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안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finition) |
(→Node Description)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조선시대 국장의 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말 모양의 흉의장(凶儀仗)이다. 싸리나무와 마른풀, 가마니 등을 엮어서 만든 의장용 말로, 등에 안장이 없는 죽산마(竹散馬)와 안장이 있는 죽안마(竹鞍馬)가 짝이 되어 사용되었다. 죽안마는 다양한 색으로 칠을 하고, 죽산마는 검은색으로 칠해졌다. 발인 행렬에서 작은 가마인 채여(彩輿)의 좌우에 나누어 위치하였으며 수레에 실려 운반되었다. 왕은 죽산마 2필, 죽안마 10필이 사용되었고, 왕비는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즉위 전에 훙서한 왕세자·왕세자빈·왕세손 등도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발인 의식이 끝나면 죽산마와 죽안마, 청수안마, 자수안마 등은 정결한 장소에서 불태웠다 | + | 조선시대 국장의 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말 모양의 흉의장(凶儀仗)이다. 싸리나무와 마른풀, 가마니 등을 엮어서 만든 의장용 말로, 등에 안장이 없는 죽산마(竹散馬)와 안장이 있는 죽안마(竹鞍馬)가 짝이 되어 사용되었다. 죽안마는 다양한 색으로 칠을 하고, 죽산마는 검은색으로 칠해졌다. 발인 행렬에서 작은 가마인 채여(彩輿)의 좌우에 나누어 위치하였으며 수레에 실려 운반되었다. 왕은 죽산마 2필, 죽안마 10필이 사용되었고, 왕비는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즉위 전에 훙서한 왕세자·왕세자빈·왕세손 등도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발인 의식이 끝나면 죽산마와 죽안마, 청수안마, 자수안마 등은 정결한 장소에서 불태웠다.<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죽안마 죽안마, 한국 기록유산 Encyves]</ref>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죽안마]] || Object || | + | | [[죽안마]] || Object || 의식도구 || 국장 물품 || 죽안마(竹鞍馬) || 죽안마 || 竹鞍馬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죽안마 || <html><img width="8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1/hanyang/image/죽안마.jpg"/></html> |
|- | |- | ||
|} | |}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고종_국장_행렬_삽화]] || [[isRelatedTo]]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고종_국장_행렬_삽화]] || [[isRelatedTo]] || || | ||
|- | |- | ||
− | | [[어장의사진첩]] || [[ | + | | [[어장의사진첩]] || [[고종_국장_죽안마_사진]] || [[hasPart]] || || |
|- | |- | ||
− | + | | [[덕수궁국장화첩]] || [[고종_국장_죽안마_사진]] || [[hasPart]] || || | |
− | |||
− | | [[덕수궁국장화첩]] || [[고종_국장_죽안마_사진]] || [[ | ||
|- | |- | ||
| [[고종_국장_행렬_삽화]] || [[죽안마]] || [[depicts]] || || | | [[고종_국장_행렬_삽화]] || [[죽안마]] || [[depicts]] || || | ||
58번째 줄: | 56번째 줄: | ||
| 해설 || 한국 기록유산 Encyves || 죽안마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죽안마 | | 해설 || 한국 기록유산 Encyves || 죽안마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죽안마 | ||
|- | |- | ||
− | | 해설 || 국립중앙박물관 > 외규장각 의궤 || 죽안마(竹鞍馬) || || https://www.museum.go.kr/uigwe/dosul/dosulView?imginfo=uig_di_284_0153_2.jpg | + | | 해설 || 국립중앙박물관 > 외규장각 의궤 || 죽안마(竹鞍馬) || || https://www.museum.go.kr/uigwe/dosul/dosulView?imginfo=uig_di_284_0153_2.jpg |
|- | |- | ||
− | | 해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죽안마(竹鞍馬) || ||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281&category=E&sWord= | + | | 해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죽안마(竹鞍馬) || ||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281&category=E&sWord=죽안마 |
|- | |- | ||
− | | 참고 ||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 알림 뉴스 > 코리아넷뉴스 | + | | 참고 ||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 알림 뉴스 > 코리아넷뉴스 || 독립선언을 세계에 알린 앨버트 W. 테일러 (2019-03-20, 전한 기자) || 앨버트 테일러가 촬영한 고종의 국장 모습 사진 수록 || https://www.kocis.go.kr/koreanet/view.do?seq=1012341 |
|- | |- | ||
−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죽안마 || 죽안마 검색 결과 10건 || https://museum.seoul.go.kr/www/search/NR_search.do?q_collection=&query= | +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죽안마 || 죽안마 검색 결과 10건 || https://museum.seoul.go.kr/www/search/NR_search.do?q_collection=&query=죽안마&org_query=죽안마&sort=&sfield=&museum=&dateterm=&sdate=&edate=&exc_query= |
|- | |- | ||
−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10년대 > 德壽宮國葬畵帖 덕수궁국장화첩 || | +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10년대 > 德壽宮國葬畵帖 덕수궁국장화첩 ||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명칭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아카이브번호 <75780> 유물번호 <서16123>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2899&arcvMetaSeq=26165&arcvNo=75780 |
|- | |- | ||
−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10년대 > 德壽宮國葬畵帖 덕수궁국장화첩 ||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명칭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아카이브번호 <75780> 유물번호 <서16123> 시기1919 / | +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10년대 > 德壽宮國葬畵帖 덕수궁국장화첩 ||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명칭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아카이브번호 <75780> 유물번호 <서16123> 시기1919 / 자료출처 『德壽宮國葬畵帖』(京城日報社, 1919) / 내용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竹散馬)의 모습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2899&arcvMetaSeq=26165&arcvNo=75780 |
|- | |- | ||
−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컬렉션 > 정치외교 > 황실 ||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 명칭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 아카이브번호 <103507> / 자료출처 고종장례 / 내용 1919년 3월 3일에 거행된 고종 국장 당시 장의 행렬의 광경을 담은 시리즈엽서(16매)의 | +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컬렉션 > 정치외교 > 황실 ||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 명칭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 아카이브번호 <103507> / 자료출처 고종장례 / 내용 1919년 3월 3일에 거행된 고종 국장 당시 장의 행렬의 광경을 담은 시리즈엽서(16매)의 하나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4334&arcvMetaSeq=39356&arcvNo=103507 |
|- | |- | ||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내 한국박물관협회 > MUSEUMNEWS || 서울역사박물관, 3월 3일 고종 인산일 맞아 <고종황제의 마지막 길>展 개최 (2017-03-13) || || https://museumnews.kr/17533seoulgj/ |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내 한국박물관협회 > MUSEUMNEWS || 서울역사박물관, 3월 3일 고종 인산일 맞아 <고종황제의 마지막 길>展 개최 (2017-03-13) || || https://museumnews.kr/17533seoulgj/ | ||
87번째 줄: | 85번째 줄: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논문 || | + | | 논문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 2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5835 |
+ | |- | ||
+ | | 논문 || 자오성웨이·리샤오위(엮은이), 이성현(옮긴이), 「주르날 제국주의 : 프랑스 화보가 본 중국 그리고 아시아」, 『현실문화』, 현실문화연구, 2019. || RISS || http://www.riss.kr/link?id=M15094903 | ||
+ | |- | ||
+ | | 논문 || 나애리, 「1907년 프랑스 신문에 나타난 한국과 한국인들의 이미지」, 『프랑스문화연구』 11,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5.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78058 | ||
|- | |- | ||
− | | | + | | 단행본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 |
|- | |- | ||
− | | | + | | 단행본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 |
|- | |- | ||
− | | 단행본 ||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태학사, 2013. || RISS | + | | 단행본 ||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태학사, 2013. || RISS || http://www.riss.kr/link?id=M13326174 |
|- | |- | ||
− | | 단행본 || 정민·김동준 외,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6. || RISS | + | | 단행본 || 정민·김동준 외,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6. || RISS || http://www.riss.kr/link?id=M12316603 |
|- | |- | ||
− |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역사자료총서 17), 2017. || 국립중앙박물관 | + |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역사자료총서 17), 2017. || 국립중앙박물관 ||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ticle_13768 |
|- | |- | ||
|} | |} | ||
111번째 줄: | 113번째 줄: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 | +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죽안마"></iframe> |
−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 | +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죽안마'"> |
</html> | </html>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Object]] [[분류:박수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1년 11월 28일 (일) 15:06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조선시대 국장의 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말 모양의 흉의장(凶儀仗)이다. 싸리나무와 마른풀, 가마니 등을 엮어서 만든 의장용 말로, 등에 안장이 없는 죽산마(竹散馬)와 안장이 있는 죽안마(竹鞍馬)가 짝이 되어 사용되었다. 죽안마는 다양한 색으로 칠을 하고, 죽산마는 검은색으로 칠해졌다. 발인 행렬에서 작은 가마인 채여(彩輿)의 좌우에 나누어 위치하였으며 수레에 실려 운반되었다. 왕은 죽산마 2필, 죽안마 10필이 사용되었고, 왕비는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즉위 전에 훙서한 왕세자·왕세자빈·왕세손 등도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발인 의식이 끝나면 죽산마와 죽안마, 청수안마, 자수안마 등은 정결한 장소에서 불태웠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죽안마 | Object | 의식도구 | 국장 물품 | 죽안마(竹鞍馬) | 죽안마 | 竹鞍馬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죽안마 |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 기록유산 Encyves | 죽안마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죽안마 | |
해설 | 국립중앙박물관 > 외규장각 의궤 | 죽안마(竹鞍馬) | https://www.museum.go.kr/uigwe/dosul/dosulView?imginfo=uig_di_284_0153_2.jpg | |
해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죽안마(竹鞍馬) |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281&category=E&sWord=죽안마 | |
참고 |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 알림 뉴스 > 코리아넷뉴스 | 독립선언을 세계에 알린 앨버트 W. 테일러 (2019-03-20, 전한 기자) | 앨버트 테일러가 촬영한 고종의 국장 모습 사진 수록 | https://www.kocis.go.kr/koreanet/view.do?seq=1012341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죽안마 | 죽안마 검색 결과 10건 | https://museum.seoul.go.kr/www/search/NR_search.do?q_collection=&query=죽안마&org_query=죽안마&sort=&sfield=&museum=&dateterm=&sdate=&edate=&exc_query=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10년대 > 德壽宮國葬畵帖 덕수궁국장화첩 |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명칭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아카이브번호 <75780> 유물번호 <서16123>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2899&arcvMetaSeq=26165&arcvNo=75780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10년대 > 德壽宮國葬畵帖 덕수궁국장화첩 |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명칭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아카이브번호 <75780> 유물번호 <서16123> 시기1919 / 자료출처 『德壽宮國葬畵帖』(京城日報社, 1919) / 내용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竹散馬)의 모습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2899&arcvMetaSeq=26165&arcvNo=75780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컬렉션 > 정치외교 > 황실 |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 명칭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 아카이브번호 <103507> / 자료출처 고종장례 / 내용 1919년 3월 3일에 거행된 고종 국장 당시 장의 행렬의 광경을 담은 시리즈엽서(16매)의 하나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4334&arcvMetaSeq=39356&arcvNo=103507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내 한국박물관협회 > MUSEUMNEWS | 서울역사박물관, 3월 3일 고종 인산일 맞아 <고종황제의 마지막 길>展 개최 (2017-03-13) | https://museumnews.kr/17533seoulgj/ | |
참고 | 중앙선데이 | 고종황제 마지막 가는 날 종로거리는 … (2009-10-08, 김경진 기자) | UPA 한국 특파원이던 앨버트 테일러가 1919년 3월 3일 촬영한 고종 황제의 국장 장례 행렬. 대나무를 엮어 종이를 붙여 만든 죽안마(竹鞍馬)는 장례행렬을 이끄는 의장품으로 왕과 왕비의 국장 행렬에만 사용된다.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 https://www.joongang.co.kr/article/3812300 |
참고 | 해찬솔의 역사와 문화유산 | 고종황제 마지막 길 (2017-02-23, 다음 블로그) | https://blog.daum.net/chally624/12884879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 2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5835 |
논문 | 자오성웨이·리샤오위(엮은이), 이성현(옮긴이), 「주르날 제국주의 : 프랑스 화보가 본 중국 그리고 아시아」, 『현실문화』, 현실문화연구, 2019. | RISS | http://www.riss.kr/link?id=M15094903 |
논문 | 나애리, 「1907년 프랑스 신문에 나타난 한국과 한국인들의 이미지」, 『프랑스문화연구』 11,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5.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78058 |
단행본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
단행본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
단행본 |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태학사, 2013. | RISS | http://www.riss.kr/link?id=M13326174 |
단행본 | 정민·김동준 외,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6. | RISS | http://www.riss.kr/link?id=M12316603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역사자료총서 17), 2017. | 국립중앙박물관 |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ticle_13768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