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10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배재학당_출신들의_같은_ 듯_다른_인생_행로'''= ==Story== H.G.아펜젤러는 1885년 6월 21일에 두번 째로 입국하여 7월 19일 서울로 들어왔다....)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시사 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
==Story== | ==Story== | ||
− | + | 1909년 6월 2일, 서울의 항일사회단체 대한협회(대한자강회의 후신)는 기관지로 국한문 일간지 『대한민보』를 창간하였다. <ref>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03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대한민보.]</ref><br/> 이도영은 이 신문의 창간호부터 삽화를 실었다. <ref>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image&sm=tab_niv&query=%EB%8C%80%ED%95%9C%EB%AF%BC%EB%B3%B4&nso=so%3Ar%2Ca%3Aall%2Cp%3Aall# 이도영 삽화(일).] </ref><br/> 우리나라 최초의 만화로 평가 받는다. 편집 형태가 매우 파격적이어서 1면 중앙에 실려있다. <ref> [편집 형태의 예시로 1909년 7월 1일자를 거론하면 이러하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9330&docId=1775862&categoryId=49330 네이버 지식백과>문화원형백과, 대한민보 1909년 7월 1일자 1쪽]</ref><br/> 그 내용을 보면 친일파 고발이나 규탄, 항일 구국정신의 고취 또는 계몽, 망국적 사회현상의 고발, 국력개발의 선동 등이다. 고희동은 회고담에 오세창이 발행한 대한민보의 만화에 대해 이런 증언을 하고 있다.<ref> [고희동, 「위창 오세창 선생」, 『신천지』7월호, 1954년 ]</ref><br/> “(선생은) 일본에서 귀국하시어 『만세보』란 신문을 발행하고, 그 후에 『대한민보』를 주관하시었다. 이 신문에는 1면에 풍자적이고 조롱적인 만화를 연일 게재하여 일반의 흥미를 끌었었다. 이것이 또한 신문에 만화로써 처음이었다. 내가 생각나는 바를 들어 말하자면, 미련한 놈이 도끼로 나무를 찍다가 (도끼자루가) 빠져서 제 등에 떨어져서 (저 자신이) 상한 것을 그렸다. 그리하고 제목을 달기를, ‘이미완용(爾迷頑庸/ 任爾頑傭의 기억 착오) 자부상피(自斧傷皮)’,-이 뜻은 그 당시 ‘매국총리 이완용(李完用)이 자부(子婦)를 생피(相避의 방언=근친상간) 붙었다’는 소문이 빈다했을 때였다(그 자자한 소문을 주제 삼은 것이었다). 이러한 그림은 관재(貫齋) 이도영 씨가 그렸고, 이 어른(오세창)이 그러한 은어와 반어(反語)의 어구를 만들어 쓰시었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6702&docId=1567013&categoryId=46739 네이버 지식백과>미술백과>이완용의 자부상]</ref><br/> | |
− | + | ||
− | ==Semantic Data== | + | ==Semantic Data== |
===Node Description=== | ===Node Description===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E0-102]] || Story || 에피소드 || || 시사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 시사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 시사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0-102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episode.png "/></html> | | [[E0-102]] || Story || 에피소드 || || 시사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 시사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 시사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0-102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episode.png "/></html>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E0-102]] || [[ | + | | [[E0-102]] || [[이도영]] || [[isRelatedTo]] || || |
|- | |- | ||
− | | [[E0-102]] || [[ ]] || [[isRelatedTo]] || || | + | | [[E0-102]] || [[대한협회]] || [[isRelatedTo]] || || |
|- | |- | ||
− | | [[E0-102]] || [[ | + | | [[E0-102]] || [[대한민보]] || [[isRelatedTo]] || || |
|- | |- | ||
− | | [[E0-102]] || [[ | + | | [[E0-102]] || [[오세창]] || [[isRelatedTo]] || || |
|- | |- | ||
− | | [[E0-102]] || [[ ]] || [[isRelatedTo]] || || | + | | [[E0-102]] || [[이완용]] || [[isRelatedTo]] || || |
|- | |- | ||
− | | [[E0-102]] || [[ | + | | [[E0-102]] || [[이도영_시사만화]]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번째 줄: | 46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도영<1>||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4026 |
− | |||
− | |||
|- | |- | ||
− | | 해설 || | + | | 해설 || 위키백과 || 이도영 || || https://ko.wikipedia.org/wiki/이도영_(화가) |
|- | |- | ||
− | | | + | | 해설 || 두산백과 || 이도영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86436 |
|- | |- | ||
− | | 참고 || | + | | 참고 || KBS WORLD RADIO, 2012-11-08 || 한국최조의 만화가 이도영 || || http://world.kbs.co.kr/service/contents_view.htm?lang=k&board_seq=60958#none |
|- | |- | ||
− | | 참고 || | + | | 참고 || 네이버지식백과>네이버캐스트>한국만화정전 || 삽화, 이도영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9065&docId=3575264&categoryId=59073 |
|- | |- | ||
|} | |} | ||
73번째 줄: | 64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 ||
+ | | 논문 || 박지훈. 「대한협회의 『대한민보』(1909~1910) 발간과 시사만화 연재의 성격」, 『역사민속학』 44,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65413 | ||
+ | |- | ||
+ | | 논문 || 이구열. 「신문에 항일·구국 시사만화를 그린 이도영」, 『미술세계』 231, 2004. || || https://blog.naver.com/hslee1943/120006805320 | ||
|- | |- | ||
|} | |} | ||
78번째 줄: | 74번째 줄: |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 ||
+ | |||
==Notes== | ==Notes== |
2021년 10월 13일 (수) 02:44 기준 최신판
목차
시사 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Story
1909년 6월 2일, 서울의 항일사회단체 대한협회(대한자강회의 후신)는 기관지로 국한문 일간지 『대한민보』를 창간하였다. [1]
이도영은 이 신문의 창간호부터 삽화를 실었다. [2]
우리나라 최초의 만화로 평가 받는다. 편집 형태가 매우 파격적이어서 1면 중앙에 실려있다. [3]
그 내용을 보면 친일파 고발이나 규탄, 항일 구국정신의 고취 또는 계몽, 망국적 사회현상의 고발, 국력개발의 선동 등이다. 고희동은 회고담에 오세창이 발행한 대한민보의 만화에 대해 이런 증언을 하고 있다.[4]
“(선생은) 일본에서 귀국하시어 『만세보』란 신문을 발행하고, 그 후에 『대한민보』를 주관하시었다. 이 신문에는 1면에 풍자적이고 조롱적인 만화를 연일 게재하여 일반의 흥미를 끌었었다. 이것이 또한 신문에 만화로써 처음이었다. 내가 생각나는 바를 들어 말하자면, 미련한 놈이 도끼로 나무를 찍다가 (도끼자루가) 빠져서 제 등에 떨어져서 (저 자신이) 상한 것을 그렸다. 그리하고 제목을 달기를, ‘이미완용(爾迷頑庸/ 任爾頑傭의 기억 착오) 자부상피(自斧傷皮)’,-이 뜻은 그 당시 ‘매국총리 이완용(李完用)이 자부(子婦)를 생피(相避의 방언=근친상간) 붙었다’는 소문이 빈다했을 때였다(그 자자한 소문을 주제 삼은 것이었다). 이러한 그림은 관재(貫齋) 이도영 씨가 그렸고, 이 어른(오세창)이 그러한 은어와 반어(反語)의 어구를 만들어 쓰시었다."[5]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E0-102 | Story | 에피소드 | 시사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 시사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 시사만화로 일제에 저항한 이도영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0-102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E0-102 | 이도영 | isRelatedTo | ||
E0-102 | 대한협회 | isRelatedTo | ||
E0-102 | 대한민보 | isRelatedTo | ||
E0-102 | 오세창 | isRelatedTo | ||
E0-102 | 이완용 | isRelatedTo | ||
E0-102 | 이도영_시사만화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이도영<1>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4026 | |
해설 | 위키백과 | 이도영 | https://ko.wikipedia.org/wiki/이도영_(화가) | |
해설 | 두산백과 | 이도영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86436 | |
참고 | KBS WORLD RADIO, 2012-11-08 | 한국최조의 만화가 이도영 | http://world.kbs.co.kr/service/contents_view.htm?lang=k&board_seq=60958#none | |
참고 | 네이버지식백과>네이버캐스트>한국만화정전 | 삽화, 이도영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9065&docId=3575264&categoryId=59073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논문 | 박지훈. 「대한협회의 『대한민보』(1909~1910) 발간과 시사만화 연재의 성격」, 『역사민속학』 44,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65413 |
논문 | 이구열. 「신문에 항일·구국 시사만화를 그린 이도영」, 『미술세계』 231, 2004. | https://blog.naver.com/hslee1943/120006805320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대한민보.
- ↑ 이도영 삽화(일).
- ↑ [편집 형태의 예시로 1909년 7월 1일자를 거론하면 이러하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9330&docId=1775862&categoryId=49330 네이버 지식백과>문화원형백과, 대한민보 1909년 7월 1일자 1쪽]
- ↑ [고희동, 「위창 오세창 선생」, 『신천지』7월호, 1954년 ]
- ↑ 네이버 지식백과>미술백과>이완용의 자부상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