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1-020"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순종황제의 가짜 즉위식) |
(→Story)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Story== | ==Story== | ||
+ | [[대한제국]] 시절 일제가 대리인을 내세워 열었던 [[순종_즉위식|순종황제 즉위식]] 모습을 생생히 담은 그림이 발견돼 2005년 8월 11일 공개됐다. 1907년 7월 20일 서울 '''<big>[[경운궁]](현재의 덕수궁) 중화전에서 열렸던 순종황제의 즉위식(순종황제의 가짜 즉위식)</big>''' 장면을 그린 이 그림은 이탈리아 잡지 ‘라 트리부나 일루스트라타’ 1907년 8월 4일자 표지에 실렸던 것. 순종황제가 아버지인 고종황제를 강제 퇴위시킨 데 항의해 불참하자 일제가 대리인을 앉혀 놓고 즉위식을 열었음을 그림 속 황제 자리에 앉은 녹색 복장의 환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f>[https://www.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2004080900001 이광표, 日帝, 순종 항의에 환관 대신 앉혀, 동아일보 2005-08-12]</ref> | ||
− | + | 조선의 마지막 임금 순종의 시대는 억지스럽게 시작되었다. 고종은 대리청정(代理聽政)에 대한 조칙을 내렸을뿐 선위(禪位, 양위)는 하지 않았는데, '순종실록'(1907년 7월 19일)은 선위하였다고 기록했다. | |
− | |||
− | + | 순종실록에 '양위'를 끼워 넣었다는 정황은 일본 황제의 축하 전보 날짜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일본 황제는 7월 19일이 아니라 다음날인 7월 20일에야 "황제를 이어 받은 것에 대해 충심으로 경하한다"라는 내용의 전보를 보냈다. 일본 정부는 통감 이토히로부미의 외교전보를 받은 후, 그의 보고대로 대리청정을 양위로 인정할지에 대한 논의를 하느라 전보를 하루 늦게 보냈을 가능성이 있다. | |
− | |||
− | + | 신하들이 순종에게 '황제'의 칭호를 사용한 것도 7월 19일부터가 아니라 7월 22일부터다. 고종을 '태황제'로 봉존하는 절차를 밟아야 순종을 황제라 부를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일그러진 절차를 거꾸로 끼워 맞추는 형국이 계속되었다. | |
− | 이 | + | 내각 총리대신(內閣總理大臣) 이완용(李完用)이 대리청정이 아니라 양위임을 밝히자, 성난 백성들은 이완용의 집으로 몰려가 불을 질렀다. 친일 대신들은 집에 들어가지 못할 정도라고 당시 대한매일신보와 황성신문은 보도했다. 그래서 내부 대신(內部大臣) 임선준(任善準)은 “도성 안의 민심이 동요하고, 심지어는 대신에게 돌을 던지고 집을 불살라버리는 일이 날마다 발생" 한다며 서울의 치안을 담당한 한성부윤을 해임하라는 건의를 했다. |
+ | |||
+ | 이런 와중에서도 친일대신들은 순종을 확실한 황제로 만드는 작업을 계속 추진한다. | ||
+ | |||
+ | 이제부터 조서, 칙서, 아뢰는 글들에 ‘대리(代理)’라는 칭호는 ‘황제(皇帝)’라는 대호(大號)로 높여 부르는 것이 실로 하늘의 뜻과 백성들의 마음에 부합되므로 신들은 같은 말로 호소합니다.”하니, 제칙(制勅)을 내리기를, “대조(大朝)의 처분을 받들어 힘써 따르겠다.” 하였다.--'순종실록' 순종 즉위년(1907, 광무 11년) 7월 22일 | ||
+ | |||
+ | 다음 날인 7월 23일에는 '윤비'도 황후로 진봉(進封)했다. 그런데도 순종은 고종 때 사용하던 '광무'를 계속 사용했다. 일본과 친일 대신들은 고종시대의 연호 사용이 훗날 '역사적 약점'이 된다고 생각하고, 새 연호를 사용하게 했다. | ||
+ | |||
+ | 이완용이 ‘개정할 연호(年號)의 망단자(望單子)를 융희(隆熙)와 태시(太始)를 의정(議定)하였습니다.’라고 상주(上奏)하니, 받든 주권(硃圈)에 융희 두 글자로 하라고 하였다. 순종 시대의 연호인 '융희'는 이런 절차를 거친 후 1907년 8월 3일부터 '순종실록'에 사용되었다. 같은 날, 고종이 태황제가 되는 절차가 끝났으니 거처하는 경운궁의 이름도 바뀌어야 한다며 덕수궁으로 바꿨다. | ||
+ | |||
+ | 일본과 친일파 대신들은 '일그러진 절차 끼워 맞추기'의 마지막 절차인 즉위식 날짜를 8월 27일로 정한다. 그리고 장소는, '''대리청정 의식을 권정례로 거행했던 덕수궁 중화전'''이 아니라 '''외국 외교사절들을 접견하는 장소인 돈덕전(惇德殿)'''으로 정하고, 황제의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 ||
+ | |||
+ | 순종은 축하를 받고 대사령(大赦令)을 반포하고 조문(詔文)을 반포하였다. 그리고 이왕 외에 각부 대신들의 이름을 거명하며 "나라만 생각하라"고 당부한 후, 육군과 해군을 통솔하는 황제의 상징인 대원수복으로 갈아 입고 어좌에 앉았다. | ||
+ | |||
+ | '대리청정'과 '대리 양위' 를 앞세운 고종과 순종의 '항거'는 이렇게 끝났다.<ref>[http://www.sunjooschool.com/class_published_ModernPainting/7818, 순종은 즉위식을 두번 한 것일까?, 김선주학교 2010-11-25]</ref>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34번째 줄: | 47번째 줄: | ||
|- | |- | ||
| [[E1-020]] || [[E2-700]] || [[isRelatedTo]] || || | | [[E1-020]] || [[E2-700]] || [[isRelatedTo]] || || | ||
+ | |- | ||
+ | | [[E1-020]] || [[덕수궁_중화전]] || [[happenedAt]] || || | ||
|- | |- | ||
| [[순종_즉위식_삽화]] || [[E1-020]] || [[depicts]] || || | | [[순종_즉위식_삽화]] || [[E1-020]] || [[depicts]] || || | ||
+ | |- | ||
+ | | [[순종황제_즉위_사진]] || [[E1-020]] || [[depicts]] || || | ||
+ | |- | ||
+ | | [[E1-020]] || [[순종_즉위식]] || [[isRelatedTo]] || || | ||
|- | |- | ||
| [[순종_즉위식_기념엽서]] || [[E1-020]] || [[commemorates]] || || | | [[순종_즉위식_기념엽서]] || [[E1-020]] || [[commemorates]] || || | ||
|- | |- | ||
− | | [[한국황제전하즉위기념_사진엽서]] || [[ | + | | [[한국황제전하즉위기념_사진엽서]] || [[순종_즉위식]] || [[commemorates]] || || |
− | |||
− | |||
|- | |- | ||
− | | [[ | + | | [[순종즉위기념장]] || [[순종_즉위식]] || [[commemorates]] || || |
|- | |- | ||
|} | |} | ||
61번째 줄: | 78번째 줄: | ||
|- | |- | ||
| 참고 || 김선주 학교 > 그림으로 보는 우리의 근대 || 순종은 즉위식을 두번 한 것일까? || || http://www.sunjooschool.com/class_published_ModernPainting/7818 | | 참고 || 김선주 학교 > 그림으로 보는 우리의 근대 || 순종은 즉위식을 두번 한 것일까? || || http://www.sunjooschool.com/class_published_ModernPainting/7818 | ||
+ | |- | ||
+ | | 참고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 > 일제침략기 한국관련 사진그림엽서 DB || 황태자전하 한국황제 즉위 / 한국 황제 즉위식이 거행된 덕수궁 중명전에서 행차를 준비하는 가마를 인쇄한 엽서 || ||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7-KFR-1230003&callType=srch&dataID=AKS-2017-KFR-1230003_TEXT@0019 | ||
|- | |- | ||
| 삽화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 || http://archive.much.go.kr/nrms/pur005/2018/0716170014194/pur005798-00000-00001.jpg | | 삽화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 || http://archive.much.go.kr/nrms/pur005/2018/0716170014194/pur005798-00000-00001.jpg | ||
73번째 줄: | 92번째 줄: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논문 || 이정희, 「대한제국기 순종황제 즉위 행사와 음악」, 『한국음악사학회』 47, 2011. || | + | | 논문 || 신동규, 「일제침략기 한국 사진그림엽서의 탄생과 엽서의 분류 및 시대구분법에 대한 소고」, 『일본문화연구』 71, 동아시아일본학회, 201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87391 |
+ | |- | ||
+ | | 논문 || 이정희, 「대한제국기 순종황제 즉위 행사와 음악」, 『한국음악사학회』 47,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17576 | ||
|- | |- | ||
− | | 단행본 || 이태진, 『동경대생들에게 들려준 한국사 메이지 일본의 | + | | 단행본 || 이태진, 『동경대생들에게 들려준 한국사 메이지 일본의 한국침략사』, 태학사, 2005. || RISS || http://www.riss.kr/link?id=M10091366 |
|- | |- | ||
| 단행본 ||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태학사, 2013. || RISS || http://www.riss.kr/link?id=M13326174 | | 단행본 ||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태학사, 2013. || RISS || http://www.riss.kr/link?id=M13326174 |
2021년 11월 26일 (금) 08:57 기준 최신판
목차
순종황제의 가짜 즉위식
Story
대한제국 시절 일제가 대리인을 내세워 열었던 순종황제 즉위식 모습을 생생히 담은 그림이 발견돼 2005년 8월 11일 공개됐다. 1907년 7월 20일 서울 경운궁(현재의 덕수궁) 중화전에서 열렸던 순종황제의 즉위식(순종황제의 가짜 즉위식) 장면을 그린 이 그림은 이탈리아 잡지 ‘라 트리부나 일루스트라타’ 1907년 8월 4일자 표지에 실렸던 것. 순종황제가 아버지인 고종황제를 강제 퇴위시킨 데 항의해 불참하자 일제가 대리인을 앉혀 놓고 즉위식을 열었음을 그림 속 황제 자리에 앉은 녹색 복장의 환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1]
조선의 마지막 임금 순종의 시대는 억지스럽게 시작되었다. 고종은 대리청정(代理聽政)에 대한 조칙을 내렸을뿐 선위(禪位, 양위)는 하지 않았는데, '순종실록'(1907년 7월 19일)은 선위하였다고 기록했다.
순종실록에 '양위'를 끼워 넣었다는 정황은 일본 황제의 축하 전보 날짜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일본 황제는 7월 19일이 아니라 다음날인 7월 20일에야 "황제를 이어 받은 것에 대해 충심으로 경하한다"라는 내용의 전보를 보냈다. 일본 정부는 통감 이토히로부미의 외교전보를 받은 후, 그의 보고대로 대리청정을 양위로 인정할지에 대한 논의를 하느라 전보를 하루 늦게 보냈을 가능성이 있다.
신하들이 순종에게 '황제'의 칭호를 사용한 것도 7월 19일부터가 아니라 7월 22일부터다. 고종을 '태황제'로 봉존하는 절차를 밟아야 순종을 황제라 부를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일그러진 절차를 거꾸로 끼워 맞추는 형국이 계속되었다.
내각 총리대신(內閣總理大臣) 이완용(李完用)이 대리청정이 아니라 양위임을 밝히자, 성난 백성들은 이완용의 집으로 몰려가 불을 질렀다. 친일 대신들은 집에 들어가지 못할 정도라고 당시 대한매일신보와 황성신문은 보도했다. 그래서 내부 대신(內部大臣) 임선준(任善準)은 “도성 안의 민심이 동요하고, 심지어는 대신에게 돌을 던지고 집을 불살라버리는 일이 날마다 발생" 한다며 서울의 치안을 담당한 한성부윤을 해임하라는 건의를 했다.
이런 와중에서도 친일대신들은 순종을 확실한 황제로 만드는 작업을 계속 추진한다.
이제부터 조서, 칙서, 아뢰는 글들에 ‘대리(代理)’라는 칭호는 ‘황제(皇帝)’라는 대호(大號)로 높여 부르는 것이 실로 하늘의 뜻과 백성들의 마음에 부합되므로 신들은 같은 말로 호소합니다.”하니, 제칙(制勅)을 내리기를, “대조(大朝)의 처분을 받들어 힘써 따르겠다.” 하였다.--'순종실록' 순종 즉위년(1907, 광무 11년) 7월 22일
다음 날인 7월 23일에는 '윤비'도 황후로 진봉(進封)했다. 그런데도 순종은 고종 때 사용하던 '광무'를 계속 사용했다. 일본과 친일 대신들은 고종시대의 연호 사용이 훗날 '역사적 약점'이 된다고 생각하고, 새 연호를 사용하게 했다.
이완용이 ‘개정할 연호(年號)의 망단자(望單子)를 융희(隆熙)와 태시(太始)를 의정(議定)하였습니다.’라고 상주(上奏)하니, 받든 주권(硃圈)에 융희 두 글자로 하라고 하였다. 순종 시대의 연호인 '융희'는 이런 절차를 거친 후 1907년 8월 3일부터 '순종실록'에 사용되었다. 같은 날, 고종이 태황제가 되는 절차가 끝났으니 거처하는 경운궁의 이름도 바뀌어야 한다며 덕수궁으로 바꿨다.
일본과 친일파 대신들은 '일그러진 절차 끼워 맞추기'의 마지막 절차인 즉위식 날짜를 8월 27일로 정한다. 그리고 장소는, 대리청정 의식을 권정례로 거행했던 덕수궁 중화전이 아니라 외국 외교사절들을 접견하는 장소인 돈덕전(惇德殿)으로 정하고, 황제의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순종은 축하를 받고 대사령(大赦令)을 반포하고 조문(詔文)을 반포하였다. 그리고 이왕 외에 각부 대신들의 이름을 거명하며 "나라만 생각하라"고 당부한 후, 육군과 해군을 통솔하는 황제의 상징인 대원수복으로 갈아 입고 어좌에 앉았다.
'대리청정'과 '대리 양위' 를 앞세운 고종과 순종의 '항거'는 이렇게 끝났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E1-020 | Story | Episode | 순종황제의 가짜 즉위식 | 순종황제의 가짜 즉위식 | 純宗皇帝의 假짜 卽位式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1-020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E1-020 | 대한제국 | isRelatedTo | ||
E1-020 | E2-700 | isRelatedTo | ||
E1-020 | 덕수궁_중화전 | happenedAt | ||
순종_즉위식_삽화 | E1-020 | depicts | ||
순종황제_즉위_사진 | E1-020 | depicts | ||
E1-020 | 순종_즉위식 | isRelatedTo | ||
순종_즉위식_기념엽서 | E1-020 | commemorates | ||
한국황제전하즉위기념_사진엽서 | 순종_즉위식 | commemorates | ||
순종즉위기념장 | 순종_즉위식 | commemorates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La Tribuna Illustrata 1907년 8월 4일호 | 제15권 제31호 1면 순종의 즉위식을 그린 일러스트 | http://archive.much.go.kr/archive/nrms/view.do?idnbr=PS01002025008-005798-00000 |
참고 | 동아일보 | 日帝, 순종 항의에 환관 대신 앉혀 (2005-08-12, 이광표 기자) |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050812/8218504/1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네이버캐스트 >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 순종황제 즉위식 광경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9020&docId=3575313&categoryId=59034 | |
참고 | 김선주 학교 > 그림으로 보는 우리의 근대 | 순종은 즉위식을 두번 한 것일까? | http://www.sunjooschool.com/class_published_ModernPainting/7818 | |
참고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 > 일제침략기 한국관련 사진그림엽서 DB | 황태자전하 한국황제 즉위 / 한국 황제 즉위식이 거행된 덕수궁 중명전에서 행차를 준비하는 가마를 인쇄한 엽서 |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7-KFR-1230003&callType=srch&dataID=AKS-2017-KFR-1230003_TEXT@0019 | |
삽화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http://archive.much.go.kr/nrms/pur005/2018/0716170014194/pur005798-00000-00001.jpg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신동규, 「일제침략기 한국 사진그림엽서의 탄생과 엽서의 분류 및 시대구분법에 대한 소고」, 『일본문화연구』 71, 동아시아일본학회, 201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87391 |
논문 | 이정희, 「대한제국기 순종황제 즉위 행사와 음악」, 『한국음악사학회』 47,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17576 |
단행본 | 이태진, 『동경대생들에게 들려준 한국사 메이지 일본의 한국침략사』, 태학사, 2005. | RISS | http://www.riss.kr/link?id=M10091366 |
단행본 |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태학사, 2013. | RISS | http://www.riss.kr/link?id=M13326174 |
단행본 | 정민·김동준 외,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6. | RISS | http://www.riss.kr/link?id=M12316603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역사자료총서 17), 2017. | 국립중앙박물관 |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ticle_13768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