의 변천 소고」, 『한국음악사학보』 31, 한국음악사학회, 2003.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영한, 「조선 종묘 초창시 공간원형 및 좌향 연구」, 『향토서울』 제58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98.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왕무, 「조선후기 종묘 행행의 추세와 변화」, 『조선시대사학보』 75, 조선시대사학회, 2015.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욱, 「일제강점기 이왕직의 종묘 물품 관리」, 『장서각』 44,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욱, 「조선 전기 유교국가의 성립과 국가제사의 변화」, 『한국사연구』 118, 한국사연구회, 2002.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욱, 「조선시대 왕실 제사와 제물의 상징: 혈식ㆍ소식ㆍ상식의 이념」, 『종교문화비평』 20,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1.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욱, 「조선후기 국가 제사와 제주도 흑우(黑牛)의 진상」, 『한국학』 160,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욱, 「조선후기 종묘 증축과 제향의 변화」, 『조선시대사학보』 61, 조선시대사학회, 2012.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욱, 「종묘등록해제」, 『장서각소장등록해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장렬, 「현행 종묘제례의 사적 고찰」, 『역사민속학』 제12호-장철수선생추모특집호-, 한국역사민속학회, 2001.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종숙, 「『시용무보』의 무절 구조분석과 현행 종묘일무의 비교 연구」, 룡인대 박사론문, 2002.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종숙, 「일제강점기 종묘제례악무 고찰」, 『한국음악사학보』 31, 한국음악사학회, 2003.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종숙, 「종묘제례악 일제강점기 왜곡 과정 연구」, 『이화사학연구』 30, 리화사학연구회, 2003.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태형, 「종묘제례악 보태평의 연극학적 접근」, 『인문학연구』 41,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현진, 「19세기 조선 왕실의 왕위 계승과 종묘 세실론」, 『한국사상사학』 제32집, 한국사상사학회, 2009.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현진, 「대한제국의 선포와 종묘 제도의 변화 -칠묘의 구성과 황제 추존, 신주 개제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40, 한국사상사학회, 2012.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현진, 「도설로 본 조선시대 종묘와 영녕전의 변화」, 『한국고지도연구』 7-2,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5.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현진, 「영·정조대 종묘 세실론과 왕실의 위상 강화」, 『조선시대사학보』 38, 조선시대사학회, 2006.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현진, 「인조대 병자호란 직후 종묘의 정비-신主의 개造·개제논의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보』 65, 조선시대사학회, 2013.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현진, 「조선시대 장생전(長生殿)의 설치와 운영」, 『진단학보』 131, 진단학회, 2018.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현진, 「조선시대 종묘의 신주·위판 제식의 변화-명·청의 교체를 기점으로-」, 진단학보 제일백일호, 2006.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혜구, 「이조의 종묘제향악, 『향토서울』 5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59.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이혜구, 「한국의 음악, 『한국사』 23 한국민족, 국사편찬위원회, 1977.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장경희, 「조선 왕릉과 종묘의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미술사학』 33,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7.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장경희, 「조선후기 종묘 신실 내 목공예품의 종류와 제작실태 : 『부묘도감의궤』를 중심으로」, 『동방학』 40,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장경희, 「종묘 소장 왕실제기의 명문 분석-제작연대와 사용처의 고증을 중심으로-」, 『도시역사문화』 제8호, 서울역사박물관, 2009.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장사훈, 「종묘제례악의 음악적 고찰, 가람리병기박사송수론문집, 가람리병기박사송수론문집간행위원會, 1966.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장은혜ㆍ박용수, 「종묘 출토 제기의 보존처리」, 『문화재 보존연구』 8, 서울역사박물관 보존과학과, 2011.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정인하, 「1394년에 작성된 한성부 도시계획도에 관한 연구-도시 축과 구획 단위를 중심으로-, 『향토서울』 77,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1.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정해은, 「장서각 소장 『종묘등록』의 특징과 가치」, 『종묘등록(하)』,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조유회, 「현행 종묘제례악의 악기편성에 관한 소고」, 『국악교육』 34, 한국국악교육학회, 2012.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조준하, 「우리나라의 제사문화와 종묘대제」, 『한국사상과 문화』 12, 한국사상문화학회, 2001.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조춘영, 「종묘제례악의 역학적 사유체계 연구-음陽 대대와 층위 구조를 중심으로 -」, 『유교사상문화연구』 51, 한국유교학회, 2013.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지두환, 「국조오례의 편찬과정 (1)-길례 종묘·사직제의를 중심으로」, 『부산사학』 9, 부산사학회, 1985.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지두환, 「조선전기 묘제에 관한 일고찰; 세차·위차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화』 4,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83.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차수정, 「시용무보의 종묘일무 재현방법 연구(1)-세조조악보의 장고장단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35, 한국사상문화학회, 2006.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한형주, 「『종묘의궤속록』을 통해본 정조대의 종묘제사」, 『포은학연구』 23, 포은학회, 2019.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한형주, 「『홍범연의(洪範衍義)』에 보이는 국가제사」, 『국학연구』 35, 한국국학진흥원, 2018.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한형주, 「세종대 국가의례의 정비와 종묘」, 『향토서울』 73,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한형주, 「조선시대 국가제사에서의 ‘희생’ 사용과 그 운영」, 『역사민속학』 52, 한국역사민속학회, 2017.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한형주, 「조선전기 종묘 ‘동당이실제’의 비판과 중건논쟁」, 『한국사학보』 36, 고려사학회, 2009.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한형주, 「조선초기 종묘의 오묘제와 제향의식의 성립-종묘·영녕전·문소전 제향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명지사론』 11·12 합집, 명지사학회, 2000.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허익수, 「종묘 악현 중 삼현 사용에 관한 사적 검토-세종시대부터 현재까지의 종묘제례악현 비교를 통하여」, 『한국음악연구』 56, 한국국악학회, 2014. | ||
2022-R3 | 종묘 》 학술논문 | 홍은기·곽이라·한욱, 「영건의궤로 살펴본 벽(壁)의 명칭에 관한 고찰- 종묘 정전·영녕전의 갑벽(甲壁)을 중심으로 -」, 『문화재』 94,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
흥인지문/동관왕묘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region | type | id | biblliography | note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김도형, 『순성의 즐거움-서울성곽 600년을 걷다-』, 효형출판, 2010.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김영태, 『관운장을 만나는 동관왕묘와 조선 왕손을 찾아서: 역사문화 에세이 사진집』, 2016.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김용관, 『서울, 한양의 기억을 걷다-서울에서 한양까지 다시 찾은 수도 육백 년사』, 인물과사상사, 2012.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김용국, 『관왕묘건치고』 25, 1965.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김지영, 『조선 후기 관왕묘 향유의 두 양상』, 규장각 49, 2016.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김탁, 『한국의 관제신앙』, 선학사, 2006.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김필례, 『관우설화연구』 17, 1998.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남홍진, 『흥인지문』, 에루살렘, 1987.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남홍진, 『흥인지문』, 이레, 1989.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박경룡, 『서울문화유적 (1)』, 수문출판사, 1997.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박계형, 『잊혀진 각석을 찾아가는 서울 성곽의 역사』, 도서출판 조은, 2008.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불교문화재연구소, 『서울 동관왕묘 2』, 불교문화재연구소, 2019.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신희권, 『한양도성, 서울을 흐르다』, 북촌, 2016.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유영호, 『한양도성 걸어서 한바퀴』, 창해, 2015.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이경재 저, 『서울정도육백년 1』, 서울신문사, 1993.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이경재 저, 『서울정도육백년 4』, 서울신문사, 1993.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이복규, 『한국전통문화의 이해』, 민속원, 2003.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이왕무, 『조선후기 국왕의 능행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8.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임석재, 『서울, 건축의 도시를 걷다 1-사대문 안과 구도심-』, 인물과사상사, 2010.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전우용, 『우리의 역사는 깊다 1』, 푸른역사, 2015.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차용걸, 『한국 축성사 연구 2』, 진인진, 2016-02-00.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최석호 외, 『골목길 근대사-정동에서 부산까지 1887~1950』, 시루, 2015.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최완기, 『한양 그곳에서 살고 싶다』, 교학사, 2006.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단행본 | 홍기원, 『성곽을 거닐며 역사를 읽다』, 살림, 2010.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region | type | id | biblliography | note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도성과 마을 1』, 서울역사박물관, 2014.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도성의 수문-2019 동대문역사관 기획전』, 서울역사박물관, 2019.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동관왕묘 감실모사 및 단청 보고서』, 종로구청, 2012.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동관왕묘 소장유물 기초학술 조사보고서』, 종로구청, 2012.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동관왕묘 소장유물 일괄 보존처리사업보고서』, 종로구청, 2019.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동관왕묘 유물 보존처리공사 수리보고서』, 종로구청, 2016.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동관왕묘 종합정비계획』, 종로구청, 2011.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동묘의 건축』,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서울 동관왕묘 구룡도 모사도 제작보고서』, 종로구청, 2018.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서울 동관왕묘 유적』, 종로구청, 2011.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서울 동관왕묘 일월오봉도 모사도 제작보고서』, 종로구청, 2018.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서울 동관왕묘 학술조사 및 고증 연구용역보고서』, 종로구청, 2018.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서울 동관왕묘유적』, 종로구청, 2011.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서울 동묘해제 실측 및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종로구청, 2010.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서울 한양도성 흥인지문 북측 성벽 추정지역 발굴조사』, 한울문화재연구원, 2016.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서울 흥인지문 보존처리 공사 수리보고서』, 전우문화재보존, 2018.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서울 흥인지문 정밀실측조사보고서』, 서울특별시, 2006.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서울특별시 문화유적 지표조사 종합보고서 (제Ⅱ권)』, 서울역사박물관, 2005.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서울특별시 문화유적 지표조사 종합보고서 (제Ⅳ권)』, 서울역사박물관, 2005.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한국의 보물 (1-10) [비디오녹화자료]』 8편, 문화관광부, 2006.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흥인지문 북측성곽 단절부 회복 기본계획 수립 연구』, 서울특별시, 2014.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흥인지문 양성보수 및 윤보선가 지붕보수공사 수리보고서』, 서울특별시 종로구청, 2012.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흥인지문 옹성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종로구, 2015.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문화재청/박물관 | 『흥인지문 정밀 안전진단 안전진단보고서』, 종로구청, 2001.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region | type | id | biblliography | note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강봉진, 「서울 동묘정전 실측보고」, 『대한건축학회지』 13-33, 1969.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강훈혁, 『한국 관왕묘의 디지털 큐레이션 방안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2022.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구은아, 「서울의 관제묘와 관우신앙」, 『문명연지』 3-1, 2012.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김용국, 「관왕묘 건치고」, 『향토서울』 25, 서울시편찬위원회, 1965.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김우진, 「조선 후기 숙종(肅宗)의 관왕묘(關王廟)행차와 의미」, 『사학지』 61, 2021.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김재명, 「동관왕묘의 건물과 시설의 원형복원 연구」,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김재명, 「해방 후 동관왕묘의 변화과정 연구」, 『동방학』 38, 동양고전연구소, 2018.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김재명·장경희, 「조선후기 동관왕묘 건축의 원형 복원 연구-건물의 개수와 시설의 변천을 중심으로-」, 『동방학』 35,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6.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김형석·정우진·심우경, 「서울 동관왕묘(東關王廟)의 공간구성 및 원형경관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4,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김형석·정우진·심우경, 「서울 동관왕묘(東關王廟)의 공간구성에 대한 소고(小考)」, 『한국조경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조경학회, 2014.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민관동, 「『삼국지연의』의 국내 유입과 출판 - 조선 출판본을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학회』 24, 2014.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박정해, 「동관왕묘 입지의 풍수 분석」, 『아시아문화연구』 26,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상기숙, 「한중 관우의례 비교」, 『동방학』 41,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손숙경, 「19세기 후반 관왕숭배의 확산과 관왕묘 제례의 주도권을 둘러싼 동래 지역사회의 동향」, 『고문서연구』 23, 2003.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송지원, 「관왕묘 제례악 연구」, 『음악학논총』, 소암권오성박사회갑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2000.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심승구, 「관왕묘 의례의 재현과 공연예술화 방안」, 『한국공연문화학회』 24, 2012.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심승구, 「조선후기 무묘의 창건과 향사의 정치적 의미 -관왕묘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의 정치와 제도』, 집문당, 2003.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유현, 「고종시대 관왕숭배의 확산과 국왕의 정치적 태도」,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이경미, 「동관왕묘 정전의 건축특징과 중국건축과의 관계」, 『서울과 역사』 81, 서울역사편찬원, 2012.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이경선, 「관우신앙에 관한 소고」, 『한양대논문집』 8, 1974.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이성형, 「대명의리론의 추이와 조선 관왕묘-선조~숙종년간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53, 2014.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이유나, 「조선 후기 관우신앙 연구」, 『동학연구』 20, 한국동학학회, 2006.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이정은·한나라·이찬희, 「서울 동관왕묘 소조상의 비파괴진단 및 제작기법 해석」, 『보존과학회지』 29-1,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3.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이찬희·이정은·한나라, 「서울 동관왕묘 소조상 채색안료의 정밀분석 및 동정」, 『보존과학회지』 28-2,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2.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장경희, 「동관왕묘의 어제(御製) 현판(懸板)의 유형과 내용 분석」, 『문화재』 49-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장경희, 「동관왕묘의 조각상 연구」, 『문화재』 43-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장경희·김재명, 「동관왕묘 정전 내부 의물 연구」, 『한국공예논총』 16-2,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3.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장장식, 「서울의 관왕묘 건치와 관우신앙의 양상」, 『민속학연구』 14, 2004.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장지연, 「권력관계의 변화에 따른 동교 단묘의 의미 변화 : 근대 선농단과 동관왕묘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36,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9.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정은주, 「한양 도성의 동문, 흥인지문과 주변 이야기」, 『미술사와 문화유산』 5,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6.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차미경, 「청대 관공신앙과 관우극의 공연문화적 특징」, 『중국문학연구』 70, 한국중문학회, 2018.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최인영, 「동대문 밖 전차의 도입과 역할-청량리선과 왕십리선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37, 서울학연구소, 2009.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한종수, 「조선후기 숙종대 관왕묘 치제의 성격」, 『한국역사민속학회』 21, 2005.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허승, 「동묘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 ||
2022-R4 | 흥인지문/동관왕묘 》 학술논문 | 홍윤기, 「동묘의 명 사신이 지은 현판에 대한 고증과 그 외교적 문화적 의미에 관하여」, 『중국학논총』 49, 2015. |
문묘
문묘 》 단행본
region | type | id | biblliography | note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공상림 외, 『중국 공자문묘연구』, 동아시아, 2018.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김용헌,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조선시대 문묘 종사 논쟁 읽기-』, 프로네시스, 2010.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대한건축학회, 『한국건축사』, 기문당, 1996.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문동석, 『서울이 품은 우리 역사』, 삼성박물관, 2017.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문동석, 『한양, 경성 그리고 서울-답사로 푸는 서울의 역사와 문화-』, 상상박물관, 2013.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신병주, 『조광조 평전-사화의 시대, 성리학적 이상을 꿈꾼 개혁가의 비상과 추락』, 한겨레출판, 2021.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신병주, 『참모로 산다는 것-왕권과 신권의 대립 속 실제로 조선을 이끌어간 신하들의 이야기』, 매일경제신문사, 2019.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신봉승, 『문묘 18현-조선 선비의 거울-』, 청아출판사, 2010.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이덕일, 『조선 선비 당쟁사-사림의 등장에서 세도정치까지, 선비들의 권력투쟁사로 다시 읽는 조선 역사』, 인물과 사상사, 2018.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이민홍, 『한국민족악무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8.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이성무, 『쉽게 읽는 당쟁사 이야기』, 아름다운날, 2022.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이용재, 『한양 왕의 집, 내 집처럼 드나들기-건축평론가 이용재의 톡톡 튀는 한양 이야기』, 책이있는마을, 2012.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이희환, 『조선정치사』, 혜안, 2015.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임학선, 『문묘일무보 도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5.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임학선, 『문묘일무의 예악사상』,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1.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임학선, 『문묘일무의 이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장사훈, 『한국전통무용연구』, 일지사, 1977.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장재천, 『조선조 성균관교육과 유생문화』, 아세아문화사, 2000.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정재연구회, 『한국문묘일무의 미학』, 보고사, 2008.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지두환, 『조선전기 의례연구; 성리학 정통론을 중심으로』, 서울대출판부, 1994.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최연식, 『조선의 지식계보학-조선은 어떻게 지식인의 나라가 되었나?』, 옥당, 2015.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편집부, 『문묘제례악과 양주별산대 놀이』, 성균관대출판부, 2004.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묘명현의 꿈과 우정, 그리고 기억』,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한흥섭, 『아악혁명과 문화영웅 세종-종묘제례악은 한국 아악이다-』, 소나무, 2010. | ||
2022-R5 | 문묘 》 단행본 | 허권수, 『조선후기 문묘종사와 예송-남인과 서인간의 양대논쟁-』, 술이, 2013. |
문묘 》 문화재청/박물관
region | type | id | biblliography | note |
---|---|---|---|---|
2022-R5 | 문묘 》 문화재청/박물관 | 『서울 문묘 실측조사 보고서 1-3』, 문화재청, 2006. | ||
2022-R5 | 문묘 》 문화재청/박물관 | 『서울 문묘와 성균관 향문 유적』, 한울문화재연구원, 2019. | ||
2022-R5 | 문묘 》 문화재청/박물관 | 『성균관과 문묘의 세계유산적 가치』, 서울특별시, 2016. | ||
2022-R5 | 문묘 》 문화재청/박물관 | 『아악 일무보』, 국립국악원, 2009. |
문묘 》 학술논문
region | type | id | biblliography | note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공상림, 「중국·한국·월남·일본·류구의 문묘제도 비교」, 『유교문화연구 8,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2004.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금상오, 「당쟁사의 립장에서 본 리이의 문묘종사 문제」, 『전북사학』 4, 전북대학교 사학회, 1980.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금영두, 「중종대 문묘종사 논의와 조선 도통의 형성」, 『사학연구』 85, 한국사학회, 2007.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금하성, 「이이의 문묘종사론쟁을 통해 본 서·남인의 불교관」, 고려대 교육대학원 역사교육과 석사학위논문, 1997.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김경순, 「오숙재 송익흠의 '문묘 종향' 관련 한글편지 해독 고찰」, 『인문학연구』 100,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김문식, 「조헌의 문묘제도 논의와 중국학자 평가」, 『조선시대사학보』 93, 조선시대사학회, 2020.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김상오, 「하서 금린후의 생애와 문묘종향 경위」, 『전북사학』 5, 전북대학교 사학회, 1981.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김세종, 「한∙중 문묘석전 일무의 무위변천과 그 사상」, 『한국사상과 문화』 47,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김영수, 「괴산향교와 문묘」, 『괴향문화』 제16집, 괴산향토사연구회, 2008.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김용곤, 「16세기 사림의 문묘종사운동; 학문동향과 사림의 지치운동과 관련하여」, 『김철준박사 화갑기념 사학논총』, 김철준박사 화갑기념 사학논총 간행준비위원회, 1983.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김용곤, 「조선초기 문묘종사-태종·세종대를 중심으로」, 『한국사학논총』 상, 수촌박영석교수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2.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김우진, 「숙종대의 문묘(文廟) 정비와 그 의의」, 『역사와 현실』 119, 한국역사연구회, 2021.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김해영, 「조선초기 문묘 향사제에 대하여」, 『조선시대사학보』 15, 조선시대사학회, 2000.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노인환, 「조선후기 敎書의 발급 과정 연구-1756년(영조 32) 송시렬 문묘종사교서를 중심으로-」, 『한국문화』 6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3.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류미나, 「식민지권력에의 ‘협력’과 좌절―경학원과 향교 및 문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문화』 36,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005.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리희권, 「동방오현의 문묘종사 소고」, 『전북사학』 7, 전북대학교 사학회, 1983.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박래호, 하서 금린후선생의 관직생활과 문묘종향의 경위」, 『향토문화』 제16집, 향토문화개발협의회, 1997.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박정해ㆍ한동수, 「서울 문묘입지의 풍수적 특징 분석」, 『동방학』 21, 한서대학교동양고전연구소, 2011.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박찬수, 「문묘향사제의 성립과 변천」, 『남사 정재각박사 고희기념 동양학논총』, 동양학논총 편찬위원회, 1984.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설석규, 「조선시대 유생의 문묘종사 운동과 그 성격」, 『조선사연구』 제3집, 복현조선사연구회, 1994.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설자영, 『문묘일무의 특성분석을 통한 원형성 연구 : 문화재보호법의 원형유지 원칙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무용학과 박사학위논문, 2020.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성숙경, 「갑오개혁 이후(1894~1899) 성균관의 근대적 재편」, 『한국근현대사연구』 39, 한국근현대사학회, 2006.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송웅섭, 「조선 성종의 문묘 의례 준행과 국왕으로서의 권위 창출」, 『역사와 담론』 85, 호서사학회, 2018.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우경섭, 「송시렬의 도통론과 문묘리정 논의」, 『한국문화』 37,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6.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유지신, 「석전례악의 연원과 그 전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유학과 유교철학·예악학전공, 박사학위논문, 2012.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이근호, 「18세기 전반 송시렬 문묘 종사 논란의 정치적 의의」, 『한국사학보』 62, 고려사학회, 2016.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이기동, 「문묘제례의 철학적 기반」, 『유교문화연구 8,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2004.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이보름, 「한국 문묘일무의 연원과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무용학과 박사학위논문, 2016.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이석희·강정인, 「조선 유교 헌정주의의 성립 : 도통론과 문묘배향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52(4), 한국정치학회, 2018.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이성호, 「최충에 대한 역대 인식 변화와 문묘종사 논의의 이해」, 『역사와 경계』 82, 부산경남사학회, 2012.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이수환, 「16세기전반 영남사림파의 동향과 동방오현 문묘종사」, 『한국학논집 45,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1.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이수환, 「김굉필의 문묘종사와 제향 서원」, 『국학연구논총』 25, 대한민국학연구원, 2020.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이영춘, 「조선후기의 사전의 재편과 국가제사」, 『한국사연구』 118, 한국사연구회, 2002.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이왕무, 「조선 후기 국왕의 문묘 행행의 추세와 성격」, 『조선시대사학보』 93, 조선시대사학회, 2020.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이하나, 「한국 문묘제례의 변화 양상 고찰을 통한 공자의 위상 연구」, 『동아시아 고대학』 46, 동아시아 고대학회, 2017.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장순순, 「석전의 상징성과 향교 석전의 식민지적 변용」, 『태동고전연구』 45,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전인평, 「세종실록 아악보와 현행 문묘악」, 『세종학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2.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정두영, 「16세기 후반 조선학계의 양명학 비판론과 문묘제도 개정 논의」, 『역사와 실학』 76, 역사실학회, 2021.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정옥자, 「조선후기 문묘사전의 이정; 중국유현의 승출에 관련하여」, 『한국문화』 7,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86.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지두환, 「조선시대 문묘 향사 위차의 특징과 그 교육적 시사 : 명,청 시기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 34, 한국교육사학회, 2012.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지두환, 「조선전기 문묘의례의 정비과정」, 『한국사 연구』 75, 한국사연구회, 1991.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지두환, 「조선전기 문묘종사 논의; 정몽주·권근을 중심으로」, 『부대사학』 제9집, 부산대학교 사학회, 1985.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지두환, 「한국 문묘제도의 변천」, 『국악원논문집』 17, 국립국악원, 2008.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진상원, 「조선중기 도학의 정통계보 성립과 문묘종사」, 『한국사연구』 128, 한국사연구회, 2005.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최근묵, 「우암 송시열의 문묘 및 서원종사」, 『백제연구』 제15집,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85.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 허권수, 「17세기 문묘종사와 례송에 관한 연구-근기남인과 령남남인의 제휴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 박사학위논문, 1992. | ||
2022-R5 | 문묘 》 학술논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