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Web Resource)
(재현물 제작 정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2번째 줄: 52번째 줄:
 
| 정조부묘도감의궤:1802 || 3D-신련  || [[references]] || [https://visualjoseon.aks.ac.kr/viewer/view?itemId=jm&gubun=kw&dataId=K22260_001 장서각기록유산DB ☞ 정조부묘도감의궤:1802 > 반차도 (12면)]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정조부묘도감의궤_신련.jpg"/></html>  
 
| 정조부묘도감의궤:1802 || 3D-신련  || [[references]] || [https://visualjoseon.aks.ac.kr/viewer/view?itemId=jm&gubun=kw&dataId=K22260_001 장서각기록유산DB ☞ 정조부묘도감의궤:1802 > 반차도 (12면)]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정조부묘도감의궤_신련.jpg"/></html>  
 
|-
 
|-
|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1835-1836  ||  3D-신여 || [[references]] || [https://visualjoseon.aks.ac.kr/viewer/view?itemId=jm&gubun=kw&dataId=K22189_001  장서각기록유산DB ☞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1835-1836  > 하, 반차도 (121면 뒤)]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_신련.jpg"/></html>  
+
|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1835-1836  ||  3D-신련 || [[references]] || [https://visualjoseon.aks.ac.kr/viewer/view?itemId=jm&gubun=kw&dataId=K22189_001  장서각기록유산DB ☞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1835-1836  > 하, 반차도 (121면 뒤)]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_신련.jpg"/></html>  
 
|-
 
|-
| 순원왕후부묘도감의궤:1859  ||  3D-신여 || [[references]] || [https://visualjoseon.aks.ac.kr/viewer/view?itemId=jm&gubun=kw&dataId=K22247_001  장서각기록유산DB ☞ 순원왕후부묘도감의궤:1859  > 전, 반차도 (96면 앞)]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순원왕후부묘도감_신련.jpg"/></html>  
+
| 순원왕후부묘도감의궤:1859  ||  3D-신련 || [[references]] || [https://visualjoseon.aks.ac.kr/viewer/view?itemId=jm&gubun=kw&dataId=K22247_001  장서각기록유산DB ☞ 순원왕후부묘도감의궤:1859  > 전, 반차도 (96면 앞)]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순원왕후부묘도감_신련.jpg"/></html>  
 
|-
 
|-
|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부묘도감의궤:1890  ||  3D-신여 || [[references]] || [https://visualjoseon.aks.ac.kr/viewer/banchado?piId=006  장서각기록유산DB ☞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부묘도감의궤 경녕전반차도 ]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부묘도감의궤경녕전반차도_신련.jpg"/></html>  
+
|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부묘도감의궤:1890  ||  3D-신련 || [[references]] || [https://visualjoseon.aks.ac.kr/viewer/banchado?piId=006  장서각기록유산DB ☞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부묘도감의궤:1890 경녕전반차도 ]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부묘도감의궤경녕전반차도_신련.jpg"/></html>
 +
|-
 +
| 정조부묘도감의궤:1802  ||  3D-신련 || [[references]] ||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688  한국전통지식포탈: 정조부묘도감의궤 권1, 1방]<br/> 修補所入蓋兒上冒冒緞十二尺五寸紫的眞絲五分粧餙朴只鼠目釘次豆錫二兩鳳頭乻只大銅絲四尺擧乙皮紫的鹿皮全長廣四寸五分四片結皮紫的大鹿皮全長廣一寸十條乼五艮衣每艮衣外褁紅木依橫看 (신련(神輦)을 수보(修補)할 때에 들이는 것이다. 뚜껑[蓋] 위는 비단[緞]은 12尺 5寸, 자적진사(紫的眞絲) 5分으로 꾸민다. 박을못[朴只釘], 쥐눈못[鼠目釘] 감은 두석(豆錫) 2兩이다. 봉두(鳳頭)를 얽을 큰 구리실[大銅絲]은 4尺이다. 모든 가죽[皮]은 자적록피(紫的鹿皮)로 전체 길이와 너비는 4寸 5分 4片이다. 묶는 가죽[皮]은 자적대록피(紫的大鹿皮)로 전체 길이와 너비는 1寸이다. 10條 줄은 5艮衣이고, 매 艮衣마다 바깥은 홍색 무명[紅木]으로 감싼다. 횡간(橫)에 의한다.)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부묘도감의궤경녕전반차도_신련.jpg"/></html>
 +
|-
 +
| 네이버지식백과:[조선왕실관혼상제] 신연 || 3D-신련  || [[references]]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751848&cid=49381&categoryId=49381 네이버지식백과 > 문화원형백과 ☞ 신연] || <html><img width="12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2/hanyang/image/문화원형재현_신련.jpg"/></html>  
 
|-
 
|-
 
|}
 
|}

2022년 9월 16일 (금) 20:30 기준 최신판

2022 3D모델링-물품

Definition

부묘 때 신주를 실어 종묘로 운반한 가마.
신련은 국가전례서에 설명된 제도가 없다. 상례만을 집중적으로 다룬 『국조상례보편』에도 발인반차에 '신백련'이라고 이름이 기록되었을 뿐, 도설이 기록되지 않았다. 다만 의궤에 수록된 발인반차도를 참고하면 신련은 왕이 살아있을 때 타던 연과 유사한 형태의 가마인 것으로 보인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신련 Object 물품 제례 신련(神輦) 신련 神輦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신여 2022:이한나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신련 3D-신련 isShownBy
3D-신련 신련 hasReferenceNote
신련 부묘 isRelatedTo
신련 신주 goesWith
신련 신여 goesWith
신련 정조부묘도감의궤:1802 isDepictedIn
신련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1835-1836 isDepictedIn
신련 순원왕후부묘도감의궤:1859 isDepictedIn
신련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부묘도감의궤:1890 isDepictedIn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정조부묘도감의궤:1802 3D-신련 references 장서각기록유산DB ☞ 정조부묘도감의궤:1802 > 반차도 (12면)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1835-1836 3D-신련 references 장서각기록유산DB ☞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1835-1836 > 하, 반차도 (121면 뒤)
순원왕후부묘도감의궤:1859 3D-신련 references 장서각기록유산DB ☞ 순원왕후부묘도감의궤:1859 > 전, 반차도 (96면 앞)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부묘도감의궤:1890 3D-신련 references 장서각기록유산DB ☞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부묘도감의궤:1890 경녕전반차도
정조부묘도감의궤:1802 3D-신련 references 한국전통지식포탈: 정조부묘도감의궤 권1, 1방
修補所入蓋兒上冒冒緞十二尺五寸紫的眞絲五分粧餙朴只鼠目釘次豆錫二兩鳳頭乻只大銅絲四尺擧乙皮紫的鹿皮全長廣四寸五分四片結皮紫的大鹿皮全長廣一寸十條乼五艮衣每艮衣外褁紅木依橫看 (신련(神輦)을 수보(修補)할 때에 들이는 것이다. 뚜껑[蓋] 위는 비단[緞]은 12尺 5寸, 자적진사(紫的眞絲) 5分으로 꾸민다. 박을못[朴只釘], 쥐눈못[鼠目釘] 감은 두석(豆錫) 2兩이다. 봉두(鳳頭)를 얽을 큰 구리실[大銅絲]은 4尺이다. 모든 가죽[皮]은 자적록피(紫的鹿皮)로 전체 길이와 너비는 4寸 5分 4片이다. 묶는 가죽[皮]은 자적대록피(紫的大鹿皮)로 전체 길이와 너비는 1寸이다. 10條 줄은 5艮衣이고, 매 艮衣마다 바깥은 홍색 무명[紅木]으로 감싼다. 횡간(橫)에 의한다.)
네이버지식백과:[조선왕실관혼상제] 신연 3D-신련 references 네이버지식백과 > 문화원형백과 ☞ 신연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한국전통지식포탈 신련(神輦)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688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왕실관혼상제] 신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751848&cid=49381&categoryId=49381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RISS:T15469018 논문 이재윤, 「조선 국왕 장례에서의 가마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riss http://www.riss.kr/link?id=T15469018
ISBN:9788929903930 단행본 『종묘: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 국립고궁박물관, 2014 https://librarian.nl.go.kr/LI/contents/L10501000000.do?rawid=293084&seojiyear=2014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이재윤, 「조선 국왕 장례에서의 가마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