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1-047"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ontextual Relations) |
(→대한제국의 태극기)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Story== | ==Story== | ||
− | 대한제국이 자주독립국가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한 국가 상징물로 전통무늬인 태극과 팔괘를 주된 문양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국기 제정 논의가 처음으로 거론된 것은 1876년(고종 13) 1월 일본과 강화도조약을 맺을 때 일본 사신이 일본국기를 내건 데 대하여 당시 조선 사신은 국기가 없어서 내걸지 못하였다. 이 | + | 대한제국이 자주독립국가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한 국가 상징물로 전통무늬인 태극과 팔괘를 주된 문양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국기 제정 논의가 처음으로 거론된 것은 1876년(고종 13) 1월 일본과 강화도조약을 맺을 때 일본 사신이 일본국기를 내건 데 대하여 당시 조선 사신은 국기가 없어서 내걸지 못하였다. 이 일로 국기를 만들자는 주장이 있었으나, 조선에서는 아직 국기 제정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추진되지 못하였다. 그 뒤 외국과의 교섭이 자주 발생하면서 국기의 필요성을 느껴, 1881년 충청도관찰사 이종원(李淙遠)이 제출한 태극 팔괘의 도식(圖式)에 의해 비로소 국기를 정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2400 두피디아>대한민국>국기.]</ref><br/> |
이후에 1882년 박영효가 일본에 수신사로 가면서 태극도안의 기를 사용한 것이 국기 사용의 효시가 되었고, 태극도안의 태극기가 국기로서 공식화된 것은 고종이 “태극 주위에 4괘(四卦)를 배(配)한다.”고 공포함으로써 1883년 1월 정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616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국기.]</ref><br/> 그러나 고종의 공포 당시 태극기의 규격이나 형태에 관한 정확한 명시가 없었으므로, 태극기는 각양각색의 형태로 사용되었다. <ref>[https://cafe.daum.net/KoreaFlag/i1i8/124 대한제국 태극기 전시물]</ref><br/> | 이후에 1882년 박영효가 일본에 수신사로 가면서 태극도안의 기를 사용한 것이 국기 사용의 효시가 되었고, 태극도안의 태극기가 국기로서 공식화된 것은 고종이 “태극 주위에 4괘(四卦)를 배(配)한다.”고 공포함으로써 1883년 1월 정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616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국기.]</ref><br/> 그러나 고종의 공포 당시 태극기의 규격이나 형태에 관한 정확한 명시가 없었으므로, 태극기는 각양각색의 형태로 사용되었다. <ref>[https://cafe.daum.net/KoreaFlag/i1i8/124 대한제국 태극기 전시물]</ref><br/> | ||
일례로, 1896년 11월 21일 독립문 정초식 때는 푸른 나무로 홍예를 만들어서 국기로 좌우를 단장하였고, 1897년 8월 22일 고종 탄신일 때에는 서울 시민들이 각처에 국기를 많이 달았으며, 1899년 3월 19일 황태자 탄신일에도 각 관청과 민가에서 국기를 달았다. 그렇지만 아직 국기의 규격이 통일되지 않아 중추원에서는 3색, 경무청에서는 5색, 민가에서는 청, 백, 황색이 섞여 있었다고 한다. 1900년 12월에는 경부에서 각 상점에 국기의 규격을 통일하라고 지시하였다.<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ht/view.do?levelId=ht_003_0020_0030_0030 주제로 본 한국사 > 고종과 대한제국의 개혁과 좌절 > 2. 대한제국의 수립과정 > 3) 독립협회와 대한제국의 상징화 작업>대한제국의 국기와 국가 제정. ]</ref><br/> | 일례로, 1896년 11월 21일 독립문 정초식 때는 푸른 나무로 홍예를 만들어서 국기로 좌우를 단장하였고, 1897년 8월 22일 고종 탄신일 때에는 서울 시민들이 각처에 국기를 많이 달았으며, 1899년 3월 19일 황태자 탄신일에도 각 관청과 민가에서 국기를 달았다. 그렇지만 아직 국기의 규격이 통일되지 않아 중추원에서는 3색, 경무청에서는 5색, 민가에서는 청, 백, 황색이 섞여 있었다고 한다. 1900년 12월에는 경부에서 각 상점에 국기의 규격을 통일하라고 지시하였다.<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ht/view.do?levelId=ht_003_0020_0030_0030 주제로 본 한국사 > 고종과 대한제국의 개혁과 좌절 > 2. 대한제국의 수립과정 > 3) 독립협회와 대한제국의 상징화 작업>대한제국의 국기와 국가 제정. ]</ref><br/> | ||
44번째 줄: | 44번째 줄: | ||
|- | |- | ||
| 해설 || 나무위키 || 태극기 || || https://namu.wiki/w/태극기 | | 해설 || 나무위키 || 태극기 || || https://namu.wiki/w/태극기 | ||
+ | |- | ||
+ | | 해설 || 네이버 지식백과 || 태극기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19500&cid=42958&categoryId=42958 | ||
|- | |- | ||
| 참고 || 태극기박물관>대한제국시대 || 대한제국 태극기 전시실 || || https://cafe.daum.net/KoreaFlag/i1i8/124 | | 참고 || 태극기박물관>대한제국시대 || 대한제국 태극기 전시실 || || https://cafe.daum.net/KoreaFlag/i1i8/124 | ||
63번째 줄: | 65번째 줄: | ||
|- | |- | ||
− | | 논문 || | + | | 논문 || 노영돈, 「태극기의 국기로서의 최초 사용과 인천」, 인천학연구원, 『인천학연구』1(26), 2017.02, pp.185~22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97458 |
− | |||
− | |||
|- | |- | ||
− | | | + | | 논문 || 신원봉, 「태극기 중국 유래설에 대한 반박」, 동양문화연구원, 『동양문화연구』8, 2011.11, pp.145~17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05206 |
|- | |- | ||
− | | 단행본 || | + |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대한의 상징, 태극기』, 국립중앙박물관, 2008 || 국회전자도서관 || https://na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MONO1200831936 |
+ | | 단행본 || 문화재청, 『(제63주년 광복절 및 대한민국 정부수립 60주년을 맞아) 역사적 가치가 큰 옛 태극기 15점 문화재로 등록』, 문화재청, 2008 || 국회전자도서관 || https://na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NONB1200819136 | ||
|- | |- | ||
|} | |} |
2021년 12월 20일 (월) 01:32 판
목차
대한제국의 태극기
Story
대한제국이 자주독립국가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한 국가 상징물로 전통무늬인 태극과 팔괘를 주된 문양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국기 제정 논의가 처음으로 거론된 것은 1876년(고종 13) 1월 일본과 강화도조약을 맺을 때 일본 사신이 일본국기를 내건 데 대하여 당시 조선 사신은 국기가 없어서 내걸지 못하였다. 이 일로 국기를 만들자는 주장이 있었으나, 조선에서는 아직 국기 제정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추진되지 못하였다. 그 뒤 외국과의 교섭이 자주 발생하면서 국기의 필요성을 느껴, 1881년 충청도관찰사 이종원(李淙遠)이 제출한 태극 팔괘의 도식(圖式)에 의해 비로소 국기를 정하였다.[1]
이후에 1882년 박영효가 일본에 수신사로 가면서 태극도안의 기를 사용한 것이 국기 사용의 효시가 되었고, 태극도안의 태극기가 국기로서 공식화된 것은 고종이 “태극 주위에 4괘(四卦)를 배(配)한다.”고 공포함으로써 1883년 1월 정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2]
그러나 고종의 공포 당시 태극기의 규격이나 형태에 관한 정확한 명시가 없었으므로, 태극기는 각양각색의 형태로 사용되었다. [3]
일례로, 1896년 11월 21일 독립문 정초식 때는 푸른 나무로 홍예를 만들어서 국기로 좌우를 단장하였고, 1897년 8월 22일 고종 탄신일 때에는 서울 시민들이 각처에 국기를 많이 달았으며, 1899년 3월 19일 황태자 탄신일에도 각 관청과 민가에서 국기를 달았다. 그렇지만 아직 국기의 규격이 통일되지 않아 중추원에서는 3색, 경무청에서는 5색, 민가에서는 청, 백, 황색이 섞여 있었다고 한다. 1900년 12월에는 경부에서 각 상점에 국기의 규격을 통일하라고 지시하였다.[4]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E1-047 | Story | Episode | 대한제국의 태극기 | 대한제국의 태극기 | 大韓帝國의 太極旗 | http://dh.aks.ac.kr/hanyang58/wiki/index.php/ |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E1-047 | 이종원 | isRelatedTo | ||
E1-047 | 박영효 | isRelatedTo | ||
E1-047 | 조선_고종 | isRelatedTo | ||
E1-047 | 독립문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국기(國旗)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6160 | |
해설 | 두산백과 |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大韓民國]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2400 | |
해설 | 나무위키 | 태극기 | https://namu.wiki/w/태극기 | |
해설 | 네이버 지식백과 | 태극기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19500&cid=42958&categoryId=42958 | |
참고 | 태극기박물관>대한제국시대 | 대한제국 태극기 전시실 | https://cafe.daum.net/KoreaFlag/i1i8/124 | |
참고 | 국사편찬위원회>우리역사넷 | 대한제국의 국기와 국가 제정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t/view.do?levelId=ht_003_0020_0030_0030 | |
참고 | 세계일보 | 태극기 최초 창안자 ‘이응준’이 역사에서 사라진 이유는? | http://www.segye.com/newsView/20100205003117 | |
참고 | 다음>블로그 | 태극기는 누가 처음 만들었을까? | https://blog.daum.net/ckrksp6696/8746423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노영돈, 「태극기의 국기로서의 최초 사용과 인천」, 인천학연구원, 『인천학연구』1(26), 2017.02, pp.185~22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97458 | ||||
논문 | 신원봉, 「태극기 중국 유래설에 대한 반박」, 동양문화연구원, 『동양문화연구』8, 2011.11, pp.145~17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05206 |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대한의 상징, 태극기』, 국립중앙박물관, 2008 | 국회전자도서관 | https://na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MONO1200831936 | 단행본 | 문화재청, 『(제63주년 광복절 및 대한민국 정부수립 60주년을 맞아) 역사적 가치가 큰 옛 태극기 15점 문화재로 등록』, 문화재청, 2008 | 국회전자도서관 | https://na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NONB1200819136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