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clickable button|2022 3D모델링-물품}} ==Definition== 조선시대에 종묘의 정전과 영녕전 신실 문 밖에 진설되는 준소상에 올린 술항아리. <br/>...) |
(→Contextual Relations)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조선시대에 종묘의 정전과 영녕전 신실 문 밖에 진설되는 준소상에 올린 술항아리. <br/> | + | 조선시대에 종묘의 정전과 영녕전 신실 문 밖에 진설되는 준소상에 올린 벼 무늬가 새겨진 술항아리. <br/> |
− | 가을·겨울 제사의 신관례에 쓰이는 벼를 새긴 술동이이다. 강신 절차에 사용되는 울창주를 담는다. 종묘 제향에는 계이(鷄彛) · 조이(鳥彛) · 가이(斝彛) · 황이(黃彛) 4가지 종류의 이(彛)가 계절에 따라 달리 사용된다.<br/> | + | 가을·겨울 제사의 신관례에 쓰이는 벼를 새긴 술동이이다. 강신 절차에 사용되는 울창주를 담는다. 종묘 제향에는 [[계이]](鷄彛) · [[조이]](鳥彛) · [[가이]](斝彛) · [[황이]](黃彛) 4가지 종류의 이(彛)가 계절에 따라 달리 사용된다.<br/> |
내면이 깊은 통형 몸체의 양쪽 두 면에 두 개의 곡식무늬(벼 또는 수수)가 양각되어 있다. 곡식 낟알은 세로로 길쭉한 형태로 열을 맞추어 촘촘하게 배열하고 각각의 낟알을 도드라지게 표현하였다. <br/> | 내면이 깊은 통형 몸체의 양쪽 두 면에 두 개의 곡식무늬(벼 또는 수수)가 양각되어 있다. 곡식 낟알은 세로로 길쭉한 형태로 열을 맞추어 촘촘하게 배열하고 각각의 낟알을 도드라지게 표현하였다. <br/> | ||
조선 초 『세종실록 오례』(1454)와 『국조오례서례』(1474)에 나오는 가이에는 벼 문양이 그려져 있지 않은데, 이후 『제기도감의궤』(1612)부터는 벼이삭이 나란히 새겨진 가이가 등장한다. 『종묘의궤』(1706), 『경모궁의궤』(1784), 『춘관통고』(1788), 『태상향의도병』(1834-1835),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1866~1868), 『태상지』(1873)에 나타나는 가이는 모두 'U’자형 몸체에 문양이 새겨진 단순한 형태로 받침이 없이 준소상에 올려지기도 했다. <br/> | 조선 초 『세종실록 오례』(1454)와 『국조오례서례』(1474)에 나오는 가이에는 벼 문양이 그려져 있지 않은데, 이후 『제기도감의궤』(1612)부터는 벼이삭이 나란히 새겨진 가이가 등장한다. 『종묘의궤』(1706), 『경모궁의궤』(1784), 『춘관통고』(1788), 『태상향의도병』(1834-1835),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1866~1868), 『태상지』(1873)에 나타나는 가이는 모두 'U’자형 몸체에 문양이 새겨진 단순한 형태로 받침이 없이 준소상에 올려지기도 했다. <br/>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 | |- | ||
− | | [[가이]] || Object || 물품 || 제례 || 가이 || 가이 || 斝彛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가이 || <html><img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 | + | | [[가이]] || Object || 물품 || 제례 || 가이(斝彛) || 가이 || 斝彛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가이 || <html><img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con/3D/2022/물품/물품-016_가이.png" width="100"/></html> || 2022:이한나 |
|- | |- | ||
|} | |}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가이]] || | + | | [[가이]] || 3D-가이 || [[isShownBy]] || || |
|- | |- | ||
− | | | + | | 3D-가이 || [[가이]] || [[hasReferenceNote]] || || |
− | |||
− | |||
|- | |- | ||
| [[가이]] || [[가이대]] || [[goesWith]] || || | | [[가이]] || [[가이대]] || [[goesWith]] || || | ||
|- | |- | ||
− | | [[가이]] || [[ | + | | [[가이]] || [[울창주]] || [[goesWith]] || || |
− | |||
− | |||
|- | |- | ||
− | | [[가이]] || [[ | + | | [[가이]] || [[종묘제례_준소상-가을겨울]] || [[isPartOf]] || || |
|- | |- | ||
| [[가이]]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isDepictedIn]] || || | | [[가이]]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isDepictedIn]] || || | ||
55번째 줄: | 51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 |- | ||
− | | || 3D-가이 || [[references]] || || | + | | 대명집례 || 3D-가이 || [[references]] || [https://jsg.aks.ac.kr/viewer/viewIMok?dataId=K2-2147%7C004#node?depth=2&upPath=001&dataId=001 디지털장서각 ☞ 대명집례 > 004책, 본문 29면]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가이(대명집례).jpg"/></html> |
+ | |- | ||
+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3D-가이 || [[references]] || [https://www.gogung.go.kr/major50View.do?cultureSeq=00006971FY 국립고궁박물관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가이(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jpg"/></html> | ||
+ | |- | ||
+ | | "가이"(유물번호 종묘 7724), 국립고궁박물관 || 3D-가이 || [[references]] ||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23049YU&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국립고궁박물관 ☞ 가이(종묘7724)]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가이.jpg"/></html> | ||
+ | |- | ||
+ | | "가이"(유물번호 종묘 7724), 국립고궁박물관 || 3D-가이 || [[references]] || 측면<br/>[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23049YU&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국립고궁박물관 ☞ 가이(종묘7724)]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가이_앵글1.jpg"/></html> | ||
+ | |- | ||
+ | | "가이"(유물번호 종묘 7724), 국립고궁박물관 || 3D-가이 || [[references]] || 손잡이 디테일<br/>[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23049YU&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국립고궁박물관 ☞ 가이(종묘7724)]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가이_앵글2.jpg"/></html> | ||
+ | |- | ||
+ | | "가이"(유물번호 종묘 7724), 국립고궁박물관 || 3D-가이 || [[references]] || 드로잉<br/>[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23959YC&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EC%A2%85%EB%AC%987724 국립고궁박물관 ☞ 가이(종묘7724)]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가이(왕실문화도감).jpg"/></html> | ||
|- | |- | ||
|} | |} | ||
79번째 줄: | 85번째 줄: | ||
| ISBN:9788929903930 || 단행본 ||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https://librarian.nl.go.kr/LI/contents/L10501000000.do?rawid=293084&seojiyear=2014 | | ISBN:9788929903930 || 단행본 ||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https://librarian.nl.go.kr/LI/contents/L10501000000.do?rawid=293084&seojiyear=2014 | ||
|- | |- | ||
− | | ISBN:9788997748433 || 단행본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국가제례』, 국립고궁박물관, | + | | ISBN:9788997748433 || 단행본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국가제례』, 국립고궁박물관, 2016. || || https://librarian.nl.go.kr/LI/contents/L10501000000.do?rawid=8052057&seojiyear=2017 |
|- | |- | ||
|} | |} |
2022년 11월 28일 (월) 19:52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조선시대에 종묘의 정전과 영녕전 신실 문 밖에 진설되는 준소상에 올린 벼 무늬가 새겨진 술항아리.
가을·겨울 제사의 신관례에 쓰이는 벼를 새긴 술동이이다. 강신 절차에 사용되는 울창주를 담는다. 종묘 제향에는 계이(鷄彛) · 조이(鳥彛) · 가이(斝彛) · 황이(黃彛) 4가지 종류의 이(彛)가 계절에 따라 달리 사용된다.
내면이 깊은 통형 몸체의 양쪽 두 면에 두 개의 곡식무늬(벼 또는 수수)가 양각되어 있다. 곡식 낟알은 세로로 길쭉한 형태로 열을 맞추어 촘촘하게 배열하고 각각의 낟알을 도드라지게 표현하였다.
조선 초 『세종실록 오례』(1454)와 『국조오례서례』(1474)에 나오는 가이에는 벼 문양이 그려져 있지 않은데, 이후 『제기도감의궤』(1612)부터는 벼이삭이 나란히 새겨진 가이가 등장한다. 『종묘의궤』(1706), 『경모궁의궤』(1784), 『춘관통고』(1788), 『태상향의도병』(1834-1835),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1866~1868), 『태상지』(1873)에 나타나는 가이는 모두 'U’자형 몸체에 문양이 새겨진 단순한 형태로 받침이 없이 준소상에 올려지기도 했다.
이번에 가상재현한 가이는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유물로 『대명집례』에서 보이는 양 옆에 손잡이가 있는 모습을 기준으로 3D모델링 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가이 | Object | 물품 | 제례 | 가이(斝彛) | 가이 | 斝彛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가이 | 2022:이한나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가이 | 3D-가이 | isShownBy | ||
3D-가이 | 가이 | hasReferenceNote | ||
가이 | 가이대 | goesWith | ||
가이 | 울창주 | goesWith | ||
가이 | 종묘제례_준소상-가을겨울 | isPartOf | ||
가이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isDepictedIn | ||
가이 | 대명집례 | isDepictedIn | ||
가이 | 국립고궁박물관 | isStoredIn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대명집례 | 3D-가이 | references | 디지털장서각 ☞ 대명집례 > 004책, 본문 29면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3D-가이 | references | 국립고궁박물관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
"가이"(유물번호 종묘 7724), 국립고궁박물관 | 3D-가이 | references | 국립고궁박물관 ☞ 가이(종묘7724) | |
"가이"(유물번호 종묘 7724), 국립고궁박물관 | 3D-가이 | references | 측면 국립고궁박물관 ☞ 가이(종묘7724) |
|
"가이"(유물번호 종묘 7724), 국립고궁박물관 | 3D-가이 | references | 손잡이 디테일 국립고궁박물관 ☞ 가이(종묘7724) |
|
"가이"(유물번호 종묘 7724), 국립고궁박물관 | 3D-가이 | references | 드로잉 국립고궁박물관 ☞ 가이(종묘7724)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국립고궁박물관 | 가이 |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cultureSeq=00019057NK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제기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1247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SBN:9788929903930 | 단행본 |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국립고궁박물관, 2014. | https://librarian.nl.go.kr/LI/contents/L10501000000.do?rawid=293084&seojiyear=2014 | |
ISBN:9788997748433 | 단행본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국가제례』, 국립고궁박물관, 2016. | https://librarian.nl.go.kr/LI/contents/L10501000000.do?rawid=8052057&seojiyear=2017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