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ontextual Relations) |
(→Definition)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 ||
+ | + [[요질]] 수정사항 참고하여 수정. | ||
+ | |||
+ | 상례복은 상중에 있는 상제가 입는 옷으로, 입관 이후 담제(詭祭)까지 입는다. 남성용 관(冠), 수질(首巢), 최의(衰衣), 최상(衰裳), 요질(腰巢), 장(杖), 신[履]으로 일습을 이룬다. 머리에 쓰는 것은 굴건(屈巾)과 수질이 한 틀이 된다. 수질은 머리에 두르는 둥근 테이다. 짚과 삼껍질을 길게 꼬아 엮어서 원형으로 만들고, 양쪽 귀퉁이를 모아 삼껍질로 묶어 매듭 처리를 한다. 군데 군데 삼베 조각과 삼껍질을 끼워 넣었다. 최의는 상복의 웃옷으로 가슴에 최를 달았다. 최상은 앞이 세 폭, 뒤가 네 폭인 치마이다. 허리에는 삼을 꼬아 만든 요질을 하고 지팡이를 짚었다. 종아리에 삼베로 만든 행전을 차며, 다듬지 않은 짚신과 삼으로 된 신을 신었다.<ref>국립민속박물관, 『한민족역사문화도감 의생활』, 국립민속박물관, 2005, 213쪽.</ref>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8번째 줄: | 11번째 줄: | ||
===Node Description=== | ===Node Description===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 +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 !! note |
|- | |- | ||
| 수질 || Clothing || 복식 || 쓰개 || 수질(首絰) || 수질 || 首絰 || Su-jil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수질 || <html><img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con/3D/2022/복식/복식-074_수질.png" width="100"/></html> || 2022:김현승 | | 수질 || Clothing || 복식 || 쓰개 || 수질(首絰) || 수질 || 首絰 || Su-jil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수질 || <html><img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con/3D/2022/복식/복식-074_수질.png" width="100"/></html> || 2022:김현승 | ||
31번째 줄: | 34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 | ||
− | | 국립민속박물관 · 천안박물관, 『모자, 품격의 완성』, 2017. || 3D-수질 || [[references]] || 크기(㎝): 지름 30 <br/>상복을 입을 때 머리에 두르는 둥근 테이다. 짚과 삼껍질을 길게 꼬아 엮어서 원형으로 만들고, 양쪽 귀퉁이를 모아 삼껍질로 묶어 매듭 처리를 한다. 군데 군데 삼베 조각과 삼껍질을 끼워 넣었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74_수질_01.jpg"/></html> | + | | 국립민속박물관 · 천안박물관, 『모자, 품격의 완성』, 2017. || 3D-수질 || [[references]] || 크기(㎝): 지름 30 <br/>상복을 입을 때 머리에 두르는 둥근 테이다. 짚과 삼껍질을 길게 꼬아 엮어서 원형으로 만들고, 양쪽 귀퉁이를 모아 삼껍질로 묶어 매듭 처리를 한다. 군데 군데 삼베 조각과 삼껍질을 끼워 넣었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74_수질_01.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74_수질_01.jpg"/></a></html> |
|- | |- | ||
|} | |} |
2022년 12월 20일 (화) 16:16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 요질 수정사항 참고하여 수정.
상례복은 상중에 있는 상제가 입는 옷으로, 입관 이후 담제(詭祭)까지 입는다. 남성용 관(冠), 수질(首巢), 최의(衰衣), 최상(衰裳), 요질(腰巢), 장(杖), 신[履]으로 일습을 이룬다. 머리에 쓰는 것은 굴건(屈巾)과 수질이 한 틀이 된다. 수질은 머리에 두르는 둥근 테이다. 짚과 삼껍질을 길게 꼬아 엮어서 원형으로 만들고, 양쪽 귀퉁이를 모아 삼껍질로 묶어 매듭 처리를 한다. 군데 군데 삼베 조각과 삼껍질을 끼워 넣었다. 최의는 상복의 웃옷으로 가슴에 최를 달았다. 최상은 앞이 세 폭, 뒤가 네 폭인 치마이다. 허리에는 삼을 꼬아 만든 요질을 하고 지팡이를 짚었다. 종아리에 삼베로 만든 행전을 차며, 다듬지 않은 짚신과 삼으로 된 신을 신었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 | note |
---|---|---|---|---|---|---|---|---|---|---|
수질 | Clothing | 복식 | 쓰개 | 수질(首絰) | 수질 | 首絰 | Su-jil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수질 | 2022:김현승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수질 | 3D-수질 | isShownBy | |
3D-수질 | 수질 | hasRefernceNote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국립민속박물관 · 천안박물관, 『모자, 품격의 완성』, 2017. | 3D-수질 | references | 크기(㎝): 지름 30 상복을 입을 때 머리에 두르는 둥근 테이다. 짚과 삼껍질을 길게 꼬아 엮어서 원형으로 만들고, 양쪽 귀퉁이를 모아 삼껍질로 묶어 매듭 처리를 한다. 군데 군데 삼베 조각과 삼껍질을 끼워 넣었다. |
Web Resource
참고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 상관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056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일생의례사전 | 수질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276 | |
참고 | 국립민속박물관 | 수질 | https://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900120600000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SBN:9788997733125 | 단행본 | 국립민속박물관·천안박물관, 『모자, 품격의 완성』, 국립민속박물관, 2017. | 국립민속박물관 | https://www.nfm.go.kr/user/publbook/home/1232/selectPublBookView.do?publBookIdx=7887 |
Notes
- ↑ 국립민속박물관, 『한민족역사문화도감 의생활』, 국립민속박물관, 2005, 213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