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Web Resource) |
(→Semantic Network Graph)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삭제]]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인 어진을 봉안하고 제사를 지낸 [[진전(眞殿)]]으로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에 위치한다. [[전주_경기전|경기전]]은 왕조의 발상지라 여기는 전주에 세운 전각으로, 세종 때 붙인 이름이다. 건물은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던 것을 1614년(광해군6)에 중건하였으며, 태조의 어진(국보 317호)은 정전에 봉안되어 있다. 정전의 크기는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이다. 지대석(地臺石)과 면석(面石) 및 갑석(甲石)을 갖춘 기단 위에 세운 다포계(多包系) 형식의 맞배집으로, 그 전면 가운데에는 1칸 규모의 기단을 돌출시켜 쌓고 그 위에 첨각(添閣)을 세워 배례청을 설치했는데, 마치 능침(陵寢)의 정자각(丁字閣)과 같은 형상이다. 이 첨각 기단의 3면에는 벽돌을 깐 보도를 연결해 놓았다. 지금 남아있는 [[전주_경기전|경기전]] [[조경묘]] 도형의 그림에 따르면, 지금은 없어진 전사청(典祀廳)·동재·서재·수복방·제기고 등 부속건물들과 별전이 따로 있는 광범위한 성역이었다. [[경기전]]에 봉안된 태조 어진은 1872년에 마지막으로 옮겨 그려진 것으로, 두 차례의 큰 전란 중에도 훼손되지 않고 보전되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 |
−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 | + | | [[전주_경기전]] || Place || 사당 || 제사유적 || 경기전(慶基殿) || 경기전 || 慶基殿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경기전 || <html><img src="http://dh.aks.ac.kr/Encyves/Graph/icons/shrine3.png"/></html> |
|- | |- | ||
|} | |}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 | + | | [[태조_어진]] || [[ 전주_경기전 ]] || [[ isStoredIn ]] || || |
|- | |- | ||
− | | [[ | + | | [[전주_경기전]] || [[ 진전 ]] || [[ type ]] || || |
|- | |- | ||
− | |||
|} | |} | ||
36번째 줄: | 35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경기전(慶基殿)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80586 |
− | |||
− | |||
|- | |- | ||
− | | 해설 || | +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경기전(慶基殿)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경기전(慶基殿) |
|- | |- | ||
− | | 해설 || | + | | 해설 || 위키백과 || 전주 경기전 정전 || || https://ko.wikipedia.org/wiki/전주_경기전_정전 |
|- | |- | ||
− | | 해설 || | + | | 해설 || 두산백과 || 전주 경기전[全州 慶基殿]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466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번째 줄: | 50번째 줄: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논문 || | + | | 논문 || 김철배, 「조선초기 태조진전의 건립과 경기전」, 『전북사학』(34), 전북사학회, 2009.04, pp.77~10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39314 |
− | |||
− | |||
|- | |- | ||
− | | | + | | 단행본 || 문화재청, 『전주 경기전 정전 : 정밀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1. |
+ | || 국회전자도서관 ||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controlNo=NONB1201236858 | ||
|- | |- | ||
|} | |} | ||
74번째 줄: | 64번째 줄: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 | + |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경기전"></iframe><br/>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경기전'"> |
</html> | </html>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분류:Place]] [[분류:박지윤]] |
2021년 10월 28일 (목) 18:13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인 어진을 봉안하고 제사를 지낸 진전(眞殿)으로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에 위치한다. 경기전은 왕조의 발상지라 여기는 전주에 세운 전각으로, 세종 때 붙인 이름이다. 건물은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던 것을 1614년(광해군6)에 중건하였으며, 태조의 어진(국보 317호)은 정전에 봉안되어 있다. 정전의 크기는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이다. 지대석(地臺石)과 면석(面石) 및 갑석(甲石)을 갖춘 기단 위에 세운 다포계(多包系) 형식의 맞배집으로, 그 전면 가운데에는 1칸 규모의 기단을 돌출시켜 쌓고 그 위에 첨각(添閣)을 세워 배례청을 설치했는데, 마치 능침(陵寢)의 정자각(丁字閣)과 같은 형상이다. 이 첨각 기단의 3면에는 벽돌을 깐 보도를 연결해 놓았다. 지금 남아있는 경기전 조경묘 도형의 그림에 따르면, 지금은 없어진 전사청(典祀廳)·동재·서재·수복방·제기고 등 부속건물들과 별전이 따로 있는 광범위한 성역이었다. 경기전에 봉안된 태조 어진은 1872년에 마지막으로 옮겨 그려진 것으로, 두 차례의 큰 전란 중에도 훼손되지 않고 보전되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전주_경기전 | Place | 사당 | 제사유적 | 경기전(慶基殿) | 경기전 | 慶基殿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경기전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태조_어진 | 전주_경기전 | isStoredIn | ||
전주_경기전 | 진전 | type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경기전(慶基殿)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80586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경기전(慶基殿)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경기전(慶基殿) | |
해설 | 위키백과 | 전주 경기전 정전 | https://ko.wikipedia.org/wiki/전주_경기전_정전 | |
해설 | 두산백과 | 전주 경기전[全州 慶基殿]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4663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김철배, 「조선초기 태조진전의 건립과 경기전」, 『전북사학』(34), 전북사학회, 2009.04, pp.77~10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39314 |
단행본 | 문화재청, 『전주 경기전 정전 : 정밀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1. | 국회전자도서관 |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controlNo=NONB1201236858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