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상공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ontextual Relations) |
(→Contextual Relations)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 + | | 농상공부대신 || 농상공부 || [[isOfficailPosionOf]] || || 농상공부 관직으로는 농상공부대신이 있다. |
|- | |- | ||
− | | | + | | 농상공부협판 || 농상공부 || [[isOfficailPosionOf]] || || 농상공부 관직으로는 농상공부협판이 있다. |
|- | |- | ||
| 농상공부 || 농무국 || [[isRelatedTo]] || || 농상공부에는 농무국이 있다. | | 농상공부 || 농무국 || [[isRelatedTo]] || || 농상공부에는 농무국이 있다. |
2021년 10월 29일 (금) 10:00 판
목차
Definition
1895년(고종 32) 을미개혁 때 관제를 개정하면서, 갑오개혁으로 설립된 농상아문(農商衙門)과 공무아문(工務衙門)을 합쳐 설치된 기관으로 당시 7부(部)의 하나였다. 여러 차례 업무의 변화와 인원 증감 등을 거쳤으며, 1910년(순종 3)에 폐지되었다. 1894년 갑오개혁을 추진한 개화파들은 농민 경제의 안정과 부국강병 국가를 수립하려는 구상하에 농상아문을 설치하였다. 동시에 공업을 발달시키기 위한 공무아문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3월 당시 주한 일본 공사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는 조선 관료의 반대를 무릅쓰고 공무아문을 둘 필요가 없다는 주장을 관철시켰다. 이에 따라 일본의 압력을 받아 진행된 을미개혁 과정에서 농상아문과 공무아문을 통합한 농상공부가 설립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농상공부 | Actor | 관서 | 경관 | 농상공부 | 농상공부 | 農商工部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농상공부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농상공부대신 | 농상공부 | isOfficailPosionOf | 농상공부 관직으로는 농상공부대신이 있다. | |
농상공부협판 | 농상공부 | isOfficailPosionOf | 농상공부 관직으로는 농상공부협판이 있다. | |
농상공부 | 농무국 | isRelatedTo | 농상공부에는 농무국이 있다. | |
농상공부 | 통신국 | isRelatedTo | 농상공부에는 통신국이 있다. | |
농상공부 | 상공국 | isRelatedTo | 농상공부에는 상공국이 있다. | |
이채연 | 농상공부 | isRelatedTo | 이채연은 농상공부협판을 맡았다. | |
이윤용 | 농상공부 | isRelatedTo | 이윤용은 농상공부대신을 맡았다.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농상공부(農商工部)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농상공부(農商工部)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저서 | 유영익, 『갑오경장 연구』, 일조각, 1990. | ||
저서 | 왕현종, 『한국 근대 국가의 형성과 갑오개혁』, 역사비평사, 2003.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