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모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Definition)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정재 [[무산향]]을 추는 침상 형태의 무대. <br/>
+
[[정재_무산향]]을 추는 침상 형태의 무대. <br/>
정재 [[무산향]]은 무용수 한 명이 추는 독무로 대모반이라는 무대 위에서 공연을 한다. 대모반의 깊이는 7척, 높이는 1척 3촌, 넓이는 4척 6촌 5푼이다. 사방에 태평화가 그려져 있고, 그 위에 난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안쪽은 거북이 등껍질(대모玳瑁)무늬가 채색되어 있다. 세로보다 가로가 긴 형태이며 무용수는 이 위에서 좌우로 움직이거나 커다란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등의 춤사위를 한다.
+
[[정재 무산향]]은 무용수 한 명이 추는 독무로 대모반이라는 무대 위에서 공연을 한다. 대모반의 깊이는 7척, 높이는 1척 3촌, 넓이는 4척 6촌 5푼이다. 사방에 태평화가 그려져 있고, 그 위에 난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안쪽은 거북이 등껍질(대모玳瑁)무늬가 채색되어 있다. 세로보다 가로가 긴 형태이며 무용수는 이 위에서 좌우로 움직이거나 커다란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등의 춤사위를 한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4번째 줄: 24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대모반]] || [[3D-대모반]] ||  [[isShownBy]] || ||
+
| [[대모반]] || 3D-대모반 ||  [[isShownBy]] || ||
 
|-
 
|-
| [[3D-대모반]] || [[대모반]] ||  [[hasReferenceNote]] || ||
+
| 3D-대모반 || [[대모반]] ||  [[hasReferenceNote]] || ||
 
|-
 
|-
| [[대모반]] || [[무산향]] ||  [[isUsedIn]] || ||
+
| [[대모반]] || [[정재_무산향]] ||  [[isUsedIn]] || ||
|-
 
| [[대모반]] || 무대 || [[type]] || ||
 
 
|-
 
|-
 
| [[대모반]] || [[무자진작의궤:1828]] || [[isDepictedIn]] || ||
 
| [[대모반]] || [[무자진작의궤:1828]] || [[isDepictedIn]] || ||
54번째 줄: 52번째 줄:
 
| [[정해진찬도병]] || 3D-대모반  || [[references]] ||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5956  국립중앙박물관 ☞ 정해년의 궁중잔치]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정해진찬도(3-4폭)_대모반.jpg"/></html>  
 
| [[정해진찬도병]] || 3D-대모반  || [[references]] ||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5956  국립중앙박물관 ☞ 정해년의 궁중잔치]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정해진찬도(3-4폭)_대모반.jpg"/></html>  
 
|-
 
|-
| [[태평화문]] || 3D-대모반  || [[references]] || [https://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View.do?did=14964&gubun=    문화포털 > 형태별 문양 ☞ 태평화문]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대모반_태평화문양.jpg"/></html>  
+
| 태평화문 || 3D-대모반  || [[references]] || [https://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View.do?did=14964&gubun=    문화포털 > 형태별 문양 ☞ 태평화문]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대모반_태평화문양.jpg"/></html>  
 
|-
 
|-
| [[귀갑문]] || 3D-대모반  || [[references]] || 거북이 등껍질 모양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귀갑문양.jpg"/></html>  
+
| 귀갑문 || 3D-대모반  || [[references]] || 거북이 등껍질 모양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귀갑문양.jpg"/></html>  
 
|-
 
|-
 
|}
 
|}

2022년 12월 10일 (토) 10:42 기준 최신판

2022 3D모델링-물품

Definition

정재_무산향을 추는 침상 형태의 무대.
정재 무산향은 무용수 한 명이 추는 독무로 대모반이라는 무대 위에서 공연을 한다. 대모반의 깊이는 7척, 높이는 1척 3촌, 넓이는 4척 6촌 5푼이다. 사방에 태평화가 그려져 있고, 그 위에 난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안쪽은 거북이 등껍질(대모玳瑁)무늬가 채색되어 있다. 세로보다 가로가 긴 형태이며 무용수는 이 위에서 좌우로 움직이거나 커다란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등의 춤사위를 한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대모반 Object 물품 연향 대모반(玳瑁盤) 대모반 玳瑁盤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대모반 2022:이한나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대모반 3D-대모반 isShownBy
3D-대모반 대모반 hasReferenceNote
대모반 정재_무산향 isUsedIn
대모반 무자진작의궤:1828 isDepictedIn
대모반 정해진찬의궤:1887 isDepictedIn
대모반 정해진찬도병 isDepictedIn 3-4폭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왕실문화도감2_궁중악무』, 국립고궁박물관, 2014. 3D-대모반 references
무자진작의궤:1828 3D-대모반 references 장서각기록유산DB ☞ 무자진작의궤:1828 > 001책 > 54면
정해진찬의궤:1887 3D-대모반 references 디지털 장서각 ☞ 정해진찬의궤:1887 > 001책 > 033면
정해진찬도병 3D-대모반 references 국립중앙박물관 ☞ 정해년의 궁중잔치
태평화문 3D-대모반 references 문화포털 > 형태별 문양 ☞ 태평화문
귀갑문 3D-대모반 references 거북이 등껍질 모양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무산향(舞山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9078
해설 문화포털 > 예술지식백과 무산향(舞山香) https://www.culture.go.kr/knowledge/encyclopediaView.do?code_value=C&vvm_seq=5327&ccm_code=C011&ccm_subcode=C111
참고 국악아카이브 2015 토요명품공연: 종합 가형[05.09.] - 03. 무산향 http://archive.gugak.go.kr/portal/detail/searchVideoDetail?clipid=21096&system_id=AV&recording_type_code=V
참고 국립국악원 공식블로그 [국악상식] 정재 '무구' 알아보기-춘앵전의 "화문석" VS 무산향의 "대모반" https://m.blog.naver.com/gugak1951/220824049420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9788929905934 단행본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궁중악무』, 국립고궁박물관, 2014. https://librarian.nl.go.kr/LI/contents/L10501000000.do?rawid=219104&seojiyear=2015
RISS:M13915367 자료집 「제17회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학술심포지움」,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1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87648
KCI:ART001016177 논문 송미숙,「궁중정재의 미적비교 분석 -춘행전과 무산향을 중심으로」, 『한국 스포츠 리서치』17-3, 한국스포츠리서치, 200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16177
KCI:ART002093729 논문 손선숙,「의궤 정재도의 도상학적 연구(Ⅲ): <관동무>․<광수무>․<무산향>․<무애무>․<선유락>․<연화대무>․ <처용무>․<초무>․<춘앵전>․<침향춘>․<학무>․<향발무> 정재도를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40, 무용역사기록학회, 201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93729
KCI:ART002296892 논문 박승희, 심승구,「순조대 무동의 역할과 예술사적 의미」, 『한국무용연구』35-4, 한국무용연구학회, 201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96892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