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단령-운안흉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15번째 줄: 15번째 줄: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단령-團領-재현/hQFtGRtEreLUVQ?hl=ko Google Arts & Culture ☞ 권우(1610-1675) 단령 재현품-뒤] ||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 [[references]] || 권우(1610-1675) 단령 재현품 뒷모습 <br/>‘무’를 앞에서 설명한대로 접은 뒷모습이다. ‘앞무’가 조금 더 크고 위로 뾰족하다. ‘뒷무’는 사다리꼴에 가깝다. <br/>※ 이미지는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사진이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7_17세기단령-운안흉배_11.jpg"/></html>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단령-團領-재현/hQFtGRtEreLUVQ?hl=ko Google Arts & Culture ☞ 권우(1610-1675) 단령 재현품-뒤] ||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 [[references]] || 권우(1610-1675) 단령 재현품 뒷모습 <br/>‘무’를 앞에서 설명한대로 접은 뒷모습이다. ‘앞무’가 조금 더 크고 위로 뾰족하다. ‘뒷무’는 사다리꼴에 가깝다. <br/>※ 이미지는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사진이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7_17세기단령-운안흉배_11.jpg"/></html>  
 
|-
 
|-
| 김현승 일러스트: 무 설명 도식화 ||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 [[references]] || 옆선이 트여있다. <br/>※ ‘무’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이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7_17세기단령-운안흉배_12.jpg"/></html> <br/><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7_17세기단령-운안흉배_13.jpg"/></html>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창녕성씨 성급부부 합장묘 출토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21. ||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 [[references]] || 옆선이 트여있다. <br/>※ ‘무’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이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7_17세기단령-운안흉배_12.jpg"/></html> <br/><br/><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7_17세기단령-운안흉배_13.jpg"/></html>  
 
|-
 
|-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단령-團領/RgFvfHx2MiSqbw?hl=ko Google Arts & Culture ☞ 의원군 이혁(1661-1722) 단령-직물] ||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 [[references]] || 옷 전체에 ‘운보문’이 들어간다. 운보문은 구름과 보배무늬로 구성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6_16세기답호_07.jpg"/></html>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단령-團領/RgFvfHx2MiSqbw?hl=ko Google Arts & Culture ☞ 의원군 이혁(1661-1722) 단령-직물] ||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 [[references]] || 옷 전체에 ‘운보문’이 들어간다. 운보문은 구름과 보배무늬로 구성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06_16세기답호_07.jpg"/></html>  

2022년 11월 14일 (월) 01:18 판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무늬』, 민속원, 2016.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references 유순익(1559-1632) 초상. 단령 착용모습.
크기(㎝): 길이 134, 화장 127, 품 56, 흉배크기 (가로)36×(세로)36
재료: 비단(Silk)
색상: 어두운 색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김현승 일러스트: 앞모습, 뒷모습 도식화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references ※ 설명
옷감은 운보문(구름과 보배무늬)이 있는 비단이고, 색상은 검은색에 가까운 흑갈색이다. 옷의 가슴과 등에 흉배(새와 꽃이 자수된 네모난 것)를 1개씩 부착한다. 겨드랑이 아래로 양옆의 옆선은 트여있고 ‘무’가 달려있다.

※ 상세 사이즈(㎝)
길이: 134
화장(몸 중심에서 소매끝까지 길이): 127
품: 56
진동(어깨에서 겨드랑이까지 길이): 28
소매너비: 46
수구(소매에서 손이 나오는 부분. 수구 아래로는 막혀있다.): 22
고대(어깨와 목의 경계점 좌우 길이): 24
깃너비: 6
고름: 64×1.5
흉배: (가로)38×(세로)34


Google Arts & Culture ☞ 김확(1572-1633) 단령 재현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references 단령의 둥근깃은 어깨선에서 매듭단추로 여민다.
사진처럼 단령의 고름을 매어준다. 저고리 고름 매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 이미지는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사진이다.


김현승 일러스트: 무 접는 방법 도식화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references 겨드랑이 아래쪽 옆선에 달리는 직사각형 부분을 ‘무’ 라고 한다. 무는 긴 사다리꼴 윗부분을 삼각 형태로 2번에 걸쳐 접어주고, 폭을 반으로 접어주어 진동점(겨드랑이 부분)에서 위쪽으로 뻗은 형태를 완성한다. 그림은 한쪽의 무만 그 진행 과정을 보인 것이고, 앞, 뒤, 좌, 우에 달린 무가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 ‘무’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이다.






ARTBAVA > 전시목록 ☞ 조선의 옷매무새 Ⅵ 《의·문의 조선》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references 권우(1610-1675) 단령 재현품 앞모습
‘무’를 앞에서 설명한대로 접은 앞모습이다.
※ 이미지는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사진이다.
Google Arts & Culture ☞ 권우(1610-1675) 단령 재현품-뒤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references 권우(1610-1675) 단령 재현품 뒷모습
‘무’를 앞에서 설명한대로 접은 뒷모습이다. ‘앞무’가 조금 더 크고 위로 뾰족하다. ‘뒷무’는 사다리꼴에 가깝다.
※ 이미지는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사진이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창녕성씨 성급부부 합장묘 출토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21.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references 옆선이 트여있다.
※ ‘무’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이다.


Google Arts & Culture ☞ 의원군 이혁(1661-1722) 단령-직물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references 옷 전체에 ‘운보문’이 들어간다. 운보문은 구름과 보배무늬로 구성된다.
한국전통지식포탈 > 문화적창조기술 > 전통문양 ☞ 구름과 보배무늬-단령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references 구름과 보배무늬 일러스트. ai 파일 제공.
1000shopping.com ☞ 44인치 도의단38 진수박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references 원단을 직조할 때 바탕과 같은 색실로 만들어지는 무늬이며, 빛의 각도에 따라 무늬가 보인다.(한복 원단 예시)
1000shopping.com ☞ 꽃넝쿨단(팥분홍)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references (한복 원단 예시)
Google Arts & Culture ☞ 의원군 이혁(1661-1722) 단령 재현품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references 의원군 이혁(1661-1722) 단령 재현품
옷감에 사용된 무늬의 크기는 이 사진을 참고하여 표현한다.
김현승 일러스트: 17세기 운안흉배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references 흉배는 가로, 세로 36㎝ 크기이다. 가슴과 등에 하나씩 붙인다.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무늬』, 민속원, 2016.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references 유순익(1559-1632) 초상.
옷을 착용하면 무의 끝부분은 뒤에서 사선방향으로 뻗어 있는 모양이 된다. 그러나 딱딱한 재질이 아닌, fabric인 점을 감안하여 3D로 제작한다.
난사전통복식문화재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3D-17세기_단령-운안흉배 references 똑같은 형태의 옷은 아니지만, 비슷한 종류의 옷으로, 옷의 길이감이나 옷을 착용했을 때의 실루엣을 참고할 수 있다. 단령이라는 옷은 가장 겉에 입는 옷이고, 그 안에는 많은 옷을 받쳐 입었기 때문에 몸매가 드러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