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단 전사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bswhdgns08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전사청은 제례 준비를 총괄 지휘하는 공간이다. 『사직서의궤』, 『사직단국왕친향도병풍』에 의하면 3칸, 5량가의 규모이다...) |
Dbswhdgns08 (토론 | 기여) (→Contextual Relations)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 | + | | [[사직단_전사청]] || [[사직단_소서문]] || [[isNear]] || || |
|- | |- | ||
− | | [[사직단]] || [[ | + | | [[사직단]] || [[사직단_전사청]] || [[hasPart]] || || |
|- | |- | ||
− | | [[ | + | | [[사직단_전사청]] || [[3D-사직단_전사청]] || [[isShownBy]] || || |
|} | |} | ||
2022년 8월 14일 (일) 21:10 판
목차
Definition
전사청은 제례 준비를 총괄 지휘하는 공간이다. 『사직서의궤』, 『사직단국왕친향도병풍』에 의하면 3칸, 5량가의 규모이다. 『사직단국왕친향도병풍』〈사직서전도〉에 나타난 전사청은 제기고, 재생정 등의 건물과 함께 우물이 위치한 중심마당을 이루고 있으며 북향하여 자리잡은 것으로 판단된다.
벽체에 대한 세부 표현을 살펴보면 정면 3칸 중 어칸은 대청, 좌측 협칸은 벽체, 우측 협칸은 창호가 표현되어 있다.
2014년 사직단 종합정비계획은 이를 따라 평면의 공간구성은 가운데 칸의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로 창고와 방을 두었다. 방은 정, 배면에 머름을 둔 두짝세살창호를 두고, 대청은 배면 쪽으로 두짝판문, 창고는 정, 배면에 들문을 두어 환기와 채광을 고려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사직단_전사청 | Architecture | 왕실건축-사직단 | 사직단 전사청(典祀廳) | 전사청 | 典祀廳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전사청-사직단 | 2020:전인혁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사직단_전사청 | 사직단_소서문 | isNear | ||
사직단 | 사직단_전사청 | hasPart | ||
사직단_전사청 | 3D-사직단_전사청 | isShownBy |
Spatial Data
3D모델 지리정보 참고자료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remark |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