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의-생원진사 방방복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재현물 제작 정보)
(Web Resource)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79번째 줄: 79번째 줄:
 
|-
 
|-
 
| 해설 || AKS Encyves || 단령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단령
 
| 해설 || AKS Encyves || 단령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단령
 +
|-
 +
| 참고 || Google Arts & Culture || 16세기 단령 || 경기도박물관 소장 16세기 유물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단령-團領/nAHZ-EGfDAlCOA?hl=ko
 +
|-
 +
| 참고 || Google Arts & Culture || 16세기 단령 재현 || 경기도박물관 소장 16세기 유물 재현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단령-團領-재현/awH7Pilux1Q1xQ?hl=ko
 +
|-
 +
| 참고 || Google Arts & Culture || 정응두(1508-1572) 묘 출토 단령 ||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단령-미상/TQG9f5KE_tH0Wg?hl=ko
 +
|-
 +
| 참고 || Google Arts & Culture || 정응두(1508-1572) 묘 출토 단령 ||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iAGPFLDL43YV3w?childAssetId=2gFQbcTW17piWw&hl=ko
 
|-
 
|-
 
|}
 
|}
89번째 줄: 97번째 줄: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SBN:9788928504497 || 단행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민속원 ||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93284909
+
| ISBN:9788928504497 || 단행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 ||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93284909
|-
 
| ISBN:9788928509058 || 단행본 || 난사전통복식문화재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 민속원 ||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84545609
 
|-
 
| 단국대학교평생교육원전통복식과정17기:2012:전통손바느질맛멋 || 단행본 ||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전통복식과정 17기, 『전통 손바느질 맛·멋』,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12. ||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
 
 
|-
 
|-
 
| RISS:T15055096 || 논문 || 진덕순, 「조선 유생의 문과 급제와 복식문화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RISS || http://www.riss.kr/link?id=T15055096
 
| RISS:T15055096 || 논문 || 진덕순, 「조선 유생의 문과 급제와 복식문화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RISS || http://www.riss.kr/link?id=T15055096

2022년 12월 28일 (수) 11:43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조선 초기 생원·진사의 방방(放榜) 복식은 연두건(軟頭巾)과 청의(靑衣)를 착용하도록 규정하였다.[1] 청의는 흑단령으로 볼 수 있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Clothing 복식 청의-생원진사 방방복식(靑衣-生員進士放榜服) 청의-생원진사 방방복식 靑衣-生員進士放榜服 Cheong-ui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2022:김현승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3D-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isShownBy
3D-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hasReferenceNote
조선전기_생원진사_방방복식 유건 hasPart
조선전기_생원진사_방방복식 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hasPart
조선전기_생원진사_방방복식 조대 hasPart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이은주·진덕순, 「조선시대 생원·진사의 방방 복식제도」, 『국학연구』 45, 한국국학진흥원, 2021. 3D-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references 이응태(李應台, 1556∼1586) 묘 출토복식 앞모습
크기(㎝): 뒷길이 138, 앞길이 130, 화장 140, 품 74, 고대 18
재료: 면(Cotton)
색상: 짙은 청색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 복식 3D 모델링 사이즈는 3D 마네킹 크기에 맞게 제시한다.
※ 유물은 색도 많이 빠지고, 낡은 옷이다. 3D는 새 옷으로 표현한다.
※ 자세한 형태는 아래의 도식화를 참고한다.
김현승 일러스트: 도식화 및 사이즈 3D-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references 상세 사이즈(㎝)
길이: 뒤 138 / 앞 130
화장: 140
품: 74
진동: 39
수구: 30
고대: 18
깃너비: 1.2
겨드랑이 밑길이: 5
고름: 너비 2 / 길이 31
※ 고름은 겉고름 2개, 속고름 1개가 달린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3D-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references 유물 펼친모습, 유물 뒷모습, 도식화
※ 앞이 짧고 뒤가 긴 옷이다.
※ 옷의 양쪽 옆선은 겨드랑이 아래 5㎝ 이하부터 벌어져 있다.








김현승 일러스트: 무 주름 제작 방법 3D-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references 1. 겨드랑이 옆선 아래쪽에 달리는 직사각형 부분을 ‘무’ 라고 한다.
2. 몸의 앞판과 뒷판, 왼쪽, 오른쪽에 각각 붙여 총 4개의 ‘무’가 달린다.
3. ‘무’는 일정 방식으로 접어 정리하는데 그 방법은 아래와 같다.
4. 먼저 윗 칸의 ‘⑩ 무 주름 제작 방법 (도식화)’의 ① 과 같이 접는다.
5. ⑩-② 와 같이 작게 접은 부분을 옷 안쪽으로 넣는다.
6. ⑩-③ 작게 접은 윗부분(노란색 표시)을 옷 안쪽에 붙여 고정시킨다. (아랫부분은 고정시키지 않음.)
7. ⑩-④ 바깥쪽에 남은 무를 반으로 접는다.
8. ⑩-⑤ 접은 윗부분(붉은색 표시)을 바느질한다. (아랫부분은 하지 않음.)
9. ⑩-⑥ 윗부분에서 삼각형을 이루도록 사선으로 접어 주름을 잡는다.
10. ⑩-⑦ 삼각형을 안쪽으로 밀어넣는다. (아래 사진처럼 안쪽으로 삼각형 접기.)
김현승 촬영: 무 주름 제작 방법 3D-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references (무 주름 제작 방법을 종이로 접어 예시로 보여줌)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3D-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references 유물의 무를 펼친 모습과 접은 모습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전통복식과정 17기, 『전통 손바느질 맛·멋』,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12. 3D-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references 고름 형태 참고용 복제품 사진
※ 겉고름은 위, 아래로 2개가 달린다.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전통복식과정 17기, 『전통 손바느질 맛·멋』,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12. 3D-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references 복제품 깃 형태
※ 깃은 사진처럼 매듭단추로 고정시킨다.
난사전통복식문화재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3D-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references 착장모습 참고(앞, 옆, 뒤)
착장시 형태와 길이감을 참고한다. 옷감의 색상, 무늬, 허리띠 등은 참고하지 않는다.
이 옷은 가장 겉옷이고 안에 여러벌의 옷을 겹쳐입으므로, 3D 마네킹에 착장시 바디라인이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페이스북 ☞ 차귀미 (2021.04.07.) 3D-청의-생원진사_방방복식 references "3D로 제작할 옷과 비슷한 형태와 크기의 옷을 실물로 제작한 모습이다.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 같아 첨부한다.
원단의 색상과 질감도 이 사진과 같은 짙은 청색의 면원단으로 표현한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단령(團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3569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단령(團領)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928
해설 위키백과 단령 https://ko.wikipedia.org/wiki/단령
해설 두산백과 단령[團領]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5502
해설 위키실록사전 단령(團領)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단령(團領)
해설 위키실록사전 흑단령(黑團領)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흑단령(黑團領)
해설 AKS Encyves 단령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단령
참고 Google Arts & Culture 16세기 단령 경기도박물관 소장 16세기 유물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단령-團領/nAHZ-EGfDAlCOA?hl=ko
참고 Google Arts & Culture 16세기 단령 재현 경기도박물관 소장 16세기 유물 재현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단령-團領-재현/awH7Pilux1Q1xQ?hl=ko
참고 Google Arts & Culture 정응두(1508-1572) 묘 출토 단령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단령-미상/TQG9f5KE_tH0Wg?hl=ko
참고 Google Arts & Culture 정응두(1508-1572) 묘 출토 단령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iAGPFLDL43YV3w?childAssetId=2gFQbcTW17piWw&hl=ko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9788928504497 단행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분홍 단령의 비밀』, 민속원, 2015.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93284909
RISS:T15055096 논문 진덕순, 「조선 유생의 문과 급제와 복식문화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RISS http://www.riss.kr/link?id=T15055096
KCI:ART002743861 논문 이은주·진덕순, 「조선시대 생원·진사의 방방 복식제도」, 『국학연구』 45, 한국국학진흥원, 202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43861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세종실록』 권67, 세종 17년 2월 25일 정묘: 예조에서 생원 방방의주를 수정하여 바치다
  2. 진덕순, 「조선 유생의 문과 급제와 복식문화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81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