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5-18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Links E2022-R5-18A 대사례 hasContextualElement E2022-R5-18A 습의 hasContextualElement E2022-R5-18A 조선_영조 hasContextualElement E2022-R5-18A 왕의_상복 hasContextu...) |
(→Contextual Relations)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Links | #Links | ||
E2022-R5-18A 대사례 hasContextualElement | E2022-R5-18A 대사례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5-18A | + | E2022-R5-18A 대사례_습의 hasContextualElement |
E2022-R5-18A 조선_영조 hasContextualElement | E2022-R5-18A 조선_영조 hasContextualElement | ||
E2022-R5-18A 왕의_상복 hasContextualElement | E2022-R5-18A 왕의_상복 hasContextualElement | ||
E2022-R5-18A 백관의_상복 hasContextualElement | E2022-R5-18A 백관의_상복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5-18A | + | E2022-R5-18A 창경궁_춘당대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5-18A 창덕궁_영화당 hasContextualElement | E2022-R5-18A 창덕궁_영화당 hasContextualElement | ||
#End | #End | ||
18번째 줄: | 17번째 줄: | ||
이 활쏘기 의례는 과녁을 맞추는 데 의미를 두는 것이 아니라, 활을 쏘는 사람의 몸가짐을 통해 그 덕행을 관찰하여 인재를 선발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었다.<ref>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9쪽, 32-36쪽.</ref> 그러나 워낙 문신들 중에는 활을 쏠 줄 모르는 사람도 많았고, 무신들도 실수를 범하여 의례를 행할 때 모양을 제대로 갖추지 못할 것을 염려한 영조는 사전에 연습을 진행하도록 지시하였다.<br/> | 이 활쏘기 의례는 과녁을 맞추는 데 의미를 두는 것이 아니라, 활을 쏘는 사람의 몸가짐을 통해 그 덕행을 관찰하여 인재를 선발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었다.<ref>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9쪽, 32-36쪽.</ref> 그러나 워낙 문신들 중에는 활을 쏠 줄 모르는 사람도 많았고, 무신들도 실수를 범하여 의례를 행할 때 모양을 제대로 갖추지 못할 것을 염려한 영조는 사전에 연습을 진행하도록 지시하였다.<br/> | ||
− | 예행 연습(습의, 習儀)은 3번 하도록 했는데, 첫 번째와 두 번째 습의는 춘당대에서 집사관과 사관만 참여하여 행하도록 하였고, 세 번째 습의는 | + | 예행 연습(습의, 習儀)은 3번 하도록 했는데, 4월 30일 첫 번째와 두 번째 습의는 춘당대에서 집사관과 사관만 참여하여 행하도록 하였고, 세 번째 습의는 창덕궁 영화당에서 행해졌다.<br/> |
습의 복장은 영조와 백관 모두 평상시 집무복인 상복(常服)을 입었다. 왕의 상복은 익선관과 곤룡포로 구성되고, 백관의 상복은 사모와 흑단령으로 구성된다. | 습의 복장은 영조와 백관 모두 평상시 집무복인 상복(常服)을 입었다. 왕의 상복은 익선관과 곤룡포로 구성되고, 백관의 상복은 사모와 흑단령으로 구성된다. | ||
−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43번째 줄: | 41번째 줄: | ||
| [[E2022-R5-18A]] || [[대사례]] || [[isRelatedTo]] || || | | [[E2022-R5-18A]] || [[대사례]] || [[isRelatedTo]] || || | ||
|- | |- | ||
− | | [[E2022-R5-18A]] || [[ | + | | [[E2022-R5-18A]] || [[대사례의궤]] || [[isRelatedTo]] || || |
+ | |- | ||
+ | | [[E2022-R5-18A]] || [[대사례_습의]] || [[isRelatedTo]] || || | ||
|- | |- | ||
| [[E2022-R5-18A]] || [[조선_영조]] || [[isRelatedTo]] || || | | [[E2022-R5-18A]] || [[조선_영조]] || [[isRelatedTo]] || || | ||
51번째 줄: | 51번째 줄: | ||
| [[E2022-R5-18A]] || [[백관의_상복]] || [[isRelatedTo]] || || | | [[E2022-R5-18A]] || [[백관의_상복]] || [[isRelatedTo]] || || | ||
|- | |- | ||
− | | [[E2022-R5-18A]] || [[ | + | | [[E2022-R5-18A]] || [[창경궁_춘당대]] || [[isRelatedTo]] || || |
− | |||
− | |||
|- | |- | ||
| [[E2022-R5-18A]] || [[창덕궁_영화당]] || [[isRelatedTo]] || || | | [[E2022-R5-18A]] || [[창덕궁_영화당]]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 [[조선_영조]] || [[대사례]] || [[participate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사례의궤]] || [[대사례]] || [[documents]] || || |
|- | |- | ||
− | | [[ | + | | [[대사례]] || [[대사례_습의]] || [[hasPart]] || || |
|- | |- | ||
− | | [[ | + | | [[대사례_습의]] || [[창경궁_춘당대]] || [[isHeldAt]] || || |
|- | |- | ||
− | | [[ | + | | [[대사례_습의]] || [[창덕궁_영화당]] || [[isHeldAt]] || || |
|- | |- | ||
− | | [[ | + | | [[왕의_상복]] || [[대사례_습의]] || [[isWornIn]] || || |
|- | |- | ||
− | | [[백관의_상복]] || [[ | + | | [[백관의_상복]] || [[대사례_습의]] || [[isWornIn]] || || |
|- | |- | ||
|} | |} |
2022년 12월 15일 (목) 03:44 기준 최신판
목차
영조의 대사례와 복식 》 집무복 입고 활쏘기 연습
Story
활쏘기는 원래 대예(大禮)의 하나로, 선비가 반드시 익혀야 할 기예로 인식되었다. 조선의 대사례는 성종 대에 제도적으로 정비되었지만, 매년 행해지지는 못한 것으로 보이며 중종 대인 1534년에 거행된 이후로 약 200년이 지난 뒤인 1743년 영조에 의해 다시 이루어졌다.
이 활쏘기 의례는 과녁을 맞추는 데 의미를 두는 것이 아니라, 활을 쏘는 사람의 몸가짐을 통해 그 덕행을 관찰하여 인재를 선발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었다.[1] 그러나 워낙 문신들 중에는 활을 쏠 줄 모르는 사람도 많았고, 무신들도 실수를 범하여 의례를 행할 때 모양을 제대로 갖추지 못할 것을 염려한 영조는 사전에 연습을 진행하도록 지시하였다.
예행 연습(습의, 習儀)은 3번 하도록 했는데, 4월 30일 첫 번째와 두 번째 습의는 춘당대에서 집사관과 사관만 참여하여 행하도록 하였고, 세 번째 습의는 창덕궁 영화당에서 행해졌다.
습의 복장은 영조와 백관 모두 평상시 집무복인 상복(常服)을 입었다. 왕의 상복은 익선관과 곤룡포로 구성되고, 백관의 상복은 사모와 흑단령으로 구성된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E2022-R5-18A | Story | Episode | 집무복 입고 활쏘기 연습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5-18A | 2022:김현승 |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 ↑ 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9쪽, 32-36쪽.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