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소요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Definition== 창덕궁 후원 옥류천 권역에 있는 정자. 조선 인조(재위 1623~1649)가 1636년(인조 14) 탄서정(歎逝亭)이라는 이름으로 세웠고, 후에...) |
(→Definition)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창덕궁 후원 옥류천 권역에 있는 정자. 조선 인조(재위 1623~1649)가 1636년(인조 14) 탄서정(歎逝亭)이라는 이름으로 세웠고, 후에 『장자』 <소요유> 편에서 이름을 따와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고 한다. 1790년(정조 14) | + | 창덕궁 후원 옥류천 권역에 있는 정자. 조선 인조(재위 1623~1649)가 1636년(인조 14) 탄서정(歎逝亭)이라는 이름으로 세웠고, 후에 『장자』 <소요유> 편에서 이름을 따와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고 한다. <br/> 정조(재위 1776~1800) 는 1790년(정조 14) 장마로 쓰러진 소요정을 보수하도록 명하고, <소요정기>를 지어 이러한 사실을 기록하였다. |
− | <br/> 소요정은 옥류천 권역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어, 주변에 자리한 여러 정자들을 포함한 일대의 풍경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특히 정자 앞 바위에 곡선으로 만든 유배거와 물줄기 끝자락에 조성한 인공 폭포를 감상할 수 | + | <br/> 소요정은 옥류천 권역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어, 주변에 자리한 여러 정자들을 포함한 일대의 풍경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특히 정자 앞 바위에 곡선으로 만든 유배거와 물줄기 끝자락에 조성한 인공 폭포를 감상할 수 있다. 이곳에서 보는 물길을 절경으로 꼽은 임금들의 시문이 여러 편 남아있다. 특히 정조는 1793년(정조 17) 3월 20일 이곳에 신하들을 초대해 연회를 연 후, 모든 참석자가 지은 시를 모아 시첩을 만들기도 했다. <br/> |
한편, 소요정의 네 기둥에는 각각 주련(柱聯)이 하나씩 걸려있다. 입구 오른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br/> | 한편, 소요정의 네 기둥에는 각각 주련(柱聯)이 하나씩 걸려있다. 입구 오른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br/> | ||
− | + | #"정원 가득 꽃 피고 봄날은 긴데, 온 세상 태평하니 임금의 조서 드물어라.(一院有花春晝永, 八方無事詔書稀.)" 두 구절은 중국 송나라의 시인 이방(李昉, 925~996년) 4)의 칠언 율시 <금림춘직(禁林春直)>의 구절로, 한가로운 봄날도 임금의 은혜에서 비롯되었다는 의미이다. <br/> | |
− | + | #"새벽녘 이슬 기운 푸른 계수나무 있는 달과 이어진 듯하고, 아스라한 패옥 소리 천제(天帝)의 하늘에서 들려오는 듯하네.(露氣曉連靑桂月, 珮聲遙在紫薇天.)" 두 구절은 정자에서 느낄 수 있는 새벽 시간의 그윽한 정취를 묘사한 것이다. 청계는 달에서 자란다는 푸른 계수나무를 이르며, 자미는 북극성의 북쪽에 위치해 천제(天帝)가 거처하는 곳으로 여겨지는 자미원(紫微垣)을 가리킨다. | |
−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2022년 8월 16일 (화) 14:16 판
목차
Definition
창덕궁 후원 옥류천 권역에 있는 정자. 조선 인조(재위 1623~1649)가 1636년(인조 14) 탄서정(歎逝亭)이라는 이름으로 세웠고, 후에 『장자』 <소요유> 편에서 이름을 따와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고 한다.
정조(재위 1776~1800) 는 1790년(정조 14) 장마로 쓰러진 소요정을 보수하도록 명하고, <소요정기>를 지어 이러한 사실을 기록하였다.
소요정은 옥류천 권역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어, 주변에 자리한 여러 정자들을 포함한 일대의 풍경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특히 정자 앞 바위에 곡선으로 만든 유배거와 물줄기 끝자락에 조성한 인공 폭포를 감상할 수 있다. 이곳에서 보는 물길을 절경으로 꼽은 임금들의 시문이 여러 편 남아있다. 특히 정조는 1793년(정조 17) 3월 20일 이곳에 신하들을 초대해 연회를 연 후, 모든 참석자가 지은 시를 모아 시첩을 만들기도 했다.
한편, 소요정의 네 기둥에는 각각 주련(柱聯)이 하나씩 걸려있다. 입구 오른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정원 가득 꽃 피고 봄날은 긴데, 온 세상 태평하니 임금의 조서 드물어라.(一院有花春晝永, 八方無事詔書稀.)" 두 구절은 중국 송나라의 시인 이방(李昉, 925~996년) 4)의 칠언 율시 <금림춘직(禁林春直)>의 구절로, 한가로운 봄날도 임금의 은혜에서 비롯되었다는 의미이다.
- "새벽녘 이슬 기운 푸른 계수나무 있는 달과 이어진 듯하고, 아스라한 패옥 소리 천제(天帝)의 하늘에서 들려오는 듯하네.(露氣曉連靑桂月, 珮聲遙在紫薇天.)" 두 구절은 정자에서 느낄 수 있는 새벽 시간의 그윽한 정취를 묘사한 것이다. 청계는 달에서 자란다는 푸른 계수나무를 이르며, 자미는 북극성의 북쪽에 위치해 천제(天帝)가 거처하는 곳으로 여겨지는 자미원(紫微垣)을 가리킨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창덕궁_소요정 | Architecture | 궁궐건축-창덕궁 | 옥류천 일원 | 창덕궁 소요정(逍遙亭) | 소요정 | 逍遙亭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창덕궁_소요정 | 2022:안이슬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창덕궁 | 창덕궁_소요정 | hasPart | 2020 | |
계축년_유상곡수연(1793) | 창덕궁_소요정 | isRelatedTo | 2022:안이슬 |
Spatial Data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지역N문화 > 역사문화유산> 선비 문화의 산실, 누정 | 구속됨 없이 천천히 노니는, 창덕궁 소요정 (작성자 장현희, 네이버 블로그) | https://ncms.nculture.org/pavilion/story/2387 | |
참고 | 한겨레 | 옛 원형과 다른 궁궐 현판 색상 바로 잡는다 (노형석 기자, 2016-05-13) | 20세기 초반 찍은 옛 사진과 대조하여 고증한 결과 오류가 확인되었으나, 세부적으로 옛 모습을 재현하기 어려운 경우(창덕궁 소요정 현판 등)에 해당되어 교체되지 않았음. |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743719.html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SBN:9788971996911 | 단행본 | 역사건축기술연구소, 『우리 궁궐을 아는 사전-창덕궁_후원_창경궁』, 돌베개, 2015. | ||
ISBN:8958720336 | 단행본 | 한영우, 『조선의 집, 동궐에 들다』, 효형출판·열효당, 2008. | ||
ISBN:8985831097 | 단행본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궁궐지 1 -경복궁, 창덕궁』, 서울시립대학교부설 서울학연구소, 1994. | 서울학연구소 > 간행도서> 번역총서 | https://seoulstudies.uos.ac.kr/korFree/view.do |
KCI:ART001700759 | 논문 | 정우진, 김형석, 심우경, 「창덕궁 옥류천의 수경(修景) 특성과 변천과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30(3), 2012.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00759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