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 선로포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ontextual Relations)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숭례문_선로포의]] || [[국조속오례의]] || [[isRelatedTo]] || || | | [[숭례문_선로포의]] || [[국조속오례의]] || [[isRelatedTo]] || || | ||
|- | |- | ||
− | | [[숭례문_선로포의]] || [[ | + | | [[숭례문_선로포의]] || [[이인좌의_난]] || [[isRelatedTo]] || || |
|- | |- | ||
| [[숭례문_선로포의]] || [[오명항]] || [[isRelatedTo]] || || | | [[숭례문_선로포의]] || [[오명항]] || [[isRelatedTo]] || || |
2021년 11월 30일 (화) 22:38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1728년(영조 4)】. 숭례문 선로포의(崇禮門 宣露布儀).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이 진압된 뒤 숭례문에서 선로포의가 행하여졌다. 반란군은 3월 24일 안성과 죽산에서 관군에 의해 격파되었고, 청주, 영남, 호남 등에 남아 있던 무리들도 모두 무너졌다. 난을 진압하는데 당시 병조판서 오명항의 공이 컸다. 오명항은 적에게 승리한 사실을 노포(베나 비단)에 적어 왕에게 바쳤다. 왕은 열람한 뒤 그 내용을 만방에 알렸다. 그 뒤 이것은 국조속오례의에 정식 군사의례로 수록되었다. 노포란 글을 봉함하지 않고 여러 사람이 보고 들어 알도록 하기 위해 만든다는 뜻이다. 선로포의를 행할 때에는 긴 명주 천에 승전 사실을 적어 4척 길이의 장대에 매어 그 내용을 게시하는 것이 전통이 되었다. 노포의 위아래에는 붉은 실로 판축(版軸)을 묶어 사용하였다. 선로포의 뒤에는 으레 적장의 잘린 머리를 바치는 헌괵의가 이어졌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숭례문_선로포의 | Event | 사건 | 숭례문 선로포의(崇禮門 宣露布儀) | 숭례문 선로포의 | 崇禮門 宣露布儀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숭례문_선로포의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숭례문_선로포의 | 이괄의_난 | isRelatedTo | ||
숭례문_선로포의 | 국조속오례의 | isRelatedTo | ||
숭례문_선로포의 | 이인좌의_난 | isRelatedTo | ||
숭례문_선로포의 | 오명항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문화사>의례와 상징>숭례문에서 행한 선로포의 |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m/view.do?levelId=km_034_0030_0030_0050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이왕무, 『조선왕실의 군사의례』, 세창출판사, 2019 | ||
도록 | 국립고궁박물관, 『군사의례: 조선왕실 군사력의 상징』, 국립고궁박물관, 2020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