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계변무 宗系辨誣"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de Description) |
(→Bibliography) |
||
58번째 줄: | 58번째 줄: |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ISBN: | + | | ISBN: || 단행본 || || || |
|- | |- | ||
− | | | + | | || 논문 || || KCI || |
|- | |- | ||
|} | |} |
2022년 12월 5일 (월) 04:03 판
목차
Definition
이성계가 이인임의 후손이라는 중국 사서의 오류를 바로잡은 사건.
조선 태조 이성계의 출신에 대한 중국사서의 오류를 바로잡은 사건. 1390년에 윤이·이초가 명나라에 가서 공양왕이 고려왕실의 후계가 아니라 이성계의 인척으로서 그와 공모하여 명을 치려 한다고 하고, 아울러 이성계는 이인임의 후손이라고 모함했다. 명나라에서는 이 잘못된 사실을 태조실록과 대명회전에 기록했다. 1394년에 비로소 이를 알게 된 조선정부에서는 변명주문을 지어 보냈으나 명에서는 무반응이었다. 1402년 다시 주청문을 보냈지만, 만력회전 중수본에 변명 사실을 부기하는 데 그쳤다. 이후 이것은 200여 년 동안 양국간의 외교문제가 되었다. 여러 차례 개정을 요구한 결과, 1584년 황정욱이 중찬본 대명회전의 수정된 등본을 가져옴으로써 종계변무의 목적이 일단락되었다. 1587년 유홍(兪泓)이 중수된 대명회전 중 조선관계 부분 1질을 받아와 선조가 종묘사직에 친히 고유했다. 1589년에는 윤근수가 대명회전 전부를 받아와 종계변무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종계변무_宗系辨誣 | Event | 사건 | 종계변무(宗系辨誣) | 종계변무 | 宗系辨誣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종계변무_宗系辨誣 | 2022:임민혁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종계변무_宗系辨誣 | 윤이 | isRelatedTo | ||
종계변무_宗系辨誣 | 이초 | isRelatedTo | ||
종계변무_宗系辨誣 | 이성계 | isRelatedTo | ||
종계변무_宗系辨誣 | 이인임 | isRelatedTo | ||
종계변무_宗系辨誣 | 황정욱 | isRelatedTo | ||
종계변무_宗系辨誣 | 윤근수 | isRelatedTo | ||
종계변무_宗系辨誣 | 종묘고유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대한제국(大韓帝國)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187 | |
참고 | 문화콘텐츠닷컴 > 구한말 정동이야기 | 대한제국의 선포 |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71001690001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SBN: | 단행본 | |||
논문 | KCI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