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묘조서총대시예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clickable button|작품:기록화}} ==Definition== <ref> 출처: "서총대의 궁중잔치(瑞蔥臺親臨賜宴圖)", 국립중앙박물관, 2022.09.29 접속, https://ww...)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태조 년간(1392~1398)부터 중종 년간(1506~1544), 명종 년간(1545~1567), 선조 년간(1567~1608), 영조 년간(1724~1776)에 있었던 특정 사건이나 행사에 의령남씨 출신이 관련되면서, 이를 기념하는 그림과 관련 기록을 묶어, 태조망우령가행도(太祖忘憂嶺駕幸圖), 중묘조서연관사연도(中廟朝書筵官賜宴圖), 명묘조서총대시예도(明廟朝瑞葱臺試藝圖), 선묘조제재경수연도(宣廟朝諸宰慶壽宴圖), 영묘조구궐진작도(英廟朝舊闕進爵圖) 등 5개의 개별 화첩으로 꾸민 것이다. | ||
+ | 의령남씨인 남재, 남세건, 남응운, 남이신, 남태회 등이 각각 참여했던 행사의 시기와, 현존하는 <태조망우령가행도>를 비롯해 <중묘조서연관사연도>, <명묘조서총대시예도>, <선묘조제재경수연도>, <영묘조구궐진작도>의 제작시기는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 ||
− | <ref> 출처: " | + | 하지만 의령남씨 가문의 인물이 조선 왕실과 관련한 특정 행사에 직접 참여했던 사실이 관련 기록과 행사 장면을 묘사한 화책으로, 일괄로 현전하고 있다는 점과 현존하는 유사한 사례의 작품들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회화사적으로나 역사적으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ref> 출처: "의령남씨가전화첩 (宜寧南氏家傳畵帖)", 국가문화유산포털, 2022.12.09 접속,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1103820000 </ref> |
+ | |||
+ | <명묘조서총대시예도>는 명종이 서총대(瑞葱臺)에서 거행한 문무시예(文武試藝)에서 남응운(南應雲, 1509~1587)이 문장과 활쏘기 두 부분에서 1등을 하여 말 두 필을 하사받은 일이 그려져 있다.<ref> 출처: "서울시 유형문화재 382호, 의령남씨가전화첩, 조선후기", 홍익대학교 박물관, 2021.06.11 작성, https://museum.hongik.ac.kr/html/culturalassets.html </ref>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파일:명묘조서총대시예도.jpg | 400px | <명묘조서총대시예도>. 124.2x122.7㎝ | + | | [[파일:명묘조서총대시예도.jpg | 400px | <명묘조서총대시예도(明廟朝瑞葱臺試藝圖)>. 124.2x122.7㎝ 홍익대학교 소장, 소장품번호 덕수 5135 ]] |
|} | |} | ||
19번째 줄: | 23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 | |- | ||
− | | [[명묘조서총대시예도]]|| Object || 그림 || 지도 || 명묘조서총대시예도( | + | | [[명묘조서총대시예도]]|| Object || 그림 || 지도 || 명묘조서총대시예도(明廟朝瑞葱臺試藝圖) || 명묘조서총대시예도|| 明廟朝瑞葱臺試藝圖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명묘조서총대시예도|| [[파일:명묘조서총대시예도.jpg|80px]] || 2022:구현회 |
|- | |- | ||
|} | |} | ||
48번째 줄: | 52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 | 해설 || 국가문화유산포털 || 의령남씨가전화첩 (宜寧南氏家傳畵帖) || 문화유산검색 > 문화재검색 > 문화재검색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1103820000 | |
+ | |- | ||
+ | | 해설 || 홍익대학교 박물관 || 서울시 유형문화재 382호, 의령남씨가전화첩, 조선후기 || 홍익대학교 박물관 > 소장품 > 지정문화재 || https://museum.hongik.ac.kr/html/culturalassets.html | ||
|- | |- | ||
− | | 사진 || 국가문화유산포털 || | + | | 사진 || 국가문화유산포털 || 의령남씨가전화첩 (宜寧南氏家傳畵帖) || 문화유산검색 > 문화재검색 > 문화재검색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1103820000 |
|- | |- | ||
− | |||
− | |||
|} | |} | ||
2022년 12월 9일 (금) 08:56 판
목차
Definition
태조 년간(1392~1398)부터 중종 년간(1506~1544), 명종 년간(1545~1567), 선조 년간(1567~1608), 영조 년간(1724~1776)에 있었던 특정 사건이나 행사에 의령남씨 출신이 관련되면서, 이를 기념하는 그림과 관련 기록을 묶어, 태조망우령가행도(太祖忘憂嶺駕幸圖), 중묘조서연관사연도(中廟朝書筵官賜宴圖), 명묘조서총대시예도(明廟朝瑞葱臺試藝圖), 선묘조제재경수연도(宣廟朝諸宰慶壽宴圖), 영묘조구궐진작도(英廟朝舊闕進爵圖) 등 5개의 개별 화첩으로 꾸민 것이다.
의령남씨인 남재, 남세건, 남응운, 남이신, 남태회 등이 각각 참여했던 행사의 시기와, 현존하는 <태조망우령가행도>를 비롯해 <중묘조서연관사연도>, <명묘조서총대시예도>, <선묘조제재경수연도>, <영묘조구궐진작도>의 제작시기는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의령남씨 가문의 인물이 조선 왕실과 관련한 특정 행사에 직접 참여했던 사실이 관련 기록과 행사 장면을 묘사한 화책으로, 일괄로 현전하고 있다는 점과 현존하는 유사한 사례의 작품들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회화사적으로나 역사적으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1]
<명묘조서총대시예도>는 명종이 서총대(瑞葱臺)에서 거행한 문무시예(文武試藝)에서 남응운(南應雲, 1509~1587)이 문장과 활쏘기 두 부분에서 1등을 하여 말 두 필을 하사받은 일이 그려져 있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명묘조서총대시예도 | Object | 그림 | 지도 | 명묘조서총대시예도(明廟朝瑞葱臺試藝圖) | 명묘조서총대시예도 | 明廟朝瑞葱臺試藝圖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명묘조서총대시예도 | 2022:구현회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 [[]] | [[]]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국가문화유산포털 | 의령남씨가전화첩 (宜寧南氏家傳畵帖) | 문화유산검색 > 문화재검색 > 문화재검색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1103820000 |
해설 | 홍익대학교 박물관 | 서울시 유형문화재 382호, 의령남씨가전화첩, 조선후기 | 홍익대학교 박물관 > 소장품 > 지정문화재 | https://museum.hongik.ac.kr/html/culturalassets.html |
사진 | 국가문화유산포털 | 의령남씨가전화첩 (宜寧南氏家傳畵帖) | 문화유산검색 > 문화재검색 > 문화재검색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1103820000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 ↑ 출처: "의령남씨가전화첩 (宜寧南氏家傳畵帖)", 국가문화유산포털, 2022.12.09 접속,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1103820000
- ↑ 출처: "서울시 유형문화재 382호, 의령남씨가전화첩, 조선후기", 홍익대학교 박물관, 2021.06.11 작성, https://museum.hongik.ac.kr/html/culturalassets.html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