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4-02B"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 #Links E2022-R4-02B 동관왕묘 hasContextualElement #End --> =''' 동관왕묘(東關王廟)는 무엇일까? 》 이방의 신(神)에 대한 조선인의...)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Links
 
#Links
 
E2022-R4-02B 동관왕묘 hasContextualElement
 
E2022-R4-02B 동관왕묘 hasContextualElement
 +
E2022-R4-02B 관우 hasContextualElement
 +
E2022-R4-02B 관왕묘 hasContextualElement
 +
E2022-R4-02B 임진왜란 hasContextualElement
  
 
#End
 
#End
8번째 줄: 11번째 줄:
  
 
==Story==
 
==Story==
반응, 태도 등
+
조선인들의 반응은 대체로 어색했다. 명(明)의 장수 진유격(陳遊擊)의 '이 일은 우리를 위해 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귀국의 대사(大事)를 위하여 한 것이므로 그 뜻을 국왕께서도 꼭 아셔야 할 것이다.'(此事非爲我也, 正爲貴國大事。 此意國王不可不知。)<ref>조선왕조실록 중 "선조실록" 99권,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06), 선조 31년 4월 25일 기묘 4번째, https://sillok.history.go.kr/id/kna_13104025_004.</ref>라는 말에 대한 접반관(接伴官) 이흘(李忔)의 반응은  '대체로 유격이 사당을 건립하는 일에 매우 열성이고 감독도 친히 하면서 관왕(關王)의 영험에 대한 말을 많이 하였는데, 말이 너무 허황되어 낱낱이 아뢸 수는 없으나'(大槪遊擊於立廟一事, 極其誠悃, 親自監董, 多言關王靈驗之事, 而涉於虛誕, 不敢一一陳達矣,)<ref>Ibid.</ref>였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8번째 줄: 20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 [[E2022-R4-02B]] || Story || Episode ||  || ㅇㅇ ||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4-02B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episode.png"/></html> || 2022:지해인
+
| [[E2022-R4-02B]] || Story || Episode ||  || 이방의 신(神)에 대한 조선인의 반응 ||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4-02B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episode.png"/></html> || 2022:지해인
 
|-
 
|-
 
|}
 
|}
29번째 줄: 31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E2022-R4-02A]] || [[ㅇㅇ]] || [[isRelatedTo]] || ||  
+
| [[E2022-R4-02B]] || [[관우]] || [[isRelatedTo]] || ||
 +
|-
 +
| [[E2022-R4-02B]] || [[관왕묘]] || [[isRelatedTo]] || ||
 +
|-
 +
| [[E2022-R4-02B]] || [[동관왕묘]] || [[isRelatedTo]] || ||  
 
|-
 
|-
| [[E2022-R4-02A]] || [[동관왕묘]] || [[isRelatedTo]] || ||
 
 
|}
 
|}
  
41번째 줄: 46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참고 || 경로1 > 경로2 || 표제어 || https://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관왕묘(關王廟)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4948
 +
|-
 +
| 참고 || 우리역사넷 > 교양 우리 역사 > 한국문화사 || 관왕묘에 대한 조선인의 태도 ||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view.do?levelId=km_007_0060_0010_0010_0020
 +
|-
 
|}
 
|}
  
63번째 줄: 71번째 줄:
 
==Story Network Graph==
 
==Story Network Graph==
  
{{StoryGraph | key=ㅇㅇㅇ}}
+
{{StoryGraph | key=E2022-R4-02B}}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Story]] [[분류:2022:지해인]]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Story]] [[분류:2022:지해인]]

2022년 12월 15일 (목) 22:59 기준 최신판

동관왕묘(東關王廟)는 무엇일까? 》 이방의 신(神)에 대한 조선인의 반응

Story

조선인들의 반응은 대체로 어색했다. 명(明)의 장수 진유격(陳遊擊)의 '이 일은 우리를 위해 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귀국의 대사(大事)를 위하여 한 것이므로 그 뜻을 국왕께서도 꼭 아셔야 할 것이다.'(此事非爲我也, 正爲貴國大事。 此意國王不可不知。)[1]라는 말에 대한 접반관(接伴官) 이흘(李忔)의 반응은 '대체로 유격이 사당을 건립하는 일에 매우 열성이고 감독도 친히 하면서 관왕(關王)의 영험에 대한 말을 많이 하였는데, 말이 너무 허황되어 낱낱이 아뢸 수는 없으나'(大槪遊擊於立廟一事, 極其誠悃, 親自監董, 多言關王靈驗之事, 而涉於虛誕, 不敢一一陳達矣,)[2]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E2022-R4-02B Story Episode 이방의 신(神)에 대한 조선인의 반응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4-02B 2022:지해인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022-R4-02B 관우 isRelatedTo
E2022-R4-02B 관왕묘 isRelatedTo
E2022-R4-02B 동관왕묘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왕묘(關王廟)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4948
참고 우리역사넷 > 교양 우리 역사 > 한국문화사 관왕묘에 대한 조선인의 태도 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view.do?levelId=km_007_0060_0010_0010_0020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조선왕조실록 중 "선조실록" 99권,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06), 선조 31년 4월 25일 기묘 4번째, https://sillok.history.go.kr/id/kna_13104025_004.
  2. Ibid.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