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성시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Web Resource) |
(→Contextual Relations)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clickable button|[[작품:기록화]]}} | ||
+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도성 안쪽을 중심으로 그린 19세기 서울지도. 도성의 내부와 함께 도성 밖은 남쪽 한강까지를 포괄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도성도와 마찬가지로 도성 안과 도성 밖의 축척이 다른 이원적 축척이 적용된 지도이다. 도성 내부는 당시 5부에 소속된 행정구역인 방(坊)과 그에 소속된 동(洞)의 지명이 상세하다. 궁궐, 사묘(社廟) 등은 울타리 모양을 그려 넣어 강조했다. 동대문과 남대문 밖에는 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장수인 관우(關羽)의 묘가 그려져 있다. 임진왜란 때 명나라 군사가 내원하여 일본군을 격퇴시킨 것은 관우의 도움에 의한 것이라 하여 관우묘(關羽廟)를 세우게 되었던 것이다. 대사동(大寺洞)에는 원각사의 석탑이 독특하게 그려져 있다. 도성 수비를 담당하던 삼군문(三軍門)의 관할 구역이 표시되어 있고, 창덕궁 후원에는 임진왜란 때 원군을 보낸 중국 명나라 신종의 은의(恩義)를 기리기 위해 1705년(숙종 31) 창덕궁 금원(禁苑) 옆에 설치한 대보단(大報壇)의 모습도 보인다. | + | 도성 안쪽을 중심으로 그린 19세기 서울지도. 도성의 내부와 함께 도성 밖은 남쪽 한강까지를 포괄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도성도와 마찬가지로 도성 안과 도성 밖의 축척이 다른 이원적 축척이 적용된 지도이다. 도성 내부는 당시 5부에 소속된 행정구역인 방(坊)과 그에 소속된 동(洞)의 지명이 상세하다. 궁궐, 사묘(社廟) 등은 울타리 모양을 그려 넣어 강조했다. 동대문과 남대문 밖에는 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장수인 관우(關羽)의 묘가 그려져 있다. 임진왜란 때 명나라 군사가 내원하여 일본군을 격퇴시킨 것은 관우의 도움에 의한 것이라 하여 관우묘(關羽廟)를 세우게 되었던 것이다. 대사동(大寺洞)에는 원각사의 석탑이 독특하게 그려져 있다. 도성 수비를 담당하던 삼군문(三軍門)의 관할 구역이 표시되어 있고, 창덕궁 후원에는 임진왜란 때 원군을 보낸 중국 명나라 신종의 은의(恩義)를 기리기 위해 1705년(숙종 31) 창덕궁 금원(禁苑) 옆에 설치한 대보단(大報壇)의 모습도 보인다. <ref> 출처: 『우리 옛지도』, 서울역사박물관, 2006 </ref>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25번째 줄: | 27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 || [[]] || [[]] || || | + | | [[조선성시도]] || [[서울역사박물관]] || [[currentLocation]] || || 2022:구현회 |
|- | |- | ||
− | | [[]] || [[]] || [[]] || || | + | | [[조선성시도]] || [[창덕궁_대보단]] || [[depicts]] || || 2022:구현회 |
|} | |} | ||
38번째 줄: | 40번째 줄: | ||
* [https://latlongdata.com/elevation/ 위치 좌표 검색] | * [https://latlongdata.com/elevation/ 위치 좌표 검색] | ||
--> | --> | ||
+ | |||
==Web Resource== | ==Web Resource== | ||
43번째 줄: | 46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사진 || 서울역사아카이브 || | + | | 사진 || 서울역사아카이브 || 조선성시도 || 서울역사아카이브 > 서울지도 > 고지도 > 서울지도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C&arcvGroupNo=3120&arcvMetaSeq=24434&arcvNo=72654 |
|- | |- | ||
| 해설 || 서울역사박물관 || 우리 옛지도 || 서울역사박물관 > 학술·자료 > 발간도서 > 전체 > 우리 옛지도 || https://museum.seoul.go.kr/www/board/NR_boardView.do?bbsCd=1012&seq=00000000000021178&sso=ok | | 해설 || 서울역사박물관 || 우리 옛지도 || 서울역사박물관 > 학술·자료 > 발간도서 > 전체 > 우리 옛지도 || https://museum.seoul.go.kr/www/board/NR_boardView.do?bbsCd=1012&seq=00000000000021178&sso=ok |
2023년 1월 12일 (목) 10:50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도성 안쪽을 중심으로 그린 19세기 서울지도. 도성의 내부와 함께 도성 밖은 남쪽 한강까지를 포괄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도성도와 마찬가지로 도성 안과 도성 밖의 축척이 다른 이원적 축척이 적용된 지도이다. 도성 내부는 당시 5부에 소속된 행정구역인 방(坊)과 그에 소속된 동(洞)의 지명이 상세하다. 궁궐, 사묘(社廟) 등은 울타리 모양을 그려 넣어 강조했다. 동대문과 남대문 밖에는 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장수인 관우(關羽)의 묘가 그려져 있다. 임진왜란 때 명나라 군사가 내원하여 일본군을 격퇴시킨 것은 관우의 도움에 의한 것이라 하여 관우묘(關羽廟)를 세우게 되었던 것이다. 대사동(大寺洞)에는 원각사의 석탑이 독특하게 그려져 있다. 도성 수비를 담당하던 삼군문(三軍門)의 관할 구역이 표시되어 있고, 창덕궁 후원에는 임진왜란 때 원군을 보낸 중국 명나라 신종의 은의(恩義)를 기리기 위해 1705년(숙종 31) 창덕궁 금원(禁苑) 옆에 설치한 대보단(大報壇)의 모습도 보인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조선성시도 | Object | 그림 | 지도 | 조선성시도(朝鮮城市圖) | 조선성시도 | 朝鮮城市圖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조선성시도 | 2022:구현회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조선성시도 | 서울역사박물관 | currentLocation | 2022:구현회 | |
조선성시도 | 창덕궁_대보단 | depicts | 2022:구현회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사진 | 서울역사아카이브 | 조선성시도 | 서울역사아카이브 > 서울지도 > 고지도 > 서울지도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C&arcvGroupNo=3120&arcvMetaSeq=24434&arcvNo=72654 |
해설 | 서울역사박물관 | 우리 옛지도 | 서울역사박물관 > 학술·자료 > 발간도서 > 전체 > 우리 옛지도 | https://museum.seoul.go.kr/www/board/NR_boardView.do?bbsCd=1012&seq=00000000000021178&sso=ok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조선성시도(朝鮮城市圖) | 서울역사박물관 > 유물 > 소장유물정보 > 소장유물검색 > 조선성시도(朝鮮城市圖) | https://museum.seoul.go.kr/www/relic/RelicView.do?mcsjgbnc=PS01003026001&mcseqno1=013171&mcseqno2=00000&cdLanguage=KOR#layer_download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 ↑ 출처: 『우리 옛지도』, 서울역사박물관, 2006
Semantic Network Graph