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재학당 설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1851년(철종 2) ~ 1895년(고종 32)】. 명성황후(明成皇后). 조선 26대 왕이자 대한제국 황제인 [[고종황제|고종]].  
+
=Definition=
본관 여흥. 아버지는 [[민치록 | 민치록(閔致祿)]], 어머니는 [[한창부부인_이씨|한창부부인 이씨]]이다. 1866년(고종 3) [[흥선대원군_이하응|흥선대원군]]과 [[부대부인_민씨|부대부인 민씨]]에 의해 왕비로 간택되었다. 시아버지 흥선대원군과 정치적 입장이 달라 [[임오군란]] 때 궁중을 탈출했다가 돌아온 적이 있고 <u>[[갑신정변]]이 무위에 그치는 데 일조를 했다</u><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8297 명성황후(明成皇后),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는 평가가 있다. 19세기 말 내외의 격동 속에서 고종과 함께 국정을 주도하고자 했으나 1895년 일본군에 의해 경복궁에서 시해되었다. 1897년(광무 1) 명성이라는 시호가 부여되었고, 고종의 황제 즉위와 [[대한제국]] 선포 직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고종과 함께 경기도 남양주 금곡의 [[홍릉_洪陵|홍릉]]에 합장되어 있다.
+
 
 +
【1885년(고종 22)】. 배재학당(培材學堂)의 설립. 1885년 7월 서울에 도착한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인 H.G.아펜젤러가  개월 먼저 와 있던 W.B.스크랜턴의 집을 구입하였다. 방 두 칸의 벽을 헐어 만든 교실에서 2명의 학생을 가르치기 시작한 것이 그 시초이다. 이에 고종은 1886년 6월 ‘배재학당(培材學堂)’이라 이름 지어 간판을 써 주었다. 그해 10월 학생 수는 20명으로 늘었다. 아펜젤러는 “통역관을 양성하거나 우리 학교의 일꾼을 가르치려는 것이 아니라, 자유의 교육을 받은 사람을 내보내려는 것이다”라고 설립목적을 밝혔다. 그래서 그리스도교인과 국가 인재양성을 위하여 일반 학과를 가르치는 외에, 연설회·토론회 등을 열고 사상과 체육 훈련에 힘을 쏟았다. 당시 배재학당에 설치되었던 인쇄부는 한국의 현대식 인쇄 시설의 효시이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6번째 줄: 27번째 줄:
 
| [[배재학당 설립]] || [[고종]]  || [[isRelatedTo]]  ||  ||
 
| [[배재학당 설립]] || [[고종]]  || [[isRelatedTo]]  ||  ||
 
|-
 
|-
| [[배재학당 설립]] || [[ ]]  || [[isRelatedTo]]  ||  ||
+
| [[배재학당 설립]] || [[스크랜턴]]  || [[isRelatedTo]]  ||  ||
|-
 
| [[배재학당 설립]] || [[  ]]  || [[isRelatedTo]]  ||  ||
 
|-
 
| [[배재학당 설립]] || [[  ]]  || [[isRelatedTo]]  ||  ||
 
|-
 
| [[배재학당 설립]] || [[  ]]  || [[isRelatedTo]]  ||  ||
 
|-
 
| [[배재학당 설립]] || [[  ]]  || [[isRelatedTo]]  ||  ||
 
|-
 
| [[배재학당 설립]] || [[  ]]  || [[isRelatedTo]]  ||  ||
 
|-
 
| [[배재학당 설립]] || [[  ]]  || [[isRelatedTo]]  ||  ||
 
|-
 
| [[배재학당 설립]] || [[  ]]  || [[isRelatedTo]]  ||  ||
 
|-
 
| [[배재학당 설립]] || [[  ]]  || [[isRelatedTo]]  ||  ||
 
|-
 
| [[배재학당 설립]] || [[  ]]  || [[isRelatedTo]]  ||  ||
 
 
|-
 
|-
 
|}
 
|}
76번째 줄: 59번째 줄:
 
|-
 
|-
 
| 논문 || 안수강.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의 ‘사적’ 문헌을 통해서 본 교육선교」, 『한국교회사학회지』 43, 한국교회사학회, 20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03544
 
| 논문 || 안수강.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의 ‘사적’ 문헌을 통해서 본 교육선교」, 『한국교회사학회지』 43, 한국교회사학회, 20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03544
|-
 
| 논문 ||  최청순. 「헨리 G. 아펜젤러의 교육에서 본 배재안항교육의 요소」, 『대학교양교육연구』 6-1,  배재대학교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5084
 
 
|-
 
|-
 
| 논문 ||  서정현. 「근대 정동의 공간 변화와 고종」, 『서울과 역사』 84, 서울역사편찬원, 2013.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76089
 
| 논문 ||  서정현. 「근대 정동의 공간 변화와 고종」, 『서울과 역사』 84, 서울역사편찬원, 2013.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76089

2021년 9월 4일 (토) 14:48 판

Definition

Definition

【1885년(고종 22)】. 배재학당(培材學堂)의 설립. 1885년 7월 서울에 도착한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인 H.G.아펜젤러가 개월 먼저 와 있던 W.B.스크랜턴의 집을 구입하였다. 방 두 칸의 벽을 헐어 만든 교실에서 2명의 학생을 가르치기 시작한 것이 그 시초이다. 이에 고종은 1886년 6월 ‘배재학당(培材學堂)’이라 이름 지어 간판을 써 주었다. 그해 10월 학생 수는 20명으로 늘었다. 아펜젤러는 “통역관을 양성하거나 우리 학교의 일꾼을 가르치려는 것이 아니라, 자유의 교육을 받은 사람을 내보내려는 것이다”라고 설립목적을 밝혔다. 그래서 그리스도교인과 국가 인재양성을 위하여 일반 학과를 가르치는 외에, 연설회·토론회 등을 열고 사상과 체육 훈련에 힘을 쏟았다. 당시 배재학당에 설치되었던 인쇄부는 한국의 현대식 인쇄 시설의 효시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배재학당_설립 Event 사건 배재학당 설립(培材學堂 設立 1885) 배재학당 설립 培材學堂 設立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배재학당_설립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배재학당 설립 아펜젤러 isRelatedTo 설립자
배재학당 설립 고종 isRelatedTo
배재학당 설립 스크랜턴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배재학당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1918
해설 나무위키 배재학당 https://namu.wiki/배재학당
해설 두산백과 배재핟당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1575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 시사상식사전 배재학당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3667&docId=934008&categoryId=43667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배재학당역사박물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9863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안수강.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의 ‘사적’ 문헌을 통해서 본 교육선교」, 『한국교회사학회지』 43, 한국교회사학회, 201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03544
논문 서정현. 「근대 정동의 공간 변화와 고종」, 『서울과 역사』 84, 서울역사편찬원, 2013.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76089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