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국장 방상씨거 사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Bibliography) |
(→Bibliography)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행렬의 좌우로 2명씩 총 4명의 방상씨가 수레에 앉아 이동하며, 장지에 도착하면 현궁(玄宮)에 삼지창을 휘둘러 사특한 기운을 물리쳤다.<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방상씨 방상씨, 한국 기록유산 Encyves]</ref> | 행렬의 좌우로 2명씩 총 4명의 방상씨가 수레에 앉아 이동하며, 장지에 도착하면 현궁(玄宮)에 삼지창을 휘둘러 사특한 기운을 물리쳤다.<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방상씨 방상씨, 한국 기록유산 Encyves]</ref> | ||
− | 고종 국장 행렬의 방상씨거 사진을 촬영한 일본인 무라야마 치준의 사진들은 일제강점기 때 우리민족의 사상과 문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첩보’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 + | 고종 국장 행렬의 방상씨거 사진을 촬영한 일본인 무라야마 치준의 사진들은 일제강점기 때 우리민족의 사상과 문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첩보’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본에서 발행된 『民博通信』(1997년, no.79호)에 의하면 무라야마 치준(村山 智順)은 1891년에 태어나서 1916년 7월에 東京帝國大學 문학부 철학과(社會學專修)를 졸업하였고, 그 해 우리나라로 건너왔다. 그의 나이 스물 다섯 살 때다. 무라야마는 그 당시 조선 땅의 사회제도나 사상 등에 대한 조사 보고를 했던 특명을 받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사진들의 성격을 보면 그 보고의 하나로 촬영된 것으로 보인다. (『朝鮮の獨立思想及運動』調査資料 第十輯, 1924년 참조). |
− | |||
− | 일본에서 | ||
<ref>[https://blog.naver.com/ohyh45/20196638791 무라야마 치준(村山智順)의 1920-30년대 한국 민속사진의 성격, 네이버 블로그 송풍수월(ohyh45)]</ref> | <ref>[https://blog.naver.com/ohyh45/20196638791 무라야마 치준(村山智順)의 1920-30년대 한국 민속사진의 성격, 네이버 블로그 송풍수월(ohyh45)]</ref> | ||
28번째 줄: | 26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고종_국장_방상씨거_사진]] || [[isRelatedTo]] || || |
|- | |- | ||
− | | [[어장의사진첩]] || [[ | + | | [[어장의사진첩]] || [[고종_국장_방상씨거_사진]] || [[isPostedIn]] || || |
|- | |- | ||
− | | [[ | + | | [[덕수궁국장화첩]] || [[고종_국장_방상씨거_사진]] || [[isPostedIn]] || || |
|- | |- | ||
− | | [[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고종_국장_방상씨거_사진]] || [[hasPart]] || || |
|- | |- | ||
− | | [[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앨버트_테일러]] || [[creator]] || || |
− | |||
− | |||
|- | |- | ||
− | | [[ | + | | [[고종_국장_방상씨거_사진]] || [[무라야마_지준]] || [[creator]] || || |
|- | |- | ||
− | | [[ | + | | [[고종_국장_방상씨거_사진]] || [[인산행렬의_방상씨_사진]] || [[isRelatedTo]] || || |
|- |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인산행렬의_방상씨_사진]] || [[hasPart]]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인산행렬의_방상씨_사진]] || [[hasPart]] || || | ||
|- | |- | ||
− | | [[ | + | | [[고종_국장_방상씨거_사진]] || [[방상씨거]] || [[depicts]] || || |
|- | |- | ||
− | | [[ | + | | [[고종_국장_방상씨거_사진]] || [[고종황제의_마지막_길]]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고종_국장_방상씨거_사진]] ||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고종_국장_방상씨거_사진]] || [[순종_국장_방상씨거_사진]] || [[isRelatedTo]] || || |
|- | |- | ||
|} | |} | ||
77번째 줄: | 73번째 줄: | ||
| 참고 || 조선왕조실록 || 방상씨거 || 세종실록 9권, 세종 2년 9월 16일 신사 2번째 기사 1420년 명 영락(永樂) 18년 유거의 제도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0209016_002 | | 참고 || 조선왕조실록 || 방상씨거 || 세종실록 9권, 세종 2년 9월 16일 신사 2번째 기사 1420년 명 영락(永樂) 18년 유거의 제도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0209016_002 | ||
|- | |- | ||
− | | 참고 ||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 알림 뉴스 > 코리아넷뉴스 | + | | 참고 ||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 알림 뉴스 > 코리아넷뉴스 || 독립선언을 세계에 알린 앨버트 W. 테일러 (2019-03-20, 전한 기자) || 앨버트 테일러가 촬영한 고종의 국장 모습 사진 수록 || https://www.kocis.go.kr/koreanet/view.do?seq=1012341 |
|- | |- |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방상씨 || 방상씨 검색 결과 15건 || https://museum.seoul.go.kr/www/search/NR_search.do?q_collection=&query=방상씨&org_query=방상씨&sort=&sfield=&museum=&dateterm=&sdate=&edate=&exc_query=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방상씨 || 방상씨 검색 결과 15건 || https://museum.seoul.go.kr/www/search/NR_search.do?q_collection=&query=방상씨&org_query=방상씨&sort=&sfield=&museum=&dateterm=&sdate=&edate=&exc_query= | ||
102번째 줄: | 98번째 줄: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논문 || 강춘애, | + | | 논문 || 강춘애, 「나례(儺禮)와 방상씨(方相氏)의 고찰 : 특히 그 직능(職能)과 조형의 유풍(遺風)을 중심으로」, 『연극학보』 26, 동국대학교연극영화학과, 1998. || 국회전자도서관 ||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KINX1998047954 |
+ | |- | ||
+ | | 논문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 2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5835 | ||
+ | |- | ||
+ | | 논문 || 김희영,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의 조선인식 - 조선총독부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43, 한국일본문화학회, 200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1393526 | ||
+ | |- | ||
+ | | 논문 || 이욱, 「일제시기 고종의 국장(國葬)과 일본 예식」, 『종교문화비평』 34, 청년사, 201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92525 | ||
|- | |- | ||
− | | 논문 || | + | | 논문 || Juljan Biontino, 「윤치호의 ‘죽음’과 장례문화 인식-《윤치호 일기》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6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69752 |
|- | |- | ||
− | | 논문 || | + | | 논문 || 新城 道彦, 「朝鮮統治と王族の關聯性-李太王の國葬にみる朝鮮統治-」, 『次世代人文社會硏究』 2,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6. ||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7916 |
|- | |- | ||
− | | | + | | 단행본 || 村山智順, 『朝鮮人の思想と性格』, 朝鮮總督府, 1927. || || |
|- | |- | ||
− | | 단행본 || | + | | 단행본 || 村山智順, 『朝鮮の鬼神 : 民間信仰第一部』, 朝鮮總督府, 1929. || || |
|- | |- | ||
− | | 단행본 || | + | | 단행본 || 村山智順, 『朝鮮の民間信仰』, 無聲會, 1931. || || |
|- | |- | ||
− | | 단행본 || | + | | 단행본 || 村山智順, 『朝鮮の風水』, 朝鮮總督府, 1931. || || |
|- | |- | ||
− | | 단행본 || | + | | 단행본 || 村山智順, 『朝鮮の巫覡 : 民間信仰 第3部』, 朝鮮總督府, 1932. || || |
|- | |- | ||
− | | 단행본 || | + | | 단행본 || 村山智順, 『朝鮮の占卜と預言』, 朝鮮總督府, 1933. || || |
|- | |- | ||
|} | |} |
2021년 10월 17일 (일) 08:49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방상씨거는 조선시대 국장에서 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흉의장(凶儀仗)이다. 방상씨거는 수레를 타고 있는 방상씨를 말한다. 방상씨는 『주례(周禮)』 하관(夏官)에 나오는 관직 이름이다. 나쁜 귀신이나 역질 등을 물리치는 의식을 담당하였다. 장례에서는 사람이 분장하여 부정을 막는 방상씨 역할을 하였다. 머리에 4개의 황금색 눈을 단 붉은 가면을 쓰고, 검은색 상의와 붉은색 하의를 입고 곰가죽을 둘러썼다. 오른손에는 삼지창, 왼손에는 방패를 들었다. 행렬의 좌우로 2명씩 총 4명의 방상씨가 수레에 앉아 이동하며, 장지에 도착하면 현궁(玄宮)에 삼지창을 휘둘러 사특한 기운을 물리쳤다.[1]
고종 국장 행렬의 방상씨거 사진을 촬영한 일본인 무라야마 치준의 사진들은 일제강점기 때 우리민족의 사상과 문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첩보’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본에서 발행된 『民博通信』(1997년, no.79호)에 의하면 무라야마 치준(村山 智順)은 1891년에 태어나서 1916년 7월에 東京帝國大學 문학부 철학과(社會學專修)를 졸업하였고, 그 해 우리나라로 건너왔다. 그의 나이 스물 다섯 살 때다. 무라야마는 그 당시 조선 땅의 사회제도나 사상 등에 대한 조사 보고를 했던 특명을 받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사진들의 성격을 보면 그 보고의 하나로 촬영된 것으로 보인다. (『朝鮮の獨立思想及運動』調査資料 第十輯, 1924년 참조). [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고종_국장_방상씨거_사진 | Record | 사진 | 고종 국장 방상씨거 사진 | 고종 국장 방상씨거 사진 | 高宗 國葬 方相氏車 寫眞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고종_국장_방상씨거_사진 |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강춘애, 「나례(儺禮)와 방상씨(方相氏)의 고찰 : 특히 그 직능(職能)과 조형의 유풍(遺風)을 중심으로」, 『연극학보』 26, 동국대학교연극영화학과, 1998. | 국회전자도서관 |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KINX1998047954 |
논문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 2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5835 |
논문 | 김희영,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의 조선인식 - 조선총독부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43, 한국일본문화학회, 200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1393526 |
논문 | 이욱, 「일제시기 고종의 국장(國葬)과 일본 예식」, 『종교문화비평』 34, 청년사, 201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92525 |
논문 | Juljan Biontino, 「윤치호의 ‘죽음’과 장례문화 인식-《윤치호 일기》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6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69752 |
논문 | 新城 道彦, 「朝鮮統治と王族の關聯性-李太王の國葬にみる朝鮮統治-」, 『次世代人文社會硏究』 2,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7916 |
단행본 | 村山智順, 『朝鮮人の思想と性格』, 朝鮮總督府, 1927. | ||
단행본 | 村山智順, 『朝鮮の鬼神 : 民間信仰第一部』, 朝鮮總督府, 1929. | ||
단행본 | 村山智順, 『朝鮮の民間信仰』, 無聲會, 1931. | ||
단행본 | 村山智順, 『朝鮮の風水』, 朝鮮總督府, 1931. | ||
단행본 | 村山智順, 『朝鮮の巫覡 : 民間信仰 第3部』, 朝鮮總督府, 1932. | ||
단행본 | 村山智順, 『朝鮮の占卜と預言』, 朝鮮總督府, 1933.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