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단령-백한흉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82번째 줄: 82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단령(團領)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3569
 +
|-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단령(團領)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928
 +
|-
 +
| 해설 || 위키백과 || 단령 ||| https://ko.wikipedia.org/wiki/단령
 +
|-
 +
| 해설 || 두산백과 || 단령[團領]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5502
 +
|-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단령(團領)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단령(團領)
 +
|-
 +
| 해설 || AKS Encyves || 단령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단령
 
|-
 
|-
 
|  ||  ||  ||  ||  
 
|  ||  ||  ||  ||  

2022년 12월 28일 (수) 12:08 판

2022 3D모델링-복식

Definition

단령(團領)은 조선시대 관리의 시복(時服), 상복(常服), 공복(公服) 등으로 착용되었던 깃이 둥근 옷이다. 조선 초기에는 모두 홑옷으로 앞이 짧고 뒤가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의 형태이다. 소매통은 좁은 편이며 화장이 길고, 대체로 진동보다 수구가 좁은 곡선형으로 수구쪽으로 좁아지는 형태이다. 17세기는 홑옷과 겹옷이 나타나며, 앞뒤의 길이가 같다. 옷의 품이 차츰 줄고 여밈 분량이 줄어들면서 이중섶이 사라졌다. 허리에 각대를 걸 수 있는 각대고리가 등장한다. 18세기에는 품이 앞시기보다 줄어들고, 대고리와 함께 대를 묶는 끈이 달려 있다.[1]

흉배는 백관의 상복(常服)인 단령의 가슴과 등에 달아 착용자의 계급을 표시하는 사각형 장식이다. 조선 초기에는 직사각형의 흉배 문양을 직조한 옷감으로 단령을 만들어 입었으나, 점차 직조된 흉배 문양의 조각을 잘라서 흑단령에 붙이다가 임진왜란 후에는 대부분 자수 흉배를 달게 되었다. 1454년(단종 2)에 명나라의 제도를 본떠 문관 1품은 '공작(孔雀)', 2품은 '운안(雲雁)', 3품은 '백한(白鹇)', 무관 1·2품은 '호표(虎豹)', 3품은 '웅비(雄飛)', 도통사는 '사자', 대사헌은 '해치(獬豸)', 왕자와 군은 '백택(白澤)'을 달도록 하고, 당하관 이하는 흉배를 달지 않았다. 기록에는 없으나 17세기 흉배 유물을 보면 문관의 경우 '운학'와 '공작', '백한', '노사(해오라기)' 흉배 등이 사용되었고, 무관의 경우는 '사자', '해치', '호' 흉배를 사용했다. 숙종대에는 6품 이상에게 흉배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영조대에는 9품까지 흉배를 사용하게 하였다. 『속대전』에 문관 당상관은 '운학', 당하관은 '백한'흉배를 사용했고, 무관은 '사자'와 '호' 흉배를 사용했다. 정조대에는 문관 당상관은 학 두 마리가 한 쌍을 이루고 있는 '쌍학(雙鶴)', 당하관은 학 한 마리인 '단학(單鶴)' 흉배 사용하는 제도가 확립되었으며, 정조말에서 순조 초인 19세기 초에는 무관 당상관이 두 마리가 쌍을 이루고 있는 '쌍호(雙虎)', 당하관은 호랑이 한 마리인 '단호(單虎)' 흉배를 사용하는 제도로 정착되었다.[2]

+17세기 단령-운안흉배 참고하여 수정. 복사 붙여넣기의 내용이 있으므로.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18세기_단령-백한흉배 Clothing 복식 18세기 단령-백한흉배(團領-胸背) 18세기 단령-백한흉배 團領-胸背 18th Century Dallyeong-Baekan-hyungbae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8세기_단령-백한흉배 2022:김현승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18세기_단령-백한흉배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isShownBy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18세기_단령-백한흉배 hasReferenceNote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경기도박물관, 『이승에서의 마지막 치장』, 경기도박물관, 2011.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심익창(1652~1725) 단령 앞모습

크기(㎝): 길이 141, 화장 120, 품 64, 고대 23, 소매너비 65.5, 수구 26
재료: 명주(Silk)
색상: 겉감 어두운 녹색, 안감 파란색, 동정 흰색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 유물사진은 많이 낡은 상태다. 설명을 참고하여 새 옷으로 제작한다.
김현승 일러스트: 앞모습 도식화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상세 사이즈(㎝)
길이: 141
화장(몸 중심에서 소매끝까지 길이): 120
품: 64
뒷도련(도련: 옷 하단부 자락의 가장자리) 너비: 106
진동(어깨에서 겨드랑이까지 길이): 35
소매너비 65.5
수구(소매에서 손이 나오는 부분. 수구 아래로는 막혀있다.): 26
고대(어깨와 목의 경계점 좌우 길이): 23
깃너비: 5.5
고름: 77×5
흉배 너비: 36
난사전통복식문화재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영조 곤룡포 재현품 펼친모습 사진 및 도식화

※ 설명: 겉감은 어두운 녹색이고, 안감은 파란색이며, 옷감에는 무늬가 없다. 가슴과 등에 흉배(새와 꽃이 자수된 네모난 것)를 1개씩 부착한다. 앞길의 무는 위로 삼각형 모양이 되고 뒷길의 무는 사각형이 되도록 만든다. 앞무와 뒷무를 함께 뒷길로 넘겨주어 매듭단추로 고정한다. 18세기 이전 시기에는 깃이 둥근 옷(단령)과 깃이 직선인 옷(직령)을 따로 만들어 겹쳐 입었으나, 후대에는 하나의 옷으로 합치면서(단령:겉감/직령:안감) 한 벌만 입어도 마치 두 벌을 입은 것과 같은 효과를 내게 된다.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무늬』, 민속원, 2016.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심익창(1652~1725) 단령 뒷모습
김현승 일러스트: 뒷모습 도식화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좌우 겨드랑이 쪽에 있는 작은 끈(도식화에서는 작은 직사각형)은 유물사진처럼 두가닥씩 풀려 있는 모습으로 제작한다. 사이즈는 유물사진을 참고하여 제작한다.
김현승 일러스트: 18세기 백한흉배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3D 구현을 위한 컬러본이 필요하여, 심익창(1652~1725) 단령의 흉배를 참고·제작한 일러스트이다. 흉배의 크기는 가로 36㎝ 로 한다.
난사전통복식문화재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단령 깃은 매듭단추로 여민다.
난사전통복식문화재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고름은 여러개의 끈으로 구성된다. 바깥자락에 달린 겉고름은 두가닥이다. 고름을 매었을 때 끈의 개수와 색상에 주의한다. 자료 사진상에서 빨간색 고름은 겉감색인 어두운 녹색으로, 남색 고름은 안감색인 파란색으로 해야 한다.



ARTBAVA > 전시목록 ☞ 조선의 옷매무새 Ⅵ 《의·문의 조선》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권우(1610-1675) 단령 재현품 앞모습
겨드랑이 옆선 아래쪽에 달리는 직사각형 부분을 ‘무’ 라고 한다. (빨간색 사각형으로 표시)
※ 이미지는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사진이다.
Google Arts & Culture ☞ 권우(1610-1675) 단령 재현품-뒤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권우(1610-1675) 단령 재현품 뒷모습
‘앞무’가 조금 더 크고 위로 뾰족하다. ‘뒷무’는 사다리꼴에 가깝다.
※ 이미지는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사진이다.
난사전통복식문화재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3D로 제작할 옷의 ‘무’를 펼친 모습이다. 왼쪽의 ‘무’는 ‘뒷무’만 젖힌 모습이다.
Google Arts & Culture ☞ 심익창(1652~1725) 단령 뒷모습 중 ‘무’ 부분 확대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무’는 매듭단추를 달아 옷의 뒷면에 고정시켜준다.(빨간색 원으로 표시) 3D로 재현시 이런 ‘무’의 형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뒷모습을 완성한다.
※ 이미지는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사진이다.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무늬』, 민속원, 2016.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뒷모습의 완성 형태는 흉배 위로 무의 모서리 일부분이 살짝 겹치지는 모습으로 정리한다.
국립중앙박물관 > 소장품 ☞ 전 김장생(1548-1631) 초상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겉감 원단에 무늬는 없다. 초상화처럼 무늬없이 짙고 어두운 녹색으로 표현한다.
Google Arts & Culture ☞ 권우(1610-1675) 단령 재현품-뒤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안감은 화살표로 표시한 부분처럼 밝은 푸른색으로 한다. 원단에 무늬는 없다.
국립중앙박물관 > 소장품 ☞ 남구만(1629-1711) 초상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남구만 초상〉, 〈윤급 초상〉, 〈밀창군 이직 단령 복제품 착용모습〉 등 이 3개의 사진들은 모두 고급 직물을 사용하고 있고, 흉배도 다른 옷이지만, 3D로 구현할 옷과 형태는 같다. 당시의 옷이 얼마나 크고 품이 넉넉했는지 참고가 될 것 같아 첨부한다.
국립중앙박물관 > 소장품 ☞ 윤급(1697-1770) 초상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착용모습 참고
단국대학교 > 커뮤니티 > DKU News > 뉴스 ☞ 석주선기념박물관, 전통복식 패션쇼 열어(2006.05.23.)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착용모습 참고
난사전통복식문화재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3D-18세기_단령-백한흉배 references 색상이나 흉배가 다르지만, 형태는 동일한 옷이다. 착용하고 서있는 모습의 실루엣 참고를 위해 첨부한다. 옷의 길이가 길고 품이 넉넉하며, 소매가 매우 길다. 이 옷을 입을 당시에는 안에 겹쳐입는 옷의 개수가 많고 각각의 옷 크기가 컸다. 따라서 3D로 구현할 때 마네킹의 몸매 실루엣이 드러나지 않도록 해준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단령(團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3569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단령(團領)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928
해설 위키백과 단령 https://ko.wikipedia.org/wiki/단령
해설 두산백과 단령[團領]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5502
해설 위키실록사전 단령(團領)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단령(團領)
해설 AKS Encyves 단령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단령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직령", 『AKS Encyves』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흉배", 『AKS Encyves』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