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2022-R1-06"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Contextual Relations)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
 
#Links
 
#Links
S2022-R1-41 E2022-R1-41A hasPart
+
S2022-R1-06 E2022-R1-06A hasPart
S2022-R1-41 E2022-R1-41B hasPart
+
S2022-R1-06 E2022-R1-06B hasPart
S2022-R1-41 E2022-R1-41C hasPart
+
S2022-R1-06 E2022-R1-06C hasPart
S2022-R1-41 E2022-R1-41D hasPart
+
S2022-R1-06 E2022-R1-06D hasPart
 +
S2022-R1-06 E2022-R1-06E hasPart
  
 
#End
 
#End
12번째 줄: 13번째 줄:
  
 
==Story==  
 
==Story==  
‘창덕궁 규장각’은 정조가 즉위한 직후인 1776년(정조 즉위년) 3월에 세운 창덕궁 후원 부용지 건너편 두 채의 건물을 지칭한다.
+
정조는 즉위한 양력 1776년 월 일(음력 정조 즉위년 3월 10일) 바로 그 다음 날에 창덕궁 후원 북쪽에 ‘규장각(奎章閣)’건물을 세우라는 명령을 내렸다. 당시 그 건물의 이름은 임금님이 직접 지은 글을 보관하는 건물이라는 뜻의 어제각(御製閣)이었다.  
 
+
정조는 어째서 규장각 건립을 가장 시급한 일 중 하나로 꼽았을까? 그리고 그 건물을 어제각이라고 부른 것에는 어떤 의미가 있었을까? 
한 채는 2층 건물로 위층은 주합루(宙合樓), 아래층은 어제존각(御製尊閣)이라고 하였으며, 다른 한 채는 서향각(書香閣)이라는 서재 용도의 건물이었다.
+
어제각이라는 이름만을 두고 본다면 정조가 애초에 규장각을 통치기구로 발전시키려 하였던 징후는 없다. 여기서 규장각이 선대와 현재 국왕의 어제를 보관하는 국왕의 박물관 내지는 기록관에서 출발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규장각 제도는 어제(御製)를 존각(尊閣)에 보존하는 송대의 용도각(龍圖閣)이나 천장각(天章閣) 제도에서 연유하며 이는 조선에서 세조 조에 양성지(梁誠之)에 의해 건의된 바 있지만 시행되지는 못했고 숙종조에는 종정시(宗正寺)에 소각(小閣)을 세우고 어서한 ‘규장각’세 글자를 게시(揭示)하였다는 이력과도 부합한다. 소박한 의도에서 출발한 규장각은 이후 도서관으로, 학술연구 기관으로 급기야 일성록 등의 출판을 담당하고 초계문신을 교육하는 등 국왕 통치에 부응하는 다목적인 기구로 활용되었다.  
 
+
지금에 와서 돌이켜 보면 집현전이 없는 세종을 떠올릴 수 없듯이 정조의 정치에서 규장각을 떼어 놓고 생각하는 것은 아예 불가능하다. 규장각의 탄생부터 기능 확대를 통해 정조가 자신의 권력을 어떻게 관철시켜 나갔는지 그 궤적을 헤아려 본다.
어제존각에 자신의 어진과 어제를 보관하게 하고, 역대 선왕의 어진이나 어제를 보관하기 위해 별도의 건물인 봉모당(奉謨堂)을 만들도록 하였다. 
 
 
 
설치 초기 국왕의 글과 글씨 보관뿐 아니라 각종 서적을 수집하고 편찬하는 작업을 대대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왕실 도서관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나갔다. 이후 서적 편찬 기관으로 확대 변모하여 무엇보다 『일성록(日省錄)』을 편찬하는 일을 주관하였다.  
 
 
그리고 규장각은 초계문신들이 학문을 도야하는 장소도 겸하였고 나아가 학술 연구 및 정책연구기관으로서 변모해 나갔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7번째 줄: 23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width:98%"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 [[S2022-R1-06]] || Story || Storyline ||  || 창덕궁 규장각(奎章閣)과 정조 ||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S2022-R1-06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storyline.png"/></html> || 2022:김혁
 
| [[S2022-R1-06]] || Story || Storyline ||  || 창덕궁 규장각(奎章閣)과 정조 ||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S2022-R1-06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storyline.png"/></html> || 2022:김혁
40번째 줄: 36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S2022-R1-06]] || [[E2022-R1-06A]] || [[hasPart]] || 규장각 건립에 남긴 선대의 유산||  
+
| [[S2022-R1-06]] || [[E2022-R1-06A]] || [[hasPart]] || 규장각의 탄생과 정조의 건립 의도||  
 
|-
 
|-
 
| [[S2022-R1-06]] || [[E2022-R1-06B]] || [[hasPart]] || 우주의 원리를 담은 규장각 공간 ||  
 
| [[S2022-R1-06]] || [[E2022-R1-06B]] || [[hasPart]] || 우주의 원리를 담은 규장각 공간 ||  
 
|-
 
|-
| [[S2022-R1-06]] || [[E2022-R1-06C]] || [[hasPart]] || 다면적 문화 복합체로서의 규장각 ||  
+
| [[S2022-R1-06]] || [[E2022-R1-06C]] || [[hasPart]] || 규장각의 각신들 ||
 +
|-
 +
| [[S2022-R1-06]] || [[E2022-R1-06D]] || [[hasPart]] ||  규장각에서 태어난 책과 문서들 ||
 +
|-
 +
| [[S2022-R1-06]] || [[E2022-R1-06E]] || [[hasPart]] || 규장각에서 친히 기른 신하들, 초계문신 ||
 +
|-
 +
| [[E2022-R1-06A]] || [[E2022-R1-06B]] || [[isPreviousInSequenceTo]] || ||
 +
|-
 +
| [[E2022-R1-06B]] || [[E2022-R1-06C]] || [[isPreviousInSequenceTo]] || ||  
 
|-
 
|-
| [[S2022-R1-06]] || [[E2022-R1-06D]] || [[hasPart]] || 규장각이 품은 세계의 지식들 ||  
+
| [[E2022-R1-06C]] || [[E2022-R1-06D]] || [[isPreviousInSequenceTo]] || ||
 +
|-
 +
| [[E2022-R1-06D]] || [[E2022-R1-06E]] || [[isPreviousInSequenceTo]] || ||  
 
|-
 
|-
| [[S2022-R1-06]] || [[E2022-R1-06E]] || [[hasPart]] || 규장각에서 새로 태어난 책과 문서 ||
 
 
|}
 
|}
  
65번째 줄: 70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width:98%"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79번째 줄: 84번째 줄:
 
==Story Network Graph==
 
==Story Network Graph==
  
{{StoryGraph | key=S2022-R1-41}}
+
{{StoryGraph | key=S2022-R1-06}}
  
 
==Digital Storytelling Asset==
 
==Digital Storytelling Asset==
  
{{:S2022-R1-41-Asset}}
+
{{:S2022-R1-06-Asset}}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Story]] [[분류:2022:이효림]]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Story]] [[분류:2022:김혁]]

2022년 12월 18일 (일) 14:15 기준 최신판


창덕궁 규장각(奎章閣)과 정조

Story

정조는 즉위한 양력 1776년 월 일(음력 정조 즉위년 3월 10일) 바로 그 다음 날에 창덕궁 후원 북쪽에 ‘규장각(奎章閣)’건물을 세우라는 명령을 내렸다. 당시 그 건물의 이름은 임금님이 직접 지은 글을 보관하는 건물이라는 뜻의 어제각(御製閣)이었다. 정조는 어째서 규장각 건립을 가장 시급한 일 중 하나로 꼽았을까? 그리고 그 건물을 어제각이라고 부른 것에는 어떤 의미가 있었을까? 어제각이라는 이름만을 두고 본다면 정조가 애초에 규장각을 통치기구로 발전시키려 하였던 징후는 없다. 여기서 규장각이 선대와 현재 국왕의 어제를 보관하는 국왕의 박물관 내지는 기록관에서 출발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규장각 제도는 어제(御製)를 존각(尊閣)에 보존하는 송대의 용도각(龍圖閣)이나 천장각(天章閣) 제도에서 연유하며 이는 조선에서 세조 조에 양성지(梁誠之)에 의해 건의된 바 있지만 시행되지는 못했고 숙종조에는 종정시(宗正寺)에 소각(小閣)을 세우고 어서한 ‘규장각’세 글자를 게시(揭示)하였다는 이력과도 부합한다. 소박한 의도에서 출발한 규장각은 이후 도서관으로, 학술연구 기관으로 급기야 일성록 등의 출판을 담당하고 초계문신을 교육하는 등 국왕 통치에 부응하는 다목적인 기구로 활용되었다. 지금에 와서 돌이켜 보면 집현전이 없는 세종을 떠올릴 수 없듯이 정조의 정치에서 규장각을 떼어 놓고 생각하는 것은 아예 불가능하다. 규장각의 탄생부터 기능 확대를 통해 정조가 자신의 권력을 어떻게 관철시켜 나갔는지 그 궤적을 헤아려 본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S2022-R1-06 Story Storyline 창덕궁 규장각(奎章閣)과 정조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S2022-R1-06 2022:김혁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S2022-R1-06 E2022-R1-06A hasPart 규장각의 탄생과 정조의 건립 의도
S2022-R1-06 E2022-R1-06B hasPart 우주의 원리를 담은 규장각 공간
S2022-R1-06 E2022-R1-06C hasPart 규장각의 각신들
S2022-R1-06 E2022-R1-06D hasPart 규장각에서 태어난 책과 문서들
S2022-R1-06 E2022-R1-06E hasPart 규장각에서 친히 기른 신하들, 초계문신
E2022-R1-06A E2022-R1-06B isPreviousInSequenceTo
E2022-R1-06B E2022-R1-06C isPreviousInSequenceTo
E2022-R1-06C E2022-R1-06D isPreviousInSequenceTo
E2022-R1-06D E2022-R1-06E isPreviousInSequence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



Digital Storytelling Asset

S2022-R1-06-As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