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류면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재현물 제작 정보) |
(→재현물 제작 정보)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 | ||
− | | | + | | 경운박물관 || 3D-십이류면관|| [[references]] || 재현품 고화질 이미지(전체)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46-십이류면관-01.png"/></html> |
|- | |- | ||
| 국립고궁박물관, 『왕의 면복(冕服) 복원·복제 제작기술서 제1권 면류관(冕旒冠)』, 국립고궁박물관, 2011. || 3D-십이류면관|| [[references]] || 사이즈(㎝): 면판 너비 23, 면판 길이 46, 면판 높이 0.7, 원통(관무) 너비 20, 앞길이 19.5, 뒷길이 22.5 || | | 국립고궁박물관, 『왕의 면복(冕服) 복원·복제 제작기술서 제1권 면류관(冕旒冠)』, 국립고궁박물관, 2011. || 3D-십이류면관|| [[references]] || 사이즈(㎝): 면판 너비 23, 면판 길이 46, 면판 높이 0.7, 원통(관무) 너비 20, 앞길이 19.5, 뒷길이 22.5 || | ||
|- | |- | ||
− | | | + | | 경운박물관 || 3D-십이류면관|| [[references]] || 재현품 고화질 이미지(부분)<br> 구슬은 7가지 색(황, 적, 청, 백, 흑, 홍, 녹)으로 한 줄에 12개를 꿰고, 그렇게 만든 줄을 면판의 앞과 뒤에 각12줄씩 매단다. 구슬의 크기와 색의 순서에 주의해서 배열.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46-십이류면관-02.png"/></html> |
|- | |- | ||
− | | | + | | 경운박물관 || 3D-십이류면관|| [[references]] || 재현품 고화질 이미지(부분)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46-십이류면관-03.png"/></html> |
|- | |- | ||
− | | | + | | 경운박물관 || 3D-십이류면관|| [[references]] || 재현품 고화질 이미지(부분)<br> 빨간색 동그라미로 표시한 부분에 꽂혀있는 비녀는 사진과 같이 옥으로 제작.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46-십이류면관-04.png"/></html> |
|- | |- | ||
| 국립고궁박물관, 『왕의 면복(冕服) 복원·복제 제작기술서 제1권 면류관(冕旒冠)』, 국립고궁박물관, 2011. || 3D-십이류면관|| [[references]] || 녹색박스로 표시한 구슬장식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제작기술서>와 동일하게 제작.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46-십이류면관-05.png"/></html> | | 국립고궁박물관, 『왕의 면복(冕服) 복원·복제 제작기술서 제1권 면류관(冕旒冠)』, 국립고궁박물관, 2011. || 3D-십이류면관|| [[references]] || 녹색박스로 표시한 구슬장식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제작기술서>와 동일하게 제작.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46-십이류면관-05.png"/></html> | ||
|- | |- | ||
− | | | + | | 경운박물관 || 3D-십이류면관|| [[references]] || 재현품 착장 모습(앞) || <html><img width="7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46-십이류면관-06.png"/></html> |
|- | |- | ||
− | | | + | | 경운박물관 || 3D-십이류면관|| [[references]] || 재현품 착장 모습(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46-십이류면관-07.png"/></html> |
|- | |- | ||
| 이각종(李覺鍾), 『순종실기(純宗實記)』, 신민사(新民社), 1927. || 3D-십이류면관|| [[references]] || 십이류면관을 착용한 순종황제 사진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46-십이류면관-08.png"/></html> | | 이각종(李覺鍾), 『순종실기(純宗實記)』, 신민사(新民社), 1927. || 3D-십이류면관|| [[references]] || 십이류면관을 착용한 순종황제 사진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1/3d제작Note/복식-046-십이류면관-08.png"/></html> |
2021년 11월 12일 (금) 01:17 판
목차
Definition
십이류면관(十二旒冕冠)은 황제가 면복과 함께 착용하는 관이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십이류면관 | Clothing | 복식 | 쓰개 | 십이류면관(十二旒冕冠) | 십이류면관 | 十二旒冕冠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십이류면관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3D-십이류면관 | 십이류면관 | hasReferenceNote | ||
십이류면관 | 3D-십이류면관 | isShownBy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경운박물관 | 3D-십이류면관 | references | 재현품 고화질 이미지(전체) | |
국립고궁박물관, 『왕의 면복(冕服) 복원·복제 제작기술서 제1권 면류관(冕旒冠)』, 국립고궁박물관, 2011. | 3D-십이류면관 | references | 사이즈(㎝): 면판 너비 23, 면판 길이 46, 면판 높이 0.7, 원통(관무) 너비 20, 앞길이 19.5, 뒷길이 22.5 | |
경운박물관 | 3D-십이류면관 | references | 재현품 고화질 이미지(부분) 구슬은 7가지 색(황, 적, 청, 백, 흑, 홍, 녹)으로 한 줄에 12개를 꿰고, 그렇게 만든 줄을 면판의 앞과 뒤에 각12줄씩 매단다. 구슬의 크기와 색의 순서에 주의해서 배열. |
|
경운박물관 | 3D-십이류면관 | references | 재현품 고화질 이미지(부분) | |
경운박물관 | 3D-십이류면관 | references | 재현품 고화질 이미지(부분) 빨간색 동그라미로 표시한 부분에 꽂혀있는 비녀는 사진과 같이 옥으로 제작. |
|
국립고궁박물관, 『왕의 면복(冕服) 복원·복제 제작기술서 제1권 면류관(冕旒冠)』, 국립고궁박물관, 2011. | 3D-십이류면관 | references | 녹색박스로 표시한 구슬장식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제작기술서>와 동일하게 제작. | |
경운박물관 | 3D-십이류면관 | references | 재현품 착장 모습(앞) | |
경운박물관 | 3D-십이류면관 | references | 재현품 착장 모습(뒤) | |
이각종(李覺鍾), 『순종실기(純宗實記)』, 신민사(新民社), 1927. | 3D-십이류면관 | references | 십이류면관을 착용한 순종황제 사진 |
Web Resource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대한제국, 복식에 깃든 위엄』,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7. | ||
단행본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aver?bid=3607459 | |
단행본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국립고궁박물관 > 조사연구서 > 왕실문화도감 | https://www.gogung.go.kr/publicationView.do?bbsSeq=4466 |
단행본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 조사연구서 > 왕실문화기획총서 | https://www.gogung.go.kr/publicationView.do?bbsSeq=4259 |
단행본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 ||
단행본 |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대한제국 황제복식』,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2018. | 문화재청 > 행정정보 > 문화재도서 |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73209&bbsId=BBSMSTR_1021 |
단행본 | 유희경, 『한국복식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 ||
단행본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
단행본 | 유송옥, 『조선왕조궁중의궤복식』, 수학사, 1991. | ||
단행본 | 유송옥, 『한국복식사』, 수학사, 1998. | ||
단행본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
단행본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
단행본 | 홍나영·신혜성·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 ||
논문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RISS | http://www.riss.kr/link?id=T834144 |
논문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한국복식학회지』 18권, 한국복식학회, 1992.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2253253 |
논문 |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服飾』 7권, 한국복식학회, 1983.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2252969 |
논문 |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RISS | http://www.riss.kr/link?id=T3068080 |
논문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RISS | http://www.riss.kr/link?id=T801686 |
논문 | 이은진·조효진, 「조선말기 왕실복식 소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1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04706 |
논문 |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4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01 | RISS | http://www.riss.kr/link?id=A76042049 |
논문 |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RISS | http://www.riss.kr/link?id=T9132022 |
자료집 | 국립고궁박물관, 『왕의 면복(冕服) 복원·복제 제작기술서 제1권 면류관(冕旒冠)』, 국립고궁박물관, 2011.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