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오 고레시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1853년 ~ 1932년】 관료. 1895년~1896년 탁지부 재정고문으로 활동하였다. 고치현 출신으로 1871년부터 군마현에서 관리로 생활을...)
 
 
2번째 줄: 2번째 줄:
 
【1853년 ~ 1932년】 관료. 1895년~1896년 탁지부 재정고문으로 활동하였다. 고치현 출신으로 1871년부터 군마현에서 관리로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1884년 후쿠오카현의 수세장이 되었다. 1887년 11월부터 대장성 주세관이 되어 주세과, 지세과 등에서 근무하였다. 1980년 6월부터 주세국 징수과장이 되었으며, 주세국 계산과장, 대장성 참사관 등을 겸임하다가 청일전쟁 중인 1894년 말 조선으로 건너가 현지에서 특명전권공사 [[이노우에 가오루]]의 지휘를 받으라는 파견 명령을 받고 조선으로 건너왔다. 이노우에 공사는 탁지대신 [[어윤중]]에게 공문을 보내 니오 고레시게를 탁지부 고문관에 임명해줄 것을 요청하였고, 어윤중이 이를 수락하여 1895년 1월 17일자로 임용되었다. 이후 1896년 2월까지 재정고문으로 활동하면서 조선 정부의 재정상태를 조사하고, 1895년 및 1896년 정부 예산안 편성, 재정 정리 사업 등 세무 전반의 개정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갑오개혁에 참여한 조선 관리들과 협의하여 일본으로부터 500만 엔의 신규 차관을 들이기 위한 기국채의(起國債議) 작성에도 관여하였다. 1896년 2월 10일 고문관 생활을 마감하고 일본으로 귀국하였다. 이때 고종이 재정고문으로 재직하던 시기의 공로를 치하하는 칙어와 함께 하사금 2천원을 내렸다. 외부대신 김윤식이 다시 탁지부 고문관으로 고빙하고 싶다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하였으나 고빙은 실현되지 않았다. 1906년 8월 고종이 훈2등을 서훈하고 태극장을 하사하였다.
 
【1853년 ~ 1932년】 관료. 1895년~1896년 탁지부 재정고문으로 활동하였다. 고치현 출신으로 1871년부터 군마현에서 관리로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1884년 후쿠오카현의 수세장이 되었다. 1887년 11월부터 대장성 주세관이 되어 주세과, 지세과 등에서 근무하였다. 1980년 6월부터 주세국 징수과장이 되었으며, 주세국 계산과장, 대장성 참사관 등을 겸임하다가 청일전쟁 중인 1894년 말 조선으로 건너가 현지에서 특명전권공사 [[이노우에 가오루]]의 지휘를 받으라는 파견 명령을 받고 조선으로 건너왔다. 이노우에 공사는 탁지대신 [[어윤중]]에게 공문을 보내 니오 고레시게를 탁지부 고문관에 임명해줄 것을 요청하였고, 어윤중이 이를 수락하여 1895년 1월 17일자로 임용되었다. 이후 1896년 2월까지 재정고문으로 활동하면서 조선 정부의 재정상태를 조사하고, 1895년 및 1896년 정부 예산안 편성, 재정 정리 사업 등 세무 전반의 개정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갑오개혁에 참여한 조선 관리들과 협의하여 일본으로부터 500만 엔의 신규 차관을 들이기 위한 기국채의(起國債議) 작성에도 관여하였다. 1896년 2월 10일 고문관 생활을 마감하고 일본으로 귀국하였다. 이때 고종이 재정고문으로 재직하던 시기의 공로를 치하하는 칙어와 함께 하사금 2천원을 내렸다. 외부대신 김윤식이 다시 탁지부 고문관으로 고빙하고 싶다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하였으나 고빙은 실현되지 않았다. 1906년 8월 고종이 훈2등을 서훈하고 태극장을 하사하였다.
  
)
 
 
==Semantic Data==  
 
==Semantic Data==  
  
42번째 줄: 41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원문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사료 고종시대사 || 하라 다카시, 신임공사로 착임하였음을 통지 ||  || http://db.history.go.kr/id/sk_020r_0010_0070_0040_0030
+
| 원문 || 주한일본공사관기록 || 仁尾惟茂를 度支部顧問으로 초빙하는 件 ||  || http://db.history.go.kr/id/jh_005r_0100_0130
 
|-
 
|-
| 해설 ||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 || 原敬 ||  || https://kotobank.jp/word/原敬-14698
+
| 원문 || 사료 고종시대사 || 일본 대장성 참사관 니오 코레시게를 탁지부 고문관으로 초빙할 수 있도록 요청함 ||  || http://db.history.go.kr/id/sk_020r_0010_0020_0060_0010
 
|-
 
|-
| 참고 || 위키백과 || 하라 다카시 ||  || https://ko.wikipedia.org/wiki/하라_다카시
+
| 참고 || 위키백과(일본) || 仁尾惟茂 ||  || https://ja.wikipedia.org/wiki/仁尾惟茂
 
|-
 
|-
| 참고 || 위키백과(일본) || 原敬 ||  || https://ja.wikipedia.org/wiki/原敬
+
| 참고 || デジタル版 日本人名大辞典+Plus || 仁尾惟茂 ||  || https://kotobank.jp/word/仁尾惟茂-1098750
 
|-
 
|-
 
|}
 
|}
59번째 줄: 58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단행본 || 김영숙. 『(살림지식총서585)하라 다카시 평민 재상의 빛과 그림자』, 살림, 2019 ||  ||
+
| 단행본 || 李元淳. 『朝鮮時代史論集』, 느티나무, 1993 ||  ||  
|-
 
| 단행본 || 최덕수・김용덕, 「하라 다카시의 '동화정책론' 연구」, 김용덕, 미야지마 히로시 지음, 『근대교류사와 상호인식』2, 아연출판부, 2007. ||  ||
 
 
|-
 
|-
 
| 단행본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개화기 일제강점기(1876~1945) 재조일본인 정보사전』, 보고사, 2018. ||  ||
 
| 단행본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개화기 일제강점기(1876~1945) 재조일본인 정보사전』, 보고사, 2018. ||  ||
 
|-
 
|-
| 논문 || 한철호, 「개화기(1880_1906) 역대 주한 일본공사의 경력과 한국 인식」, 한국사상사학회, 『한국사상사학』 25, 200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43150
+
| 논문 || 金賢錫, 「갑오개혁기 일본의 조선보호국화정책과 일본인 고문관의 활동」, 한국근현대사학회, 『한국근현대사연구』24, 2003. ||   ||
|-
 
| 논문 || 김영숙, 「「외무성 통상국장 하라 다카시(原敬)의 조선 출장과 외교활동」, 한국일본학회, 『일본학보』 74, 2008. ||  ||  
 
 
|-
 
|-
 
|}
 
|}

2021년 12월 15일 (수) 20:42 기준 최신판

Definition

【1853년 ~ 1932년】 관료. 1895년~1896년 탁지부 재정고문으로 활동하였다. 고치현 출신으로 1871년부터 군마현에서 관리로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1884년 후쿠오카현의 수세장이 되었다. 1887년 11월부터 대장성 주세관이 되어 주세과, 지세과 등에서 근무하였다. 1980년 6월부터 주세국 징수과장이 되었으며, 주세국 계산과장, 대장성 참사관 등을 겸임하다가 청일전쟁 중인 1894년 말 조선으로 건너가 현지에서 특명전권공사 이노우에 가오루의 지휘를 받으라는 파견 명령을 받고 조선으로 건너왔다. 이노우에 공사는 탁지대신 어윤중에게 공문을 보내 니오 고레시게를 탁지부 고문관에 임명해줄 것을 요청하였고, 어윤중이 이를 수락하여 1895년 1월 17일자로 임용되었다. 이후 1896년 2월까지 재정고문으로 활동하면서 조선 정부의 재정상태를 조사하고, 1895년 및 1896년 정부 예산안 편성, 재정 정리 사업 등 세무 전반의 개정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갑오개혁에 참여한 조선 관리들과 협의하여 일본으로부터 500만 엔의 신규 차관을 들이기 위한 기국채의(起國債議) 작성에도 관여하였다. 1896년 2월 10일 고문관 생활을 마감하고 일본으로 귀국하였다. 이때 고종이 재정고문으로 재직하던 시기의 공로를 치하하는 칙어와 함께 하사금 2천원을 내렸다. 외부대신 김윤식이 다시 탁지부 고문관으로 고빙하고 싶다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하였으나 고빙은 실현되지 않았다. 1906년 8월 고종이 훈2등을 서훈하고 태극장을 하사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니오 고레시게 Actor 인물 외국인 니오 고레시게(仁尾惟茂, 1853~1932) 니오 고레시게 仁尾惟茂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니오_고레시게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탁지부 니오 고레시게 isRelatedTo 탁지부의 재정고문(1895년~1896년)
니오 고레시게 이노우에 가오루 isRelatedTo 이노우에 가오루의 부하
니오 고레시게 어윤중 isRelatedTo
니오 고레시게 김윤식 isRelatedTo
태극장 니오 고레시게 isRelatedTo 1906년에 태극장이 하사됨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원문 주한일본공사관기록 仁尾惟茂를 度支部顧問으로 초빙하는 件 http://db.history.go.kr/id/jh_005r_0100_0130
원문 사료 고종시대사 일본 대장성 참사관 니오 코레시게를 탁지부 고문관으로 초빙할 수 있도록 요청함 http://db.history.go.kr/id/sk_020r_0010_0020_0060_0010
참고 위키백과(일본) 仁尾惟茂 https://ja.wikipedia.org/wiki/仁尾惟茂
참고 デジタル版 日本人名大辞典+Plus 仁尾惟茂 https://kotobank.jp/word/仁尾惟茂-1098750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李元淳. 『朝鮮時代史論集』, 느티나무, 1993
단행본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개화기 일제강점기(1876~1945) 재조일본인 정보사전』, 보고사, 2018.
논문 金賢錫, 「갑오개혁기 일본의 조선보호국화정책과 일본인 고문관의 활동」, 한국근현대사학회, 『한국근현대사연구』24, 2003.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