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1-R0-02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tory)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1678년부터 주조·유통되기 시작하여 조선 말기까지 전국적으로 통용된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화폐로 상평통보가 있었다. | 1678년부터 주조·유통되기 시작하여 조선 말기까지 전국적으로 통용된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화폐로 상평통보가 있었다. | ||
이후 외국과의 통상 거래에 있어 동전 사용의 불편이 커지면서 금·은전 사용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조정은 1882년 10월 3종의 은전 즉 대동일전(大東一錢), 대동이전(大東二錢), 대동삼전(大東三錢)을 발행하였다. 은전 뒷면 중앙에는 작은 원이 그려져 있으며 그 속에 호조에서 만들었다는 표시로 “호(戶)”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대동은전은 가운데에 구멍을 뚫지 않은 최초의 서양식 주화로서 근대적인 화폐의 형태를 갖추어 주조되었지만, 화폐조례와 같은 근대적인 법적 근거는 제정되지 않았다. 대동은전이 주조·유통됨으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은화와 동화가 같이 유통되게 되었다.그러나 대동은전은 발행되자마자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그레셤(Gresham)의 법칙’48)에 따라 부자들의 수중으로 퇴장되거나 해외로 유출되어 시중에서 그 모습을 감추고 말았다. 또한 대동은전의 소재로 사용된 마제은의 가격이 올라 주조 원가가 상승한 데다 마제은의 구입도 여의치 않자 1883년 6월에 주조가 정지되었다.<ref>[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78067&bbsId=BBSMSTR_1021 『고대부터 대한제국 시대까지 한국의 화폐』], 한국은행, 2006, 52쪽. </ref> | 이후 외국과의 통상 거래에 있어 동전 사용의 불편이 커지면서 금·은전 사용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조정은 1882년 10월 3종의 은전 즉 대동일전(大東一錢), 대동이전(大東二錢), 대동삼전(大東三錢)을 발행하였다. 은전 뒷면 중앙에는 작은 원이 그려져 있으며 그 속에 호조에서 만들었다는 표시로 “호(戶)”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대동은전은 가운데에 구멍을 뚫지 않은 최초의 서양식 주화로서 근대적인 화폐의 형태를 갖추어 주조되었지만, 화폐조례와 같은 근대적인 법적 근거는 제정되지 않았다. 대동은전이 주조·유통됨으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은화와 동화가 같이 유통되게 되었다.그러나 대동은전은 발행되자마자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그레셤(Gresham)의 법칙’48)에 따라 부자들의 수중으로 퇴장되거나 해외로 유출되어 시중에서 그 모습을 감추고 말았다. 또한 대동은전의 소재로 사용된 마제은의 가격이 올라 주조 원가가 상승한 데다 마제은의 구입도 여의치 않자 1883년 6월에 주조가 정지되었다.<ref>[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78067&bbsId=BBSMSTR_1021 『고대부터 대한제국 시대까지 한국의 화폐』], 한국은행, 2006, 52쪽. </ref> | ||
− | + | 당오전(當五錢)은 극도에 달한 재정 궁핍을 해결하기 위한 궁여지책으로 통리기무아문의 주청에 따라 민태호(閔台鎬, 1834~1884년)의 관리하에 1883년 2월에 발행되었다. 당오전이란 1매의 가치가 종래 주조·유통되어 온 1문전 상평통보의 5매에 해당한다고 하여 그런 명칭을 가지게 되었다. 당오전의 가치가 폭락하자 조정은 1889년 3월 당오전 주조를 중지하였다. 이번에는 주전 원료인 구리·납 산지와 가까운 평양에 전환국 분소를 설치하고 민씨 척족인 평안 감사 민병석의 관리하에 당일전을 대량으로 주조하게 하였다. ‘평양전’이라 불리던 이 당일전은 기존의 당일전과 비교할 때 중량이 3분의 1도 안 될 뿐 아니라 금속 성분도 극히 조악하여 전체 주조액의 약 16%에 해당하는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평양전’은 발행되자마자 원산항과 경인 지방·남부 지방 등에 유입되면서 당오전·당일전 시세를 더욱 폭락시켰다. | |
− | |||
− | 당오전(當五錢)은 극도에 달한 재정 궁핍을 해결하기 위한 궁여지책으로 | ||
− | 통리기무아문의 주청에 따라 민태호(閔台鎬, 1834~1884년)의 관리하에 1883년 2월에 발행되었다. 당오전이란 1매의 가치가 종래 주조·유통되어 온 | ||
− | 1문전 상평통보의 5매에 해당한다고 하여 그런 명칭을 가지게 되었다. 당오전의 가치가 폭락하자 조정은 1889년 3월 당오전 주조를 중지하였다. 이번에는 주전 원료인 구리·납 산지와 가까운 평양에 전환국 분소를 설치하고 민씨 척족인 평안 감사 민병석의 관리하에 당일전을 대량으로 주조하게 하였다. ‘평양전’이라 불리던 이 당일전은 기존의 당일전과 비교할 때 중량이 3분의 1도 안 될 뿐 아니라 금속 성분도 극히 조악하여 전체 주조액의 약 16%에 해당하는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 ||
−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2022년 11월 23일 (수) 22:09 판
목차
개항기의 신식 화폐 》 개항 이후의 화폐 유통과 주조
Story
1678년부터 주조·유통되기 시작하여 조선 말기까지 전국적으로 통용된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화폐로 상평통보가 있었다. 이후 외국과의 통상 거래에 있어 동전 사용의 불편이 커지면서 금·은전 사용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조정은 1882년 10월 3종의 은전 즉 대동일전(大東一錢), 대동이전(大東二錢), 대동삼전(大東三錢)을 발행하였다. 은전 뒷면 중앙에는 작은 원이 그려져 있으며 그 속에 호조에서 만들었다는 표시로 “호(戶)”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대동은전은 가운데에 구멍을 뚫지 않은 최초의 서양식 주화로서 근대적인 화폐의 형태를 갖추어 주조되었지만, 화폐조례와 같은 근대적인 법적 근거는 제정되지 않았다. 대동은전이 주조·유통됨으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은화와 동화가 같이 유통되게 되었다.그러나 대동은전은 발행되자마자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그레셤(Gresham)의 법칙’48)에 따라 부자들의 수중으로 퇴장되거나 해외로 유출되어 시중에서 그 모습을 감추고 말았다. 또한 대동은전의 소재로 사용된 마제은의 가격이 올라 주조 원가가 상승한 데다 마제은의 구입도 여의치 않자 1883년 6월에 주조가 정지되었다.[1] 당오전(當五錢)은 극도에 달한 재정 궁핍을 해결하기 위한 궁여지책으로 통리기무아문의 주청에 따라 민태호(閔台鎬, 1834~1884년)의 관리하에 1883년 2월에 발행되었다. 당오전이란 1매의 가치가 종래 주조·유통되어 온 1문전 상평통보의 5매에 해당한다고 하여 그런 명칭을 가지게 되었다. 당오전의 가치가 폭락하자 조정은 1889년 3월 당오전 주조를 중지하였다. 이번에는 주전 원료인 구리·납 산지와 가까운 평양에 전환국 분소를 설치하고 민씨 척족인 평안 감사 민병석의 관리하에 당일전을 대량으로 주조하게 하였다. ‘평양전’이라 불리던 이 당일전은 기존의 당일전과 비교할 때 중량이 3분의 1도 안 될 뿐 아니라 금속 성분도 극히 조악하여 전체 주조액의 약 16%에 해당하는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평양전’은 발행되자마자 원산항과 경인 지방·남부 지방 등에 유입되면서 당오전·당일전 시세를 더욱 폭락시켰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E2021-R0-02A | Story | Episode | 개항 이후의 화폐 유통과 주조 | 개항 이후의 화폐 유통과 주조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1-R0-02A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E2021-R0-02A | 대동은전1전 | isRelatedTo | ||
E2021-R0-02A | 대동은전2전 | isRelatedTo | ||
E2021-R0-02A | 대동은전3전 | isRelatedTo | ||
E2021-R0-02A | 당오전 | isRelatedTo | ||
E2021-R0-02A | 평양전 | isRelatedTo | ||
E2021-R0-02A | 대동은전 | isRelatedTo | ||
대동은전1전 | 대동은전 | type | ||
대동은전2전 | 대동은전 | type | ||
대동은전3전 | 대동은전 | type | ||
당오전 | 민태호 | contributor | ||
평양전 | 민병석 | contributor | ||
당오전 | 상평통보 | isRelatedTo | ||
대동은전 | 상평통보 | isNextInSequenceTo | ||
평양전 | 당오전 | isNextInSequence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 ↑ 『고대부터 대한제국 시대까지 한국의 화폐』, 한국은행, 2006, 52쪽.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