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자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Semantic Data)
(Definition)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clickable button | [[2022 3D모델링-복식]]}}
 +
 
==Definition==  
 
==Definition==  
 +
 +
+ 야자대 개념 정의 먼저 작성하기.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0826&docId=2021419&categoryId=50826 "착용 후의 모습이 한자의 ‘也’자처럼 생긴 허리띠." 이 내용부터 써주기.
 +
 +
+ 조선시대 공복에 착용하던 대이다. 뒤로 늘어뜨린 모습이 마치 '야'자 처럼 보인다 하여 야자대라고 한다. 착용 후의 모습이 한자의 ‘也’자처럼 생긴 허리띠.
 +
 +
+ 야자대는 공복에 복두와 함께 착용하기도 하고, 조선시대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녹공복을 입고 띠기도 한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0942&docId=1123898&categoryId=33383
  
 
조선시대의 과거제는 태조에 의해 기본 방향이 세워지고 세종대에 이르러서 제도가 정립된다. 성종대에 발간된 『경국대전』에서 과거 제도가 구체적으로 법제화 되었으며, 이후 보완 개정하여 영조대에 『속대전』에 명시된다.<ref>진덕순, 「조선 유생의 문과 급제와 복식문화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3쪽.</ref> 과거시험의 결과가 나오면 합격자를 발표하는데 이를 방방(放榜)이라 하였다.<ref>진덕순(2019), 앞의 논문, 32쪽.</ref>
 
조선시대의 과거제는 태조에 의해 기본 방향이 세워지고 세종대에 이르러서 제도가 정립된다. 성종대에 발간된 『경국대전』에서 과거 제도가 구체적으로 법제화 되었으며, 이후 보완 개정하여 영조대에 『속대전』에 명시된다.<ref>진덕순, 「조선 유생의 문과 급제와 복식문화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3쪽.</ref> 과거시험의 결과가 나오면 합격자를 발표하는데 이를 방방(放榜)이라 하였다.<ref>진덕순(2019), 앞의 논문, 32쪽.</ref>
12번째 줄: 21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 [[야자대]] || Clothing || 복식 || 허리띠 || 야자대(也字帶) || 야자대 || 也字帶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야자대 || <html><img src="http://dh.aks.ac.kr/~hyunseung/hanyang/2022/icon/야자대.png" width="100"/></html> || 2022:김현승  
+
| 야자대 || Clothing || 복식 || 허리띠 || 야자대(也字帶) || 야자대 || 也字帶 || Yajadae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야자대 || <html><img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con/3D/2022/복식/복식-069_야자대.png" width="100"/></html> || 2022:김현승  
 
|-
 
|-
 
|}
 
|}
22번째 줄: 31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width:54%"
 
{|class="wikitable" style="width:54%"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야자대 || 3D-야자대 || [[isShownBy]] || ||
 +
|-
 +
| 3D-야자대 || 야자대 || [[hasReferenceNote]] || ||
 
|-
 
|-
 
| 문무과_방방복식 || 어사화_복두 ||  [[hasPart]] || ||
 
| 문무과_방방복식 || 어사화_복두 ||  [[hasPart]] || ||
42번째 줄: 55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류용환, 『동츈댱뎐』, 대전선사박물관, 2010. || 3D-야자대 || [[references]] || 크기(㎝): 길이 200, 너비 5 <br/>재료: 가죽, 비단(Silk) <br/>색상: 푸른색 비단, 검은색 장식 <br/>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9_야자대_01.jpg"/></html>  
+
| 류용환, 『동츈댱뎐』, 대전선사박물관, 2010. || 3D-야자대 || [[references]] || 크기(㎝): 길이 200, 너비 5 <br/>재료: 가죽, 비단(Silk) <br/>색상: 푸른색 비단, 검은색 장식 <br/>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9_야자대_01.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9_야자대_01.jpg"/></a></html>  
 
|-
 
|-
| 국립문화재연구소,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반디컴피앤씨, 2017. || 3D-야자대 || [[references]] || 전체가 파란색 비단이지만 등이 닿는 뒤의 안은 연두색 비단이다.(착장한 구조 일러스트에 연두색 부분 위치 표시)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9_야자대_02.jpg"/></html>  
+
| 국립문화재연구소,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반디컴피앤씨, 2017. || 3D-야자대 || [[references]] || 전체가 파란색 비단이지만 등이 닿는 뒤의 안은 연두색 비단이다.(착장한 구조 일러스트에 연두색 부분 위치 표시)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9_야자대_02.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9_야자대_02.jpg"/></a></html>  
 
|-
 
|-
| 정우택, 『조선전기 석가탄생도』, CAS 한국미술연구소, 2020. || 3D-야자대 || [[references]] || 야자대를 착용한 옆모습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9_야자대_03.jpg"/></html>  
+
| 정우택, 『조선전기 석가탄생도』, CAS 한국미술연구소, 2020. || 3D-야자대 || [[references]] || 야자대를 착용한 옆모습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9_야자대_03.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9_야자대_03.jpg"/></a></html>  
 
|-
 
|-
| 김아람 일러스트: 야자대 착용모습 참고용 || 3D-야자대 || [[references]] || 핑크색 부분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색을 다르게 했다. 전체와 같은 파란색이다. 등에 닿는 야자대 뒤의 안쪽은 연두색 비단이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9_야자대_04.jpg"/></html>  
+
| 김아람 일러스트: 야자대 착용모습 참고용 || 3D-야자대 || [[references]] || 핑크색 부분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색을 다르게 했다. 전체와 같은 파란색이다. 등에 닿는 야자대 뒤의 안쪽은 연두색 비단이다. || <html><a href="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9_야자대_04.jpg"><img width="120" src="http://dhlab.aks.ac.kr/~hyunseung/hanyang/2022/3DNote/복식069_야자대_04.jpg"/></a></html>  
 
|-
 
|-
 
|}
 
|}

2022년 12월 20일 (화) 16:01 기준 최신판

2022 3D모델링-복식

Definition

+ 야자대 개념 정의 먼저 작성하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0826&docId=2021419&categoryId=50826 "착용 후의 모습이 한자의 ‘也’자처럼 생긴 허리띠." 이 내용부터 써주기.
+ 조선시대 공복에 착용하던 대이다. 뒤로 늘어뜨린 모습이 마치 '야'자 처럼 보인다 하여 야자대라고 한다. 착용 후의 모습이 한자의 ‘也’자처럼 생긴 허리띠.
+ 야자대는 공복에 복두와 함께 착용하기도 하고, 조선시대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녹공복을 입고 띠기도 한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0942&docId=1123898&categoryId=33383 

조선시대의 과거제는 태조에 의해 기본 방향이 세워지고 세종대에 이르러서 제도가 정립된다. 성종대에 발간된 『경국대전』에서 과거 제도가 구체적으로 법제화 되었으며, 이후 보완 개정하여 영조대에 『속대전』에 명시된다.[1] 과거시험의 결과가 나오면 합격자를 발표하는데 이를 방방(放榜)이라 하였다.[2]
조선 후기 대과 급제자의 복식은 공복(公服)이다. 공복에는 복두(幞頭)와 야대(也帶)를 착용하고 홀(笏)과 흑화(黑靴) 등을 갖춘다.[3] 야자대는 띠돈이 장식되어 있는 길이가 긴 허리띠이다. 조선시대에는 문무백관뿐만 아니라 악사나 전악, 악공 등도 사용하였다.[4]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야자대 Clothing 복식 허리띠 야자대(也字帶) 야자대 也字帶 Yajadae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야자대 2022:김현승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야자대 3D-야자대 isShownBy
3D-야자대 야자대 hasReferenceNote
문무과_방방복식 어사화_복두 hasPart
문무과_방방복식 녹공복 hasPart
문무과_방방복식 야자대 hasPart
문무과_방방복식 목홀 hasPart
문무과_방방복식 흑피화 hasPart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류용환, 『동츈댱뎐』, 대전선사박물관, 2010. 3D-야자대 references 크기(㎝): 길이 200, 너비 5
재료: 가죽, 비단(Silk)
색상: 푸른색 비단, 검은색 장식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반디컴피앤씨, 2017. 3D-야자대 references 전체가 파란색 비단이지만 등이 닿는 뒤의 안은 연두색 비단이다.(착장한 구조 일러스트에 연두색 부분 위치 표시)
정우택, 『조선전기 석가탄생도』, CAS 한국미술연구소, 2020. 3D-야자대 references 야자대를 착용한 옆모습
김아람 일러스트: 야자대 착용모습 참고용 3D-야자대 references 핑크색 부분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색을 다르게 했다. 전체와 같은 파란색이다. 등에 닿는 야자대 뒤의 안쪽은 연두색 비단이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야자대(也字帶)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00
해설 AKS Encyves 야자대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야자대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9788994215013 단행본 류용환, 『동츈댱뎐』, 대전선사박물관, 2010. 대전선사박물관
ISBN:9788929911164 단행본 국립문화재연구소,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반디컴피앤씨, 2017. 반디컴피앤씨 https://portal.nrich.go.kr/kor/originalUsrView.do?menuIdx=1046&info_idx=8241
정우택:2020:조선전기석가탄생도 단행본 정우택, 『조선전기 석가탄생도』, CAS 한국미술연구소, 2020. CAS 한국미술연구소
RISS:T15055096 논문 진덕순, 「조선 유생의 문과 급제와 복식문화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RISS http://www.riss.kr/link?id=T15055096
KCI:ART002743861 논문 이은주·진덕순, 「조선시대 생원·진사의 방방 복식제도」, 『국학연구』 45, 한국국학진흥원, 202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43861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진덕순, 「조선 유생의 문과 급제와 복식문화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3쪽.
  2. 진덕순(2019), 앞의 논문, 32쪽.
  3. 진덕순(2019), 앞의 논문, 105쪽.
  4. 진덕순(2019), 앞의 논문, 118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