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의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Web Resource) |
(→Web Resource)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8번째 줄: | 58번째 줄: | ||
|- | |- |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심의(深衣)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심의(深衣)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심의(深衣)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심의(深衣) | ||
+ | |- | ||
+ | | 참고 || 경기도박물관 > 유물 || 방령심의 착용 모습 초상 || || https://musenet.ggcf.kr/relics/relicsView/61a076805f9e02419801a967 | ||
|- | |- | ||
| 참고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소장품 || 이익정(1699-1782) 심의 || 밀창군의 아들 이익정(1699-1782) 묘에서 출토된 심의 || https://museum.dankook.ac.kr/web/museum/-15?p_p_id=Relic_WAR_museumportlet&_Relic_WAR_museumportlet_RELIC_NB=B008865&_Relic_WAR_museumportlet_action=view_message | | 참고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소장품 || 이익정(1699-1782) 심의 || 밀창군의 아들 이익정(1699-1782) 묘에서 출토된 심의 || https://museum.dankook.ac.kr/web/museum/-15?p_p_id=Relic_WAR_museumportlet&_Relic_WAR_museumportlet_RELIC_NB=B008865&_Relic_WAR_museumportlet_action=view_message | ||
65번째 줄: | 67번째 줄: | ||
| 참고 || Google Arts & Culture || 이익정(1699-1782) 심의 || 밀창군의 아들 이익정(1699-1782) 묘에서 출토된 심의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9wGwUVGKV76mtw?childAssetId=9AExgm8UvGawfA&hl=ko | | 참고 || Google Arts & Culture || 이익정(1699-1782) 심의 || 밀창군의 아들 이익정(1699-1782) 묘에서 출토된 심의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9wGwUVGKV76mtw?childAssetId=9AExgm8UvGawfA&hl=ko | ||
|- | |- | ||
− | | 참고 || Google Arts & Culture || 심의 복원품 || | + | | 참고 || Google Arts & Culture || 심의 복원품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이익정(1699-1782) 심의를 복원한 것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심의-미상/9wGwUVGKV76mtw?hl=ko |
|- | |- | ||
|} | |} |
2022년 12월 30일 (금) 11:31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심의(深衣)는 유학자의 법복(法服)으로, 조선시대의 유학자들이 즐겨 평상시 입었으며 관례복으로는 물론, 수의, 제복 등 다양한 용도로 착용하였다. 심의는 백세포(白細布)를 재단하여 만드는데 상의(上衣)는 4폭으로 만들고, 하상(下裳)은 12폭으로 만들며, 길이는 발목에 이른다. 깃은 직령(直領) 또는 방령(方領)으로 만들고, 깃과 도련, 수구에 흑연을 두른다. 심의에는 검정 선을 두른 대대(大帶)를 두르고, 동심결로 맨 대대의 매듭 부분에는 오색사(五色絲)로 짠 채조(采絛)를 묶어 늘어뜨렸다.[1]
+ 심의대에 대한 자세한 내용 추가. 정혜경, 『심의』,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8, 203쪽. : 사례편람의 대대도. 사례편람에서는 허리를 두 번 두르고 양 귀와 신()에 모두 연()을 하는 등 조금씩 차이가 있다. 그리고 조선시대 초상화 가운데 심의에 두른 대의 모습도 다음의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ㅇ전체가 흰색인 것 (2)전체가 검은 색인 것 (3)늘어뜨려진 부분(신)에만 검은색 연()이 있는 것 (4)양 귀와 신()에 검은 색 연()이 있는 것(조()의 길이가 신()과 나란한 것과 신()보다 짧은 것 2종류가 있다) (5)전체에 검은 색 연()이 있는 것이 있다. (1)(2)의 유형은 대가 없으면 평상시의 것으로 대신한다는 데 근거한 것으로 여겨지며 (3)의 유형은 조선 초기에 많이 보이는 것으로 주자()의 설에 따른 것이며 직령심의 유물 대에도 역시 신()에만 검은 색 연()이 있다. (4)의 유형은 대부()의 대, (5)의 유형은 제?( ?)의 대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조선 후기로 갈수록 (4)(5)유형이 많아져 계층에 따른 제한성이 약해졌음을 알 수 있다.
+ 채조 한문 '채' 확인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심의대 | Clothing | 복식 | 허리띠 | 심의대(深衣帶) | 심의대 | 深衣帶 | Simeui-dae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심의대 | 2022:김현승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심의대 | 3D-심의대 | isShownBy | ||
3D-심의대 | 심의대 | hasReferenceNote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소장품 ☞ 심의 | 3D-심의대 | references | 대대와 조대를 묶은 유물사진 크기(㎝): 대대 길이 350, 대대 너비 10, 조대 길이 230 재료: 실크 색상: 대대-흰색, 검은색 / 조대-흰색, 검은색, 파란색, 붉은색, 노란색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 유물은 많이 낡은 것이므로, 3D 재현시에는 새 것 처럼 표현한다.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소장품 ☞ 심의 | 3D-심의대 | references | 심의에 심의대를 착용한 모습 먼저 ‘대대’로 허리에 맨 다음, 실로 엮어 만든 ‘조대’로 ‘대대’가 풀리지 않도록 가운데를 묶는다. 3D로 재현할 때에는 허리에 둘러 매었을 때, ‘대대’와 ‘조대’가 발목길이 만큼 오도록 길이를 조정한다. ‘대대’는 흰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테두리가 둘러져 있다. 다만, 허리를 묶는 부분에만 검은색 테두리가 없다. ‘조대’는 5가지 색(흰색, 검은색, 파란색, 붉은색, 노란색)실을 꼬아 만든 끈이다. 유물사진 속 유물은 색이 모두 날아간 상태이므로 재현품 사진을 참고하여 묶은 모습과 색상을 표현한다. |
Web Resource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SBN:9788970924588 | 단행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조선시대 우리 옷의 멋과 유행』, 단국대학교출판부, 2011.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136013463&viewType=AH1 | |
RISS:T15366669 | 논문 | 김다은, 「조선시대 심의유형의 변천양상과 요인」,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RISS | http://www.riss.kr/link?id=T15366669 |
KCI:ART002103374 | 논문 | 박봉순·장인우, 「청조색을 활용한 조선후기 조대의 재현 -청주출토 김원택(1683-1766)일가 조대 중심-」, 『복식』 66-3, 한국복식학회, 20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03374 |
RISS:A102253337 | 논문 | 조효순, 「조선시대 심의 구성시론 -박규수의 외복고를 중심으로-」, 『복식』 27, 한국복식학회, 1996.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2253337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88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